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루프트한자는 오늘(26일) 이탈리아 국영항공사인 ITA Airways의 주식 41%를 3억2,500만 유로에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주식 인수는 이탈리아 재경부(MEF)의 합의에 의한 것으로 루프트한자는 유상증자를 통해 현금으로 주식대금을 지불하고, MEF는 ITA항공에 증자(2억5천만 유로)를 약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목할 점은 MEF가 나중에라도 ITA의 나머지 주식을 취득할 ..
도이치 포스트 DHL 그룹의 화물 부문인 DHL 글로벌 포워딩은 지난 20년 동안 회사를 위해 기여한 Kelvin Leung가 은퇴함에 따라 새로운 아시아 태평양 지역 CEO에 Niki Frank를 후임자로 임명했다. 현재 DHL 글로벌 포워딩 남아시아 최고경영자(CEO)를 맡고 있는 Niki Frankg는 오는 7월 1일부로 아태지역 DHL 글로벌 포워딩(Global Forwarding for Asia Pacific)의 새로운 CEO로 취..
중앙아시아 시장에서 선도적인 화물 항공사인 Silk Way West Airlines는 최근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로부터 CEIV 리튬 배터리 인증을 취득했다고 발표했다. Silk Way West Airlines는 CEIV 리튬 배터리 인증을 통해 (화물)항공사의 역량을 더욱 강화하고, 고객 및 시장 파트너와의 신뢰를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되었다고 밝혔다.
MSC에어카고가 북미, 유럽 및 멕시코에서도 ECS그룹과 함께 하기도 했다. 최근 MSC에어카고는 이들 지역 국가에서 ECS그룹을 GSSA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항공사 관계자는 “ECS가 (우리들의) 고객 수요를 가장 잘 충족시키고 적극적으로 고객을 지원하며 공급 활용을 극대화하고 있다.”라며 GSSA 선정이유를 밝혔다. 한편, 글로벌 선사인 MSC의 자회사로 출범한 MSC..
대한항공은 5월 25일 오전 인천 소재 그랜드하얏트 호텔에서 대한항공, 인천국제공항공사, IATA, 인증 참여사 등 각계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국제항공운송협회(이하 IATA) 리튬 배터리 항공운송 인증(CEIV Lithium Batteries) 자격 인증을 기념하는 행사를 실시했다. 대한항공은 지난 4월 IATA로부터 리튬 배터리 항공운송 인증 자격을 취득한 바 있다. IATA의 CEIV 리튬 배터리(Ce..
대한민국의 유일한 화물 전용 항공사이자 최초의 국제항공화물 전용 항공사인 에어인천(대표 이승환)은 지난 24일 임직원 3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아라뱃길 일대를 중심으로 해양환경 정화활동을 통해 해양생태계를 보존하고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한 첫 번째 봉사활동을 실시했다. 이번 봉사활동은 지난 4월 인천광역시자원봉사센터(이사장 전년성)와 협약을 통해 ESG 경..
대한항공은 5월 25일부터 중국 정저우에 화물기를 신규 취항한다. 대한항공의 정저우 노선은 주 2회(목/토) 오전 12시 5분 인천공항을 출발해 중국 시안을 경유하여 중국 정저우로 이동한 후 다시 인천으로 돌아온다. 인천~정저우 노선에는 연료 효율성이 높은 B777 화물기가 투입된다. 정저우는 중국 중서부에 위치한 내륙의 물류 허브이자 중국 중부굴기의 중심 도시다. 아이폰을 ..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 직무대행(이희정)은 지난 19일 공사의 전략적 진출지역인 인도네시아 바탐(Batam) 직항노선 개설을 기념하여 마케팅 행사 개최 및 현지 봉사 활동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공사와 바탐공항은 인천-바탐 노선 개설을 기념해 지난 19일 양 공항에서 취항식을 개최했다. 인천에서 열린 취항식에는 공사 김범호 미래사업본부장, 제주항공 정재필 커머셜본부장, 공사 ..
지난 19일 한국국제물류협회(KIFFA, 회장 원제철)는 인천항만공사(IPA, 사장 이경규)와 공동 기획으로 KIFFA 회원사를 대상으로 초청하여 인천항 현장시찰을 진행했다. 인천항 이용 활성화와 실무효율 증대를 위해 개최한 이날 행사에는 약 20개 KIFFA 회원사 30명의 포워더가 참여하여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 LCL 창고(IGDC 인천글로벌물류센터), FCL 창고(GNK로지스틱스), 신항 선..
LX판토스는 지난 23일 ‘2023년 해운?항공 시황 점검 및 전망’을 주제로 국내외 고객 대상 웹 세미나(웨비나)를 개최했다. 이날 웨비나 1차 세션에서는 해운물류시장 현황 및 이슈 점검, 권역별 상세 시황 분석, 향후 시나리오별 전망 발표가 진행됐다. 이후 2차 세션에서는 항공물류시장 현황 및 이슈 점검, 글로벌 및 아시아?태평양 무역로별 상세 분석, 올해 시황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