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 출처 : Ethiopian Cargo & Logistics Services의 Linkedln 에티오피아항공의 화물부문인 Ethiopian Cargo & Logistics Services는 날로 확장하는 인도 항공화물 시장 수요를 위해 2곳의 화물 거점에 추가 취항을 시작했다. 에티오피아 화물 및 물류 서비스(Ethiopian Cargo & Logistics Services)는 지난 9일 링크드인(LinkedIn)을 통해서 인도 하이데라바드..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지난 10일 해진공과 ‘글로벌 물류 공급망 경쟁력 제고 및 친환경 선박 도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베트남 호치민 소재 롯데호텔(사이공)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강병구 롯데글로벌로지스 대표이사와 김양수 한국해양진흥공사 사장이 참석해 협약서에 서명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글로벌 물류 인프라, 친환경 선박 관..
세계 최대 특송 회사 중 하나인 페덱스 익스프레스(FedEx Express; 이하 ‘페덱스’)가 수출입안전관리 우수업체(Authorized Economic Operator, AEO) 인증을 갱신했다. 페덱스는 국내 항공 특송 업계에서 유일하게 'AA' 등급 AEO 인증을 획득한 기업이다. 이는 안전하고 우수한 물류 서비스와 동시에 비용 절감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국제적으로 더 경쟁력을 갖..
수출입 데이터를 제공하는 임포트지니어스 코리아는 2024년 4월 기준 한국발 미국향 물량 (TEU)을 집계하여 발표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한국발 미국향 컨테이너 물량은 7만 4,258TEU로 지난해 같은 기간 7만 818TEU보다 4.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2년 4월 대비 2023년 4월 물량은 감소폭이 작았으나, 2023년 4월 대비 2024년 4월은 약 4.9%의 물량이 증..
미국의 니어쇼어링 정책의 수혜자인 멕시코 시장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최근 중국이 멕시코 시장과의 교역을 크게 늘리면서, 주요 선사들이 아시아와 멕시코를 연결하는 항로 개설에 앞다퉈 나서고 있다. 이는 미국의 공급망 재편 정책이 사실상 중국을 배제하기 위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제 주요 중국 기업들은 대 북미 시장 진출을 위해 멕시코 시장 진출 및 교역량을 크게 늘리..
최근 인도공항당국(Airport Authority of India; AAI)은 지난 3월까지 2023/24년도 항공화물 실적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가 증가한 340만톤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인도 주요 공항에서 출발한 항공화물 실적은 지난 2월 29만톤을 넘어 3월에 약 33만톤을 수출해, 연간 340만톤의 실적을 올린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주목할 점은 국제선 수출항공화물은 10% 이..
최근 LATAM Group은 ‘어머니 날’에 따른 시즌 화훼물량이 전년동기비 20%나 증가했다고 발표하면서, LATAM카고가 기간중 2만 4,000톤, 즉 줄기로만 5억 5,200만 송이를 미국 등 주요 수입국가로 수송했다고 밝혔다. 이같은 실적 증가세는 일반적인 예년 3주간의 시즌 수요보다 93%나 증가한 것으로 LSATAM카고는 이를 위해 공급을 대폭 확대해 기간중 400편 이상의 화물..
주간 단위 세계 항공화물 시장 통계를 발표하는 WordlACD는 18주차(4월29일~5월5일) 항공화물 시장 수요가 일본의 황금연휴를 포함해 주요 국가드르이 노동절 연휴 등으로 감소세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WorldACD는 “지난 2주동안에는 부활절 및 라마단 Eid의 영향으로 수요가 반등했으나, 18주차에 접어들어서는 전체 톤 수가 전주 대비(WoW) (-)12%나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는..
에어버스는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에어버스 ITC(International Technology Centre) 설립을 모색하기로 합의했다. 에어버스 ITC는 한국 내 항공우주 및 방산 분야의 혁신과 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이번 MOU는 에어버스가 한국에서 최초로 연구개발 협업 공간을 설립할 가능성을 의미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MOU ..
대한항공이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지난 1분기 대한항공은 여객 수송량의 빠른 회복과 견조한 화물수요의 영향으로 전체 매출이 전년동기비 20% 증가한 3조 8,225억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도 사업량 증가에 따른 유류비 및 공항·화객비 증가, 임금인상에 따른 인건비 상승 등의 사유에도 불구하고 전년동기비 5% 증가한 4,361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대한항공측은 “1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