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포트(Fraport)가 2025년 7월 화물 처리량에서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다. 보도자료에 따르면 프랑크푸르트공항(FRA)의 7월 화물 처리량은 17만9,055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3.7% 증가했다. 이번 증가세는 유럽 휴양지 노선과 함께, 태국·동아프리카 등 장거리 노선에서의 여객 수요 회복이 belly cargo 공급 확대와 연계된 영향이 컸다. 또한, 7월 이착륙 횟수가 전년 대비 5.3% 늘어난 4만2,657회에 달하면서 항공 화물 운송 여력이 확대됐다. 총 최대이륙중량(MTOW)도 2..
미국 정부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상호주의’ 관세 부과를 90일 추가 유예하며, 유예 기간이 오는 11월 10일까지 연장됐다. 이번 조치는 일부 글로벌 공급망의 운영 논리를 바꿀 수 있는 잠재적 변수가 될 전망이다. 지난 주말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명령을 통해 관세 유예를 발표하면서, 이번 연장은 양국 간 무역 불균형 해소와 경제·안보 현안 해결을 위한 협의의 결과라고 밝혔다. 일단 중국 역시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현행 10% 관세 인상 계획을 유예..
* 이미지 출처 : ST 엔지니어링 ST 엔지니어링 상업항공 부문과 중국 최대 화물항공사인 SF항공이 설립한 합작법인 ‘ST 엔지니어링 에어로스페이스(후베이) 항공서비스’는 중국 후베이성 어저우(Ezhou)에 신규로 동체 정비(MRO) 시설을 공식 개장했다. 어저우 MRO 기지는 개장과 함께 2동의 격납고를 우선 운영하며, 시장 수요 증가 시 4동을 추가해 총 6동 규모로 확장할 계획이다. 1호 격납고는 오는 2025년 8월 12일 첫 항공기를 수용하고, 2호 격납고는 2027년 ..
11월 호놀룰루-인천, 후쿠오카, 보스턴 노선 잠정 중단 알래스카 에어 그룹(Alask Air Group)은 글로벌 비전을 반영한 알래스카항공의 신규 동체 디자인을 공개했다. 보잉 787-9 기종에 적용되는 새로운 디자인은 오로라(북극광)에서 영감을 받은 진한 청색과 에메랄드 녹색 색상이 적용됐다. 동체 측면의 가로 스트라이프는 1970 - 80년대 동체 디자인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것이 특징이다. 2026년 1월을 시작으로 내년 봄까지 알래스카항공의 모든 보잉 787-9 항공기에 순차 적..
캐세이퍼시픽그룹의 화물부문이 2025년 6월에도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캐세이 카고는 6월 한 달간 13만톤 이상의 화물을 운송하며 전년 동월 대비 6.3% 증가했다. 다만 유효화물톤킬로미터(AFTK)는 5% 늘었으나, 적재율은 전년 대비 1.1%포인트 하락했다. 이에 따라 올해 상반기 누적 화물 수송량은 전년 대비 11.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라비니아 라우(Lavinia Lau) 최고고객·상업책임자(CCO)는 “6월 화물 증가의 주된 요인은 관세 부과 일정과 이에 ..
글로벌 항공화물 운임이 비수기임에도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TAC Index가 발표한 최신 통계에 따르면, 8월 11일로 끝난 한 주 동안 글로벌 발틱 항공화물지수(BAI00)는 전주 대비 2.2% 상승했다. 전통적인 하계 비수기임을 감안하면 의미 있는 상승폭으로, 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1.8% 하락하는 데 그치며 거의 제자리를 회복했다. 중국발 주요 노선 중 유럽행 운임은 소폭 하락했으나, 미국행 운임은 재차 상승했다. 최근 데이터에 새로 포함된 ‘북아시아-인도’..
중국 선사들이 오는 10월부터 시행되는 미국 항만 사용료 부과를 앞두고 노선 조정에 나서고 있다. 최근 관련업계에 따르면, OOCL은 오는 20일부터 칭다오발 멕시코 엔세나다·만사니요 직항 ‘Transpacific Latin Pacific 8(TLP8)’ 노선을 신규 개설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서비스는 칭다오에서 엔세나다까지 16일, 만사니요까지 20일의 경쟁력 있는 운송 기간을 제공하며, 신흥시장 네트워크 확대를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업계 전문가들은 OOCL의 이번 조치..
* 이미지 출처 : My freighter LinkedIn 우즈베키스탄에 본사를 둔 화물 항공사 My Freighter가 타슈켄트(TAS)에 있는 주요 허브를 경유하여 상하이 푸동(PVG)에서 암스테르담 스키폴(AMS)까지 새로운 노선을 개설했다. 최근 LinkedIn을 통해서 My Freighter는 PVG – TAS – AMS 노선에 주 2회 정기편 화물기 운항을 시작했다고 밝히면서, 해당 노선은 B767-300F를 투입해 중국과 유럽을 연결하며, 타슈켄트를 통해 주요 지역 목적지로의 확장된 접근성을 제공하게 ..
미 관세 확대·운임 변동성·공급망 재편 AI·고부가 기술화물이 수요 견인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이 2025년 하반기를 앞두고 무역정책 변화와 공급망 재편, 제한적인 운항 용량 등 복합적인 변수를 맞이하고 있다. 최근 글로벌 포워더인 DSV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항공화물 시장 업데이트”에 따르면, 미국 행정부의 중국발 화물 관세 인상과 디미니미스(De Minimis) 제도 폐지, EU의 탄소배출권거래제(ETS) 확대 등 정책 변화가 시장 흐름을 ..
덴마크 해운·물류 기업인 머스크(Maersk)의 빈센트 클레르크(Vincent Clerc) CEO가 최근 애널리스트 콜에서 “중국은 더 이상 서구 브랜드 생산에 의존하지 않고, 자국 브랜드로 세계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Ti(Transport Intelligence) 의 데일리 브리핑에 따르면, 그는 전기차(EV), 태양광 패널, 풍력 터빈, 화학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국 기업이 글로벌 무대에 진출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이는 글로벌 무역의 구조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