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과 중국이 추가 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하기로 합의하면서, 글로벌 공급망에 일시적인 숨통이 트이게 됐다.
최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번 유예 조치는 미국 수입업체들이 8월 이후 예고된 추가 관세 부과 전에 중국산 화물을 서둘러 들여오기 위한 ‘사전 선적(front loading’수요를 촉발시킬 것으로 보인다는 지적이며, 이로 인해 해상운임이 다시 상승 압력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해외 매체들과의 인터뷰를 통해서 피터 샌드(Peter Sand) 제네타(Xeneta) 수석 애널리스트는 “태평양 횡단 항로의 평균 운송 기간은 22일에 달하기 때문에, 선적업체들은 이번 90일간의 유예 기간을 최대한 활용해 미국향 선적을 서두를 것”이라며 “이로 인해 단기적으로 운임 상승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미국발 수요 감소에 따라 선사들이 아시아-미국 노선의 선복을 줄이고 유럽 항로 등 다른 지역으로 선박을 전환했기 때문에, 다시 선복을 되돌리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수요 회복 시점에서 운임은 평소보다 다소 높은 수준에서 형성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올 2025년 초 이후 중국발 미국 서안·동안 노선 해상운임은 각각 56%, 48% 급락했으나, 관세 불확실성이 커졌던 4월에는 각각 18%, 12% 반등한 바 있다.
Freightos 리서치 책임자인 주다 레빈(Judah Levine) 역시 “관세 인상을 앞두고 화주들이 선적을 앞당기는 전형적인 ‘프론트로딩’ 현상이 재개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3~4월에도 20% 관세에도 불구하고 선적이 몰리며 미국 해상 수입량이 전년 대비 11% 증가했다”며 “이번에 ‘완화된’ 30% 수준이라면 8월 관세 인상을 피하기 위한 수요 선반영 움직임이 다시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번 합의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은 장기적인 불확실성에 여전히 주의하고 있다는 점도 지적됐다. 현재 중국발 수입품에는 30% 관세가 유지되고 있어, 마진이 낮은 품목을 취급하는 기업에는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로 인해 해상 물동량 수요에 부정적인 영향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동시에 일부에선 지난 4월 9일 발표된 145% 관세 여파로 인해 중국 내 조달 및 생산을 일시적으로 줄였던 기업들이 다시 속도를 내는 데는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 카고프레스 & cargo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NEW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