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출처: Xeneta) 도널드 트럼프가 재선에 성공하며 미국 제조업의 부흥과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에 맞선다는 경제 정책을 내세웠다. 이에 따라 모든 수입품에 대해 최대 20%, 중국산 제품에 대해서는 최대 6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천명한 바 있어, 해운업계는 이러한 관세 정책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하고 있으며, 특히 관세 인상 전 상품을 미리 수입하는 "f..
지난 10월 28일부터 11월 3일까지의 44주차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 동향을 분석한 결과, 전 세계 항공화물 평균 운임은 전주 대비 2% 상승하며, kg당 2.71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2% 상승한 수치로, 특히 아태 지역과 유럽발 운임은 각각 kg당 3.56달러와 2.13달러로 2% 상승했다. WorldACD 데이터에 따르면, 기간중 아프리카발 운임도 3% 상승해 kg당 1.98달러..
세계적인 국제특송기업 DHL 코리아(대표 한지헌)가 지난 7일(목) 서울 중구 소재 한국언론진흥재단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17회 대한민국소통어워즈 시상식에서 ‘대한민국 소셜미디어 대상’ 운송/물류 부문 11년 연속 대상을 수상했다. ‘대한민국 소셜미디어 대상’은 한국인터넷소통협회가 주최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이 후원하는 시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재집권에 성공하면서, 마침내 “트럼프 2.0”이 본격 시작되었다. 이미 미국 대선은 투표 이전부터 글로벌 공급망 시장에 가장 큰 관심사였으며, 누가 대통령에 당선되는지에 따라 달라질 운송 및 물류 공급망 시장에 대한 영향을 전망과 분석이 많았다. 이제 트럼프 대통령 당선으로 당장 글로벌 물류시장은 요동치고 있으며, 많은 전문가들이 ..
아시아나항공(대표 원유석)이 11월 7일 (목) 인천-구마모토 노선 재운항을 맞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출국장에서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아시아나항공 임선진 여객본부장, 인천국제공항공사 김창규 미래사업 본부장을 비롯해 구마모토 공항 야마카와 히데아키 사장, 구마모토현 토미나가 요시유키 기획진흥부 부장 등 양국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행사의 자리를 빛냈다..
(*이미지 출처 : CN) 캐나다 주요 항만에서의 파업이 철도 운행 중단으로까지 확대되면서 수출입 물류에 큰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몬트리올 항만 장기 근로자 노조(CUPE 375)는 10월 31일부터 항만 운영사인 Termont와의 계약 갈등으로 무기한 파업에 돌입, 이로 인해 몬트리올 게이트웨이 터미널(MGT)에서의 철도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캐나다 내륙에서 몬트..
대한항공은 최근 지난 3분기 전체 매출이 전년동기비 10% 증가한 4조 2,408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대한항공은 3분기중 하계 여객 성수기 기간 공급 적시 확대, 전자상거래 등 화물 수요 최대 유치 노력 등으로 견조한 실적을 유지했다고 밝혔다. 특히 3분기 화물사업 매출은 전년동기비 22% 증가한 1조 1,198억원 기록햇는데, 이는 전통적인 항공화물 비수기 기간임에도 불구, ..
캐나다 항만에서의 파업이 지속됨에 따라 물류공급망 전반에 걸쳐 상당한 혼란이 예고되고 있다. 이미 파업 여파로 도로및 철도 화물의 운송비 급등과 함께 미국 서해안 대체 항구의 혼잡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캐나다 BC 해양 고용주 협회(BCMEA) 소속 모든 회원사를 대상으로 한 전면 파업을 국제 항만창고노동자연맹(Local 514)이 시작하면서, 협회는 이에 ..
보잉사 파업을 주도했던 노조인 국제기계직노동자연합(IAM)이 사측인 보잉과의 4년 계약을 비준하며 53일간 이어진 파업을 종료했다. 이번 파업은 보잉에 수십억 달러의 손실을 입히고, 태평양 북서부 지역의 항공기 생산을 중단시켰다. IAM는 11월 4일 59%의 찬성으로 계약을 비준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조합원들은 11월 6일부터 업무에 복귀할 예정이다. 조합원들은 9월 13일 ..
DHL 글로벌 포워딩은 지난 3분기 아시아발 항공화물 물동량 상승의 영향으로 전체 매출은 증가했지만, 운임 상승으로 인해 수익성 측면에서는 압박을 받았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DHL 글로벌 포워딩의 3분기 실적중 항공화물 물동량은 전년대비 8.5% 증가한 44만 5,000톤을 기록했고, 매출은 17.2% 증가한 16억 유로로 나타났다. 반면, 매출 총이익은 전년대비 15.2% 감소한 2억3,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