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송상근)는 13일(수) 베트남의 최고 지도자인 또 럼(To Lam) 당 서기장이 국내 최초 완전 자동화터미널인 부산항 신항 7부두(동원글로벌터미널부산, DGT)를 방문했다고 밝혔다. 이번 방문은 항만 인프라와 운영 체계에 각별한 관심을 가져온 또 럼 서기장이 부산항의 스마트 운영 사례를 직접 살펴보고, 향후 베트남 항만 개발에 있어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됐다. 또 럼 서기장을 비롯해 공안부 장관 등 관계부처 고위 인사 약 60여 명으로 구..
HMM이 2025년 상반기 매출 5조4,774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9.7%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8,471억 원으로 19.4% 감소했다. 영업이익률은 15.5%로 글로벌 주요 선사 중 여전히 상위권을 유지했다. 순이익은 1조2,11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했다. 상반기 평균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1,701포인트로 전년 대비 27% 하락했다. 특히 유럽항로 운임이 43%, 미주 서안 항로가 34% 급락하며 수익성에 부담을 줬다. 지난해 상반기에는 홍해 사태 등 지정학적..
프라포트(Fraport)가 2025년 7월 화물 처리량에서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다. 보도자료에 따르면 프랑크푸르트공항(FRA)의 7월 화물 처리량은 17만9,055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3.7% 증가했다. 이번 증가세는 유럽 휴양지 노선과 함께, 태국·동아프리카 등 장거리 노선에서의 여객 수요 회복이 belly cargo 공급 확대와 연계된 영향이 컸다. 또한, 7월 이착륙 횟수가 전년 대비 5.3% 늘어난 4만2,657회에 달하면서 항공 화물 운송 여력이 확대됐다. 총 최대이륙중량(MTOW)도 2..
미국 정부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상호주의’ 관세 부과를 90일 추가 유예하며, 유예 기간이 오는 11월 10일까지 연장됐다. 이번 조치는 일부 글로벌 공급망의 운영 논리를 바꿀 수 있는 잠재적 변수가 될 전망이다. 지난 주말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명령을 통해 관세 유예를 발표하면서, 이번 연장은 양국 간 무역 불균형 해소와 경제·안보 현안 해결을 위한 협의의 결과라고 밝혔다. 일단 중국 역시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현행 10% 관세 인상 계획을 유예..
* 이미지 출처 : ST 엔지니어링 ST 엔지니어링 상업항공 부문과 중국 최대 화물항공사인 SF항공이 설립한 합작법인 ‘ST 엔지니어링 에어로스페이스(후베이) 항공서비스’는 중국 후베이성 어저우(Ezhou)에 신규로 동체 정비(MRO) 시설을 공식 개장했다. 어저우 MRO 기지는 개장과 함께 2동의 격납고를 우선 운영하며, 시장 수요 증가 시 4동을 추가해 총 6동 규모로 확장할 계획이다. 1호 격납고는 오는 2025년 8월 12일 첫 항공기를 수용하고, 2호 격납고는 2027년 ..
11월 호놀룰루-인천, 후쿠오카, 보스턴 노선 잠정 중단 알래스카 에어 그룹(Alask Air Group)은 글로벌 비전을 반영한 알래스카항공의 신규 동체 디자인을 공개했다. 보잉 787-9 기종에 적용되는 새로운 디자인은 오로라(북극광)에서 영감을 받은 진한 청색과 에메랄드 녹색 색상이 적용됐다. 동체 측면의 가로 스트라이프는 1970 - 80년대 동체 디자인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것이 특징이다. 2026년 1월을 시작으로 내년 봄까지 알래스카항공의 모든 보잉 787-9 항공기에 순차 적..
캐세이퍼시픽그룹의 화물부문이 2025년 6월에도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캐세이 카고는 6월 한 달간 13만톤 이상의 화물을 운송하며 전년 동월 대비 6.3% 증가했다. 다만 유효화물톤킬로미터(AFTK)는 5% 늘었으나, 적재율은 전년 대비 1.1%포인트 하락했다. 이에 따라 올해 상반기 누적 화물 수송량은 전년 대비 11.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라비니아 라우(Lavinia Lau) 최고고객·상업책임자(CCO)는 “6월 화물 증가의 주된 요인은 관세 부과 일정과 이에 ..
글로벌 항공화물 운임이 비수기임에도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TAC Index가 발표한 최신 통계에 따르면, 8월 11일로 끝난 한 주 동안 글로벌 발틱 항공화물지수(BAI00)는 전주 대비 2.2% 상승했다. 전통적인 하계 비수기임을 감안하면 의미 있는 상승폭으로, 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1.8% 하락하는 데 그치며 거의 제자리를 회복했다. 중국발 주요 노선 중 유럽행 운임은 소폭 하락했으나, 미국행 운임은 재차 상승했다. 최근 데이터에 새로 포함된 ‘북아시아-인도’..
중국 선사들이 오는 10월부터 시행되는 미국 항만 사용료 부과를 앞두고 노선 조정에 나서고 있다. 최근 관련업계에 따르면, OOCL은 오는 20일부터 칭다오발 멕시코 엔세나다·만사니요 직항 ‘Transpacific Latin Pacific 8(TLP8)’ 노선을 신규 개설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서비스는 칭다오에서 엔세나다까지 16일, 만사니요까지 20일의 경쟁력 있는 운송 기간을 제공하며, 신흥시장 네트워크 확대를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업계 전문가들은 OOCL의 이번 조치..
* 이미지 출처 : My freighter LinkedIn 우즈베키스탄에 본사를 둔 화물 항공사 My Freighter가 타슈켄트(TAS)에 있는 주요 허브를 경유하여 상하이 푸동(PVG)에서 암스테르담 스키폴(AMS)까지 새로운 노선을 개설했다. 최근 LinkedIn을 통해서 My Freighter는 PVG – TAS – AMS 노선에 주 2회 정기편 화물기 운항을 시작했다고 밝히면서, 해당 노선은 B767-300F를 투입해 중국과 유럽을 연결하며, 타슈켄트를 통해 주요 지역 목적지로의 확장된 접근성을 제공하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