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항만 자동화 기술 도입을 두고 고용주들과 갈등을 겪고 있는 항만 노조 노동자들 편에 서겠다고 밝혔다. 미 현지 매체들은 트럼프 당선인이 국제항만노동자협회(ILA) 해럴드 대그릿 회장과의 회담 후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 글을 올려, 동부 및 멕시코만 항만의 외국 기반 터미널 운영사와 해운사..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과 마찬가지로 유럽연합(EC)도 중국산 상품을 타깃으로 관세 개혁을 논의하는 가운데, 최근 유럽 물류업계는 저가 전자상거래 물품에 대한 관세 면제 기준인 ‘디 미니미스(De Minimis)’한도를 폐지하는 것이 문제를 해결할 "만능 열쇠"가 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Transport Intelligence(Ti)의 보고서에 따르면, 주요 경제 학자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4분기 항공화물 시장은 "아주 강한 성장세"를 보이며 사상 최고 성수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세가 2025년에도 지속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IATA 글로벌 화물 미디어 데이에서 경제학자 기슬레인 랭(Ghislaine Lang)은 “전자상거래의 급성장과 해운의 반복적인 혼란..
** 에어프레미아가 주최한 화물고객사 초청 행사에서 유명섭 대표(아랫줄 좌측에서 5번째)와 경영지원실장 박영철 부사장(좌측에서 6번째), 화물사업본부 김도길 본부장(좌측에서 4번째)가 화물사업본부 직원들과 기념사진 국내 최초 하이브리드 항공사인 에어프레미아가 어제(12일) 서울 강서구 소재 보타닉파크 웨딩&컨벤션에서 항공화물 고객사 주요 관계자 80여명을 초청해 감..
인도 주요 항구를 강타할 수 있는 파업 우려가 마침내 최종 타결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노사 양측은 새로운 5개년 노동 협정이 정부의 중재로 마침내 승인되고 주요 인도 항구에서의 파업 우려는 모두 끝났다. 전국의 6대 항만 노동자 노조의 지도부는 지난 9월에 항만 경영진과 합의한 향상된 임금 및 연금 규정에 대한 정부의 승인을 확보하기 위해 12월 17일부..
국제항공운송협회(IATA)가 항공 화물 추적 장치, 데이터 로거 및 센서 장치의 산업 안전 기준 준수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항공 화물 장치 평가 프로그램(Air Cargo Device Assessment Programme)’을 출시했다. IATA는 이 프로그램이 시간과 온도에 민감한 화물의 효과적인 운송 지원, 폐기물 감소 및 화물 품질 보존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이 평가 프로그램은 장치..
12월 첫째 주인 2024년 49주차 전 세계 항공 화물 평균 현물운임이 킬로그램당 3.30달러로 전년 대비 +21% 상승하며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운임은 +8%나 상승하면서 전체 시장을 주도하며 4분기 성수기의 정점을 마무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WorldACD Market Data에 따르면, 12월 2일부터 8일까지 아시아 태평양 지역 운임은 킬로그램당 4.86달러로 전..
글로벌 물류기업인 헬만 월드와이드 로지스틱스는 2025년 2월 1일부로 마틴 하비스레이팅거(Martin Habisreitinger)를 최고운영책임자(COO)로 임명한다고 발표했다. 마틴 하비스레이팅거는 헬만에서 지난 13년간 근무한 얀 클라인-라스투스(Jan Kleine-Lasthues)의 뒤를 이어 COO의 책임을 맡게되었다. 마틴 하비스레이팅거는 내년 초 글로벌 경영위원회에서 항공화물, 해상화물 및..
대한항공이 미국 애틀랜타 노선 취항 30주년을 맞이했다. 대한항공은 지난 1994년 12월 12일 서울과 애틀랜타를 잇는 노선을 처음 띄웠다. 당시 주 3회 운항하며 한국과 미국 남동부를 연결하는 중요한 항공 교통망으로서의 역할을 했다. 이에 따라, 대한항공은 12일(현지시간) 오전 미국 애틀랜타 하츠필드잭슨 국제공항에서 KE036편 탑승객을 대상으로 취항 30주년 기념 행사를 ..
프랑크푸르트공항(FRA)은 2024년 11월 한 달 동안 화물 처리량이 전년동기비 2.4% 증가한 17만8,355톤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반면, 항공기 운항 횟수는 34,828회로 1.4% 감소했으며, 항공기의 최대이륙중량(MTOW)은 2.2백만 톤으로 0.6% 줄어들었다. 한편, 여객 실적은 460만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0% 증가했으나,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같은 기간 대비 8.4% 낮은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