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에어버스는 터키항공으로부터 신형 화물기인 A350F 5대 주문을 확정했다고 발표했다. 에어버스는 캐세이카고가 최근 해당 기종 6대 주문과 함께 추가 옵션 20대 추가 주문에 이어 발표된 것으로 이번 주문으로 항공화물 시장에서 인기를 확인할 수 있다. A350F는 최대 111톤의 화물 탑재량을 가지고 있으며 최대 항속고리기 8.700km에 달한다. 화물칸 도어 폭은 4.4미터이다. ..
인천공항이 ‘글로벌 스마트 선도 공항’도약을 목표로 네덜란드 스키폴공항 등 해외 유수공항과의 협력을 확대해 나간다.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이학재)는 현지시각 14일 오후(한국시각 14일 오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스키폴공항과 ‘스마트 인프라 관리 및 디지털 전환을 위한 상호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날 협약 체결식..
무역과 개발을 다루는 유엔(UN) 기구인 UNCTAD는 최근 글로벌 무역 업데이트를 통해서 2023년 세계 무역이 지난해보다 5% 감소한 수준을 보일 것이라고 추정 발표했다. 이는 금액 기준 약 1조 5천억 달러가 감소한 31조 달러 미만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한 것이다. 이같은 무역 감소 추세에 대한 이유로 UNCTAD는 아직도 진행중인 지정학적 긴장(리스크)를 시작으로 부채증가, 경제..
파나마운하가 가뭄으로 인한 흘수 감소 조치 등으로 인해 컨테이너 선박 통행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일일 통과 선박 숫자를 제한하는 등 사실상 공급망 제약이 심화되는 가운데, 최근 파나마운항관리청(ACP)은 11월 기준 운하통과 교통량을 발표, 전체 교통량이 지난 10월보다 22%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11월 기준 통과 선박 수 감소는 빙산의 일각..
최근 B737-800BCF 개조 화물기 도입을 시작한 오만항공이 최초의 화물기 운항을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오만항공은 최근 자사 허브인 Muscat International Airport(MCT)를 출발해 첫 번재 목적지인 인도 GMR Hyderabad International Airport에 무사히 도착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화물 노선은 매주 화요일과 토요일 주 2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편당 22톤의 화물공급을 제공..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에 여전히 부진의 느낌을 지울 수 없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중국에서 쏟아져 나오는 이커머스 화물 수요가 세계 항공화물 시장을 성수기가 아닌 성수기로 몰고 있다. 최근까지 주요 항공화물 포워더들은 중국에서 출발하는 전자상거래 수요가 급증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알려진 것처럼 중국발 공급 부족이 심화되면서, 인천공항을 위시한 아시아의 다른 거점 공..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이학재)는 지난 2018년부터 공사가 위탁운영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쿠웨이트공항 제4터미널 제1기 위탁운영사업’의 후속사업인 ‘쿠웨이트공항 제4터미널 제2기 위탁운영사업’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이와 관련해 현지시각 12일 오전(한국시각 12일 오후) 쿠웨이트 민간항공청 내 행사장에서 계약 체결식이 열렸으며, 인천..
전자상거래 수요 확대에 힘입어 지난 12월 11일 기준 3주차 글로벌 항공화물 운임이 여전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항공화물 운임 지수 주간 데이터를 발표하는 TAC는 12월 11일 기준 지난 한 주간 발틱항공화물운임지수(BAI00)가 전주 대비 4.6% 올랐다고 전하면서, 다만 여전히 지난해 같은 기간(주간)보다는 (-)10.0% 낮은 수준을 보였다고 밝혔다. 일부 전문가들은 올해 ..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지난 8일 잠실 롯데호텔 월드에서 공정거래위원회 주관으로 개최된 ‘2023년 소비자중심경영(CCM) 인증서 수여식’에서 CCM 인증을 신규 획득했다고 11일 밝혔다. 소비자중심경영(CCM·Consumer Centered Management) 인증은 기업이 수행하는 모든 경영 활동을 소비자 관점으로 구성하고 관련 경영활동과 개선내역을 2년마다 평가하는 국가 인증 ..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이학재)는 공사 인재개발원이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항공교육기관 인증제도의 최고등급인 ‘플래티넘’등급을 획득했다고 11일 밝혔다. ICAO는 항공분야 최고 수준의 교육기관을 선정해 공인하는 ‘항공전문 국제교육기관(Trainair Plus) 인증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기존에 운영 중이던 회원등급(준회원, 정회원, 지역항공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