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항공카고가 항공화물 운송사 리튬베터리 제품을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는 역량 인증을 위한 IATA CEIV Lithium Battery (CEIV Li-batt) 인증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이스탄불에서 열리고 있는 IATA의 세계화물심포지엄 기간중 열인 이번 서명식에서 터키항공의 CEO Bilal Ek?i CEO는 “ 글로벌 항공화물 브랜드인 터키항공카고는 베터리 제품에 대한 공급망을 유지하고 이와 ..
IATA의 연례 행사중 하나인 2023년 IATA World Cargo Symposium(WCS 2023)이 25일 터키 이스탄불에서 개막됐다. 오는 27일까지 열리는 이번 행사 주관 항공사인 터키항공의 이사회 의장 및 회장인 Ahmet Bolat 박사는 개회사에서“터키공화국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해에 세계 화물심포지엄 203 행사를 개최할 수 있어 대단히 기쁘다. 항공화물 운송은 세계 경제 및 공급망 지..
한국국제물류협회(이하 'KIFFA')는 4월 25일(화) 오전 7시 롯데호텔서울 2층 크리스탈볼룸에서 오세훈 서울특별시장을 초청한 가운데 ‘2023 한국국제물류협회 조찬포럼’을 개최하였다. 이번 포럼은 국제물류업계의 글로벌 물류경쟁력 강화를 위해 협회 회원사 대표를 비롯한 관계 정부기관, 유관기관 대표를 초청하여 개최되었고 한국해운협회, 한국항만협회, 한..
최근 중국의 리오프닝을 계기로 서서히 수요가 살아나고 있다는 지적에 늘면서 주요 콘테이너 선사들의 운임이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미 주요 운임지수들이 주간 기준 두 자리수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 지난 21일 발표된 Freightos Baltic Daily Index (FBX)의 중국발 미 서안 운임지수는 1,731 달러/FEU로 전주 대비 72%의 운임 상승세를 보여주었다. 역시나 FBX 중국발 미 ..
모하메드 빈 살만(Mohammed bin Salman) 사우디 아라비아 왕세자는 최근 4곳에 특별 경재 구역을 설립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국제 투자자에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사우디 아라비아의 지정학적으로 전략적 위치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전 산업부문에 걸친 성장과 발전을 위해 추진한다는 이번 특별경제구역 설립은 기존 산업군가 새로운 산업군에게 가치사슬을 활성화할 수 있..
영국 국적의 새로운 화물항공사인 One Air는 최근 영국민간항공국(CAA)으로부터 항공사 사업 인증서를 받아 공식 출범했다고 발표했다. One Air측은 지난해 7월 항공기 시범운항을 성공적으로 완수한 후 엄격한 실사를 거쳐 이번에 운항증명을 획득해 항공사로서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조만간 영국을 중심으로 EU 주요 지역에 취항을 시작으로 중동 및 아시아..
중국 서부 지역을 대표하는 쓰촨항공(Sichuan Airlines)이 중국 쓰촨성 청두와 부다페스트를 연결하는 화물기 정기편 서비스를 시작했다. 최근 부다페스트공항 당국은 “부다페스트 공항 역사상 최초의 중국 서부지역 정기편 화물기 운항이 시작됐다. 지난 목요일 Sichuan Airlines의 첫 번째 Sichuan-Budapest간 A330P2F 항공기가 주 3회 운항을 통해 일반 수출입 화물 외에도 ..
우체국물류지원단(이사장 변주용)은 행정안전부가 추진하는 ‘먹는 물 기부 릴레이’ 캠페인에 참여해 최근 극심한 가뭄으로 식수난을 겪는 남부 도서 지역(전남 완도군 노화도)을 위해 생수 1만1520병(2ℓ 기준)과 운송 차량(2대)을 지원했다고 25일 밝혔다. 우체국물류지원단은 우편 차량(5톤) 2대를 지원해 완도군에서 노화도까지 생수를 운송·선적해 주민에게 안..
세계 최대 항공사 에미레이트 항공이 오는 7월 5일부터 두바이-몬트리올 노선을 신규 취항한다고 밝혔다. 해당 노선은 보잉 777-300ER 항공기로 주 7회 운항될 예정이다. 한편, 에미레이트 항공은 4월 20일부터 A380 항공기로 운항되는 토론토행 노선을 매일 취항하기 시작했다. 이를 통해 에미레이트 항공은 캐나다 노선 2개를 포함해 미국, 멕시코 등을 포함한 미주 지역에서 확장..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김경욱)가 21일 오후 공사에서 LS 일렉트릭 주식회사(대표 김동현)와 ‘태양광 발전단지건설 및 운영을 위한 직접 전력구매계약에 관한 실시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실시협약은 공사가 지난해 2월 가입한 RE100 달성을 위해 수립한 중장기 계획의 일환이다. 협약은 공항시설 내 재생에너지 직접 발전량을 증대하고 총 전력 사용량 중 재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