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전역의 항만에서 파업이 종료되며 운영이 재개됐으나, 대규모 컨테이너 적체로 인해 화주들은 체화료(Detention & Demurrage, D&D)와 같은 추가 비용 부담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몬트리올항은 지난 10월 31일 Termont 터미널에서 시작된 파업 이후 캐나다 산업관계위원회(CIRB)의 명령에 따라 11월 16일 오전 7시 운영을 재개했다. 몬트..
Shell 그룹 산하의 Sustainable Aviation Fuel(SAF) 예약과 정산을 위한 플랫폼인 '아벨리아(Avelia)'가 항공화물 시장으로 서비스를 확대한다. 현재 비즈니스 여행 부문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아벨리아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화물 포워더와 화주들이 SAF 사용으로 발생하는 탄소 감축 효과를 추적하고 사용량을 할당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 같은 투자 ..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이달 20일부터 23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국제 종합 식품 전시회인 ‘제19회 서울국제식품산업전(코엑스 푸드위크 2024)’에 참가해 식품 물류 분야의 첨단 기술과 친환경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회에서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식품 기업들에게 국내 운송부터 수출입 물류까지 아우르는 원스톱 토탈 물류 서비스를..
카타르항공 화물(Qatar Airways Cargo)과 말레이시아항공 그룹의 화물 부문 자회사인 MASkargo가 새로운 전략적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2024년 10월 1일 공식적으로 시작되었으며, 현재까지 약 2,400톤의 화물을 성공적으로 운송했다. 이 중 600톤 이상의 신선식품과 130톤의 의약품도 포함됐다. 카타르항공 화물은 도하(Doha)와 쿠알라룸푸르(Kuala Lumpur)간 주 2..
루프트한자 카고의 자회사인 타임매터스(time:matters Gmb)와 중국 선전공항그룹(Shenzhen Airport Group)이 물류 처리 서비스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Shenzhen공항은 중국 광둥-홍콩-마카오 대만구(Greater Bay Area)의 핵심 공항으로,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항공 물류 수요 증가에 대응하며 주요 물류 거점으로 자리 잡고 있다. 루프트한자 카고는 지난 ..
11월 18일까지 지난 한 주간 글로벌 항공화물 운임은 소폭 하락했지만, 중국발 운임은 상승세를 이어나갔다. 글로벌 발틱 항공 화물 운임 지수(BAI00)는 지난 한 주 동안 전주 대비 1.6% 하락했다. 이는 시장이 성수기 절정을 향해가는 시점에서 예상보다 다소 약한 수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BAI00 지수는 여전히 전년 동기 대비 1.0%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에..
헬만 월드와이드 로지스틱스(Hellmann Worldwide Logistics)가 두바이 커머시티(Dubai CommerCity) 이커머스 센터에 Geekplus 로봇 자동화 저장 솔루션을 성공적으로 도입하며 물류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AI-RobotX MEA와 협력하여 진행되었으며, 운영 효율성과 저장 용량을 높이고 배송 시간을 단축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헬만은 2023년 전 세계 운영에서 ..
내년 2025년에 항공화물 시장은 공급 부족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이는 여객기 추가 투입이 둔화되고, 화물기 공급이 부족한 가운데 전자상거래 수요는 여전히 강세를 보일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주 열린 TIACA Air Cargo Forum에서 글로벌 시장 조사 업체인 Rotate의 CEO 라이언 키루스는 항공화물 공급측면에서 예상되는 문제점을 ..
“트럼프 2기 집권 이후 미국 전체 항만을 대상으로 한 친환경 물류인프라 사업은 철회될 가능성이 높다”“항만이 4-5개 밖에 없는 서부보다 세금이 낮고 물류인력이 집중되어 있는 동남부와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로 묶여있는 캐나다·멕시코 국경지역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
한국국제물류협회(이하 'KIFFA')는 12일 협회 회의실에서 ‘2024년 하반기 기자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KIFFA 원제철 회장은 “협회는 물류정책기본법 개정 추진, 국제물류산업 특별법 제정 추진, 한국국제물류산업협동조합(가칭) 설립, 포럼 및 세미나 개최를 통해 국제물류산업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밝히며 "앞으로도 국제물류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