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캐나다 철도 관련 노사협상이 지지부진해지면서 파업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캐나다 세관 및 출입국 관리 요원들이 캐나다 국경 서비스국(CBSA)과의 계약 협상을 놓고 파업을 결정하면서 캐나다를 오가는 화물 흐름이 큰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항만 노동계약 협상이 답보상태에 머물고 있는 가운데, 캐나다 공공서비스연맹(PSAC)의 국경서비스 그룹의 96%가 파업을 지지하고 나섰으며, 관련 노조는 회원들이 2년 이상 계약이 없는 상태라고 지적, 국경을 관리하는 세관과 출입국 관리 직원들의 파업이 우려되고 있다.
관련 노조 전국 회장인 크리스 에일워드는 "파업은 항상 최후의 수단이지만, 이번 강력한 파업 명령은 우리 조합원들이 공정한 계약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준비가 되어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지난 2021년과 같은 일이 반복되기를 원하지 않는다면 재무부와 CBSA는 우리의 주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공정한 제안을 가지고 협상 테이블에 나올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PSAC 회원들이 마지막으로 행동에 나선 것은 지난 2021년으로, 당시에는 35시간에 걸친 교섭 끝에 합의가 도출되기는 했지만, 사실상 국경 간 상업적 운송이 거의 중단될 뻔했다.
이에 따라 캐나다 주요 화주들과 물류 업체들은 철도 파업 우려에 따라 국가 철도망 중단이라는 악몽에 더해 또 다른 잠재적 골칫거리를 떠안고 있다.
한편 캐나다 철도노조는 이달 말로 예상되는 CIRB의 판결이 나와도 72시간 이내에 파업에 돌입할 수 있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반면에 캐나다 정부는 6월 3일부터 중재 협상이 시작될 예정이므로 파업은 불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런 와중에 최근 캐나다 국제 포워더 협회는 공급망 중단에 대비하려면 30일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므로 노조가 파업시 72시간 이전 사전 예고 기간이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 정부에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
[ⓒ 카고프레스 & cargo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NEW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