유럽의 주요 화물기 운항 항공사들이 하계 스케줄에서 홍콩 노선 확대를 적극 추진하면서 전자상거래 수요 증가에 따라 공급도 크게 증가할 전망이..
세계 최대 항공사 에미레이트 항공이 튀니스, 암만, 이스탄불, 담맘, 호찌민, 바그다드, 오슬로 등 7개 도시에 최신 에어버스 A350 항공기를 신규 투입한다고 밝혔다. A350의 정규 운항 도입을 통해 최신 기내 혁신을 적용한 항공기를 더욱 많은 노선에 배치할 예정이다. 이번 도입으로 중동, 걸프협력이사회(GCC), 유럽의 중·단거리 네트워크가 확대되며, A350이 ..
SF항공이 지난 1년간 운송 능력을 대폭 확장하며 보유 항공기 수를 90대로 확대했다고 발표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SF항공의 전체 운송 능력은 전년 대비 32% 증가했으며, 특히 중동과 중국 간 노선에서의 성장세가 두드러져 세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현지 매체에 따르면, SF항공은 최근 선전 바오안 공항에서 90번째 항공기인 보잉 767-300BCF를 신규 ..
글로벌 항공 화물 시장의 운임이 다시 상승하고 있다. TAC 인덱스(TAC Index)의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3월 17일까지 일주일간 글로벌 발틱 항공 화물 지수(BAI00)는 전주 대비 2.3% 상승했으며, 이는 전년동기비 4.3% 높은 수준이다. 특히 시장 관계자들은 태평양 횡단 노선에서 스팟 운임이 상승하면서 전체 운임이 끌어올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
홍콩익스프레스(HK Express)가 2025년 6월 5일과 6월 6일부터 각각 청주국제공항(CJJ)과 대구국제공항(TAE)에서 홍콩으로 향하는 직항편을 운항한다. 기존에 운항하던 서울, 부산, 제주 뿐만 아니라, 대구, 청주에서 홍콩으로 여행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홍콩익스프레스는 한국-홍콩 노선을 주 최대 54회 운항하며, 홍콩에서 서울, 부산, 제주, 청주 그리고 대구, 5개 주..
* 이미지 출저 : DHL Group 미국의 관세 정책과 지정학적 긴장이 지속되는 가운데, 세계 무역은 예상보다 강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DHL과 뉴욕대학교 스턴 경영대학원이 공동 발표한 ‘DHL Trade Atlas 2025’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무역은 2024년 회복세를 보이며 2029년까지 지난 10년보다 빠른 속도로 성장할 전망이다. 특히 미국이 중국을 공급..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이 최신 수요와 운임이 안정적인 추세를 보이고 있다. WorldACD Market Data의 최근 주간 통계에 따르면, 급변하는 지정학적·무역 환경 속에서 10주차(3월 3일~9일) 전 세계 총 톤수는 전주 대비 안정세를 유지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YoY)로는 +2% 증가했다. 특히 아시아 태평양 출발지의 운임허용 중량은 전주 대비(WoW) +5% 추가 상승하며..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 항만의 혼잡이 지속되면서 주요 선사들이 기항을 취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홍해 항로를 벗어나 희망봉 항로를 운항중인 글로벌 컨테이너 선박 해운 스케줄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덴마크 선사 머스크(Maersk)는 3월 5일 고객들에게 보낸 공지에서 "케이프타운에서의 대기 시간이 예상보다 개선되지 않았다"고 경고했다. 머스크와 하..
* 이미지 출처 : Sin kung LinkedIn 말레이시아 물류기업인 Sin-Kung Logistics Bhd,(이하 SKL)가 항공화물 사업에 본격 진출을 선언했다. SKL은 최근 자사 LinkedIn을 통해서 2,070만 링깃(RM)에 프리마 에어(Prima Air Sdn Bhd,(이하 PASB) 지분 100% 인수를 완료하고, 2025년 3분기부터 항공화물 서비스를 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KL은 이번 인수를 통해 항공 피..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에 부과된 25% 관세로 인해 생산 비용 급등이라는 도전에 직면했다. 이는 미국 정부가 모든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 자동차 업계는 캐나다산 철강 의존도가 높아, 이번 관세 조치로 인해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 차량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
올 한해 국제 물류시장에서는 해상운송보다 항공화물을 주력으로 하는 프레이트 포워더들이 상대적으로 더 나은 실적을 거둘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 제프리스(Jefferies)가 발표한 보고서에서 “2025년에는 해상보다는 항공 시장이 더 유리할 것”이라며 투자 우선순위를 DHL(매수), DSV(매수), 퀴네앤드나겔(보유) 순으로 ..
