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AO 2028년 탄소배출 규제도 한몫 할 것 최근 열린 튀르키에 이스탄불에서 열린 Aviation Connect 회의에서는 항공화물 업계가 현재 겪고 있는 와이드바디 화물기 공급 부족이 앞으로도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Atlas Air의 전략 담당 책임자는 “현재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의 공급이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
전 세계 가장 많은 국가로 취항하는 터키항공이 글로벌 항공사 평가 기관 APEX(Airline Passenger Experience Association)로부터 4년 연속으로 ‘월드 클래스(World Class)’ 어워드를 수상했다. 지금까지 전 세계 10개 항공사에게만 주어진 권위있는 월드 클래스를 수상함으로써 터키항공은 다시 한 번 항공 업계에서 선도적인 입지를 공고히 했다. 터키항공은 또한 APEX..
지난 1일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가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한 ‘제32회 물류의 날’ 기념식에서 퓨마스로지스틱스(주) 배경한 대표(한국국제물류협회 수석부회장)가 한국물류대상 산업포장을 수훈했다. 이날 한국물류대상 시상식에서 산업포장을 수훈한 배경한 대표는 37년간 국제물류주선업에 종사하면서 물류기업의 해외진출 및 전문 복합운송서비스 개발에 주력하였..
국제항공운송협회(IATA)가 항공업계를 위한 금융 결제 시스템에 디지털 통화를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무함마드 알바크리 IATA 금융결제 및 유통 서비스 부문 수석 부사장은 “디지털화는 우리가 사용하는 통화 포함, 일상생활의 많은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디지털 통화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IATA의 산업 금융 결제 시스템도 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변..
(*firefly) 미국의 주요 육상물류 기업들이 멕시코와의 국경을 통해 글로벌 공급망을 남쪽 경로로 확장하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북미 지역 Class I 철도 운송업체인 CPKC와 CSX는 미국 남동부와 멕시코를 잇는 새로운 철도 연결망을 개설할 예정이며, 우버 프레이트(Uber Freight)는 멕시코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며 운송 경로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철도..
10월 항공화물 시장은 항공사와 화물 운송사들이 합리적인 운임을 유지하는 가운데, 수요 증가와 공급 차질 속에서도 비교적 안정된 흐름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발표된 Xeneta의 시장 데이터에 따르면 10월 항공화물 물동량은 전년 대비 11% 증가했으며, 현물 가격은 19% 상승했다. 이는 시장 수요-공급 간의 균형을 반영한 것이다. 다만 8월과 9월 평균 운임은 전년 대비 ..
LATAM Cargo와 Delta Cargo가 제약 화물 운송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새로운 스테이션을 추가했다. 두 항공사는 파트너십 확대의 일환으로 제약 화물 네트워크를 통합하고 있으며, LATAM은 디트로이트(DTW), 필라델피아(PHL) 등 Delta의 스테이션을 포함해 네트워크를 52.9% 확대했다. Delta Cargo 역시 마이애미(MIA), 쿠리치바(CWB) 등 새로운 스테이션을 추가해 제약 화물 네트워..
9월 항공 화물 수요가 높은 수준으로 증가를 지속했으나, 전년 대비 증가율은 올해 9개월간의 개선폭에 비해 다소 둔화됐다. IATA(국제항공운송협회) 최신 자료에 따르면, 9월 항공 화물 수요는 화물 톤킬로미터(CTK) 기준으로 전년 대비 9.4% 증가했으며, 공급량은 6.4% 늘어났다. 평균 화물 탑재율은 1.3%포인트 상승하여 45.6%를 기록했다. 공급량 증가는 주로 국제 항공편 화물..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인천센터)는 1일 ‘2024년 제14회 물류산업 현장방문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한진과 협력해 물류산업 이해 증진에 힘쓰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에는 라스트마일 및 스마트 물류 분야의 스타트업 관계자 20명이 참가해 ㈜한진이 보유한 물류 인프라를 직접 경험했다. 프로그램 참가자들은 대전 스마트 메가허브 터미널(SMART Mega-Hu..
프라임글로벌네트워크가 인도네시아 포워더사로는 최초로 IATA CEIV 리튬 배터리 인증을 획득했다. 인도네시아는 동아시아의 주요 리튬 배터리 제조 및 수출 허브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리튬 배터리 항공 물류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리튬 배터리의 국제 운송은 안전성과 지속 가능성, 그리고 효율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복잡한 과제이므로, 프라임글로벌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