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과 유럽연합(EU)이 양측 간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고 상호 이익을 확대하기 위한 새로운 무역협정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협정은 ‘상호적이고 공정하며 균형 잡힌 무역을 위한 기본 합의(Framework Agreement)’라는 이름으로, 관세 철폐와 시장 접근성 확대, 기술·에너지 협력까지 포괄하는 폭넓은 내용을 담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협정에 따라 EU는 모든 미국산 공산품에 대한 관세를 철폐하고, 견과류·유제품·과일·채소·육류 등 주요 농산물에 대해 미국에 우선 시장 접근권을 부여한다. 반면 미국은 대부분의 EU 제품에 대해 최대 15%의 관세 상한을 적용하고, 일부 품목에는 최혜국대우(MFN)를 유지하기로 했다.
이같은 협정에 대해 유럽내 의견은 엇갈렸다. 미국은 공격적 시장 접근권을 확보했고, 유럽은 방어적 한계를 수용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반면,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EU는 미국과의 교역에서 전 세계 유일하게 포괄적 관세 상한을 확보했다”며 긍정적으로 해석했다.
반면에 미국 내 반응은 전반적으로 환영 일색이었다. 하워드 루트닉 미 상무장관은 “미국 노동자, 산업, 국가 안보를 위한 대승리”라며 “관세는 미국의 핵심 무역 도구로 자리매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목할 점은 이번 협정은 단순한 관세 조정을 넘어 에너지와 첨단기술 분야까지 확대됐다는 사실이다.
EU는 2028년까지 미국산 LNG·석유·원자력 제품 약 7,500억 달러를 조달하고, 데이터센터용 AI 반도체 400억 달러를 추가 구매하기로 했다. 또한 양측은 자동차 안전 기준 상호 인정, 환경 규제 유연화, 기업 지속가능성 지침 적용 방식 조정에도 합의했다.
디지털 무역 부문에서도 진전이 있었다. EU는 네트워크 사용료 부과를 도입하지 않기로 했으며, 양측은 전자 전송에 대한 관세 부과를 하지 않겠다고 명확히 했다. 이와 함께 EU 기업들은 2028년까지 미국 전략 산업 분야에 6,000억 달러 규모의 추가 투자를 진행할 계획이며, 미국산 군수 장비 조달도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
한편 이번 미국-EU 무역협정은 단순히 양측 관세 조정에 그치지 않고, 글로벌 공급망 전반에 구조적 변화를 촉발할 수 있다.
먼저, 에너지 공급망 재편이 전망되면서, 글로벌 해상 운송에서도 LNG 운반선 수요와 항로 조정이 불가피해질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 또한 EU의 미국산 군수 장비 및 전략 산업 투자 확대는 대형 프로젝트 화물(Project Cargo) 수요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시장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 카고프레스 & cargo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NEW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