캐세이 카고가 지난해 화물매출, 물동량, 운임이 모두 증가한 강력한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도자료를 통해서 캐세이 카고는 지난해 화물매출은 전년 대비 8.3% 증가한 240억 홍콩달러를 기록했으며, 물동량도 150만 톤으로 10.9% 증가해 유상 화물 톤킬로미터(RFTK) 기준 5%가 증가한 85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여객기 운항 증가로 인해 벨리 스페이스..
* KLM 보잉 787-10 KLM 네덜란드 항공(이하 ‘KLM’)이 올 하계 시즌 인천-암스테르담 노선을 주 7회로 증편하는 등 유럽 및 대륙 간 노선을 확대 운항한다. 먼저 KLM은 증가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오는 5월 1일부터 10월 24일까지 인천-암스테르담 노선을 기존 주 5회(월, 수, 목, 금, 토)에서 주 7회로 매일 운항한다. 해당 노선은 매일 오후 10시 25분..
FTL Korea(대표:조현덕)가 북아프리카의 대표 항공사인 로얄에어모로코(Royal Air Maroc, AT)의 화물GSA (General Sales Agent)에 선정되었다. 로얄에어모로코는 수도인 카사블랑카 허브를 중심으로 아프리카, 중동 지역들을 연결하는 강력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에서 출발하는 화물이 모로코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전역 및 중동지역 시장으로 ..
이미지 : ChatGPT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부과함에 따라 중국의 보복 조치가 예고된 가운데, 농산물 수출업계가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지 전문가들은 특히 백악관이 이번 조치가 미 농업 부문에 미칠 영향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미국 농업운송연합(Agriculture Transport Coali..
최근 변동성이 컸던 글로벌 항공 화물 시장이 지난주 다소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TAC Index에 따르면, 3월 10일까지의 한 주 동안 글로벌 발틱 항공 화물 지수(BAI00)는 전주 대비 변동 없이 0.0%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6.2% 상승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며칠 동안 물동량과 스팟 요율이 다시 상승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는 화주들이 향후 예상..
홍콩 최대 독립 화물 지상조업사인 홍콩항공화물터미널(Hactl)이 2025년 첫 신규 항공사 고객으로 헝가리 항공(Hungary Airlines)과 계약을 체결했다. 헝가리 항공은 부다페스트 허브와 홍콩을 연결하는 정기 화물 노선을 개설했으며, 62톤 적재 용량을 갖춘 A330F 화물기를 투입하고 있다. Hactl은 이번 계약을 통해 화물 터미널 운영, 항공기 적재 및 하역, 문서 처리 ..
대한항공 본사 격납고에서 ‘Rising Night’ 행사 개최 1984년 ‘태극마크’ 이후 41년 만에 로고 변경 대한항공은 11일 신규 CI(Corporate Identity)를 발표하고 대한항공 고유의 태극마크를 현대적인 이미지로 재탄생시킨 새 로고를 공개했다. 대한항공은 이날 오후 서울 강서구 본사 격납고에서 ‘라이징 나이트(Rising Night)’ 행사..
이미지 제공: xAI의 Grok 미국 정부가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수입되는 상품에 대한 관세를 도입한 지 이틀 만에 이를 유예했지만, 불확실한 관세 정책으로 북미 트럭 운송업계는 이미 심각한 타격을 입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최근 현지 매체 및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 및 캐나다 등 육상 트럭 시장 관계자들은 북미 물류 공급망 전반에 걸쳐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올..
종합물류기업 LX판토스(대표 이용호)가 미국 조지아주 소재의 대형 물류센터를 인수한다. LX판토스가 인수하는 물류센터는 부지면적만 축구장 43개 크기인 30만4,769㎡(9만2,193평)에 달하며, 2개 동으로 구성된 신축 상온물류센터다. 미국 남동부의 물류허브이자 우리 제조기업들이 다수 진출한 핵심 거점에 물류 인프라를 확보함으로써 국가 공급망 경쟁력을 제고하는 한..
에어프랑스-KLM 그룹이 2024년 연간 영업이익 16억 유로(약 5.1%의 영업이익률)를 기록하며 한 해를 마무리했다. 그룹의 연간 매출은 전년 대비 4.8% 증가한 315억 유로를 기록했다. 특히 4분기 매출은 6.4% 증가한 78억 유로로 집계되며 견조한 실적을 나타냈다. 에어프랑스-KLM의 2024년 연간 매출은 전년 대비 4.8% 증가한 315억 유로를 기록했다. 화물 부문에서는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