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물류기업 헬만 월드와이드 로지스틱스(Hellmann Worldwide Logistics)가 콜롬비아에 신규 법인을 설립하고 미주 지역 사업 확장에 본격 나섰다. 헬만은 지난 30년간 콜롬비아에서 로컬 파트너사와의 협력을 통해 시장에 진출해 왔다. 특히 올해 초에는 신선물류 전문 파트너사 HPL 아폴로(HPL Apollo) 및 그 산하 콜롬비아 법인을 인수하면서 현지 사업 기반을 확대했다. 이를 바탕으로 헬만은 일반 화물을 비롯해 항공·해상운송, 통관, 계약물류 등 종합 물류 서..
6월 기준 벨기에 브뤼셀공항의 항공화물 처리량이 전년 동월 대비 18% 증가한 6만 3,200톤을 기록하며 뚜렷한 성장세를 보였다. 상반기 누적 화물 물동량은 전년 대비 9.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브뤼셀 공항 당국은 6월 실적발표를 통해서 화물운송량(Flown cargo)이 전년동기비 25.5% 늘어난 5만 5,601톤에 달했다고 밝혔다. 특히 전용화물기(full freighter) 운항 증가율은 46%로 가장 두드러졌으며, 벨리카고(belly cargo)는 4% 상승했다. 통합물류서비스(integrator) 부..
두바이의 글로벌 지상조업 서비스 기업인 dnata가 두바이월드센트럴 알막툼국제공항(DWC)에 자율주행 전기 트랙터를 배치하며 지상조업 자동화에 본격 착수했다. 이번 배치는 항공 산업 내에서 가장 인력 의존적이고 시간 집약적인 분야 중 하나로 꼽히는 램프 작업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끌어올리기 위한 움직임으로, dnata는 이를 통해 미래 공항 운영의 청사진을 그리겠다는 방침이다. dnata는 프랑스의 자율주행 차량 전문업체 TractEasy가 개발한 EZTow 모델 전기 트..
글로벌 물류 및 운송 분야의 인수합병(M&A)이 2025년 6월에도 활발히 진행된 가운데, 유럽과 북미가 주요 무대로 떠올랐다. 특히 미국은 북미 전체 11건의 인수를 단독으로 차지하며 최다 인수 국가로 기록됐다. 물류 전문 컨설팅 업체 로지신 어드바이저(Logisyn Advisors)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6월 전체 인수의 44%가 유럽에서 발생했으며, 북미는 41%를 차지했다. 서비스 분야별로는 물류 및 소프트웨어 부문이 각각 22%씩 총 44%를 기록해, 가장 활발한 인수 ..
도이체포스트 DHL 그룹이 오는 2025년 8월 16일 자로 글로벌 포워딩 및 프레이트 부문(DHL Global Forwarding, Freight)의 신임 CEO로 오스카 드 복(Oscar de Bok)을 임명한다고 15일 발표했다. 드 복은 현재 DHL 서플라이체인(DHL Supply Chain) CEO이자 그룹 이사회 멤버로 활동 중이며, 은퇴를 앞둔 팀 샤바스(Tim Scharwath) CEO의 뒤를 잇는다. 오스카 드 복은 1999년 DHL 그룹에 합류해 이탈리아, 북유럽, 아시아 등 다양한 지역에서 공급망 사업을 이끌었으며, 2019년 10..
독일항공사대표협회(BARIG)는 글로벌 물류기업 MSC 그룹의 자회사 MSC 에어카고(MSC Air Cargo)가 신규 회원으로 가입했다고 7월 15일 발표했다. 이번 가입으로 MSC 에어카고는 BARIG가 보유한 전 세계 30여 개 글로벌 항공화물사들과 협력 체계를 구축하게 됐다. 마이클 호페(Michael Hoppe) BARIG 회장은 "MSC 에어카고의 가입은 협회가 추구하는 실질적인 성과 달성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독일 항공물류산업은 높은 입지 비용과 복잡한 행정 절차 등의 ..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이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지난주 전 세계 주요 항공 물류 허브에서 일제히 상승세를 나타냈다. 특히 미중 간 관세 재부과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서도 중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강한 운임 상승 흐름을 보이며 시장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항공화물 운임 분석기관인 TAC Index가 발표한 최신 자료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 전 세계 항공화물 운임을 종합한 발틱항공운임지수(BAI00)는 전주 대비 3.4% 상승했다. 이 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단 3.1% 낮..
영국 브렉시트 상황 반면교사 삼아야 미국 백악관이 최근 800달러 미만 수입물품에 적용되던 디미니미스(De Minimis) 면제를 철폐하겠다고 밝히면서, 글로벌 공급망 업계가 관세 부담에 따른 여파로 바짝 긴장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물류공급망 전문가들은 이번 폐지 정책의 파급력은 면세가 아닌 관세 추가 부담이 아니라,‘관세’보다 ‘통관 시스템’일 수 있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디미니미스 면제는 (비용적 측면보단) 현재까..
미국과 중국 간 컨테이너 물동량 지표가 해운 성수기를 앞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미국 로스앤젤레스항의 물류 데이터 플랫폼 ‘포트 옵티마이저(Port Optimizer)’에 따르면, 7월 13일부터 19일까지 도착 예정인 수입 컨테이너 물량은 12만8,720TEU(20피트 컨테이너 환산 단위)로 전주 대비 8.68%, 전년 동기 대비 13.2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언 듯 긍정적인 신호로 보이지만, 문제는 그 이후다. 7월 20~26일 주간 예상 수입량..
전 세계 가장 많은 국가로 취항하는 터키항공이 남아프리카공화국 항공사 에어링크(Airlink)와의 공동운항으로 아프리카 대륙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한다. 터키항공과 에어링크는 요하네스버그 에어링크 본사에서 양사 고위 임원진이 참여한 가운데 공동운항 협정을 체결했으며, 해당 협정은 오는 2025년 8월 1일부터 효력을 발휘한다. 이번 전략적 협력으로 터키항공의 독보적인 글로벌 네트워크와 에어링크의 광범위한 남아프리카공화국 및 인근 지역 국내외 노선이 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