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나항공(대표 정성권)이 14일(월), 2022년 3분기 실적을 공시했다.
아시아나항공은 국제회계기준(K-IFRS) 별도 재무제표 기준으로 3분기 매출액 1조 5,249억원, 영업이익 2,293억원, 당기순손실 1,723억원을 기록했다.
아시아나항공은 국내 · 외 출입국 규정 완화 및 국제선 운항 확대에 따른 여객 사업의 회복으로 3분기 매출액(별도 기준)은 전년 동기 대비 47.2% 늘어났고, 영업이익은 43.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최근 6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다만, 원-달러 환율 급등에 따른 외화환산손실로 당기순이익은 적자를 이어갔다.
특히, 화물 사업 매출은 6,802억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경기 둔화 · 해상운송 운임 급락 등에 따른 항공화물 수요 감소 ▲밸리 카고(Belly Cargo) 공급 증가에 따른 경쟁 심화 등의 영향으로 화물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8% 줄어들었다. 아시아나항공은 비우호적인 대외 환경에 ▲화물기 가동률 조정 ▲지역별 시장가에 기반한 판매 비중 조정을 통한 포트폴리오 최적화 등으로 대응해 화물 사업 수익을 방어했다.
여객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26% 늘어난 7,422억원을 기록했다. 3분기 호실적을 이끈 여객사업 호조는 아시아나항공이 국내 · 외 출입국 규정 완화 및 해외 여행 수요 회복 등 대외 환경 변화에 발빠르게 대응한 결과로 풀이된다.
아시아나항공은 달라지는 대외 환경에 대응해 ▲베이징 · 이스탄불 · 바르셀로나 노선 운항 재개 등 국제선 운항을 확대했고 ▲화물 전용 여객기로 개조했던 A350 · A330 항공기를 여객기로 복원해 여객 좌석 공급을 늘렸고 ▲초대형 여객기인 A380 항공기의 운항을 재개했다. 그 결과, ▲유럽 ▲동남아 ▲미주 노선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353%, 695%, 261% 증가하는 등 전체 국제선 매출이 423% 상승했다.
한편,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대외 환경 변화에 대응해 화물 사업 수익을 방어하며 국제선 여객 회복에 집중한 결과, 6분기 연속 영업이익 흑자를 이어갈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대외 환경과 수요 변화에 국제선 여객 노선 확대, 탄력적 항공기 운영 등으로 대응해 수익성을 높이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카고프레스 & cargo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NEW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