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입항 선박중 20% 정도 수수료 영향 주요 선사들, 중국 건조 선박 타 항로 배치 이미 알려진 것처럼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발표한 새로운 항만 수수료 정책에 따라, 오는 10월부터 미국 항만에 입항하는 중국 선박에 대한 추가 부담이 본격화된다. 일단 선박의 건조지와 무관하게 중국 선사들이 운용하는 모든 선박에는 (순)톤당 50달러의 추가 요금이 부과되며, 이 역시 20..
모로코 국적항공사 로얄에어모로코(Royal Air Maroc;AT)의 화물 부문인 로얄에어모로코카고(Royal Air Maroc Cargo)가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성장 전략을 발표하며 항공화물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AT는 차세대 와이드바디 항공기 도입을 중심으로 한 기재 현대화와 디지털 전환, 지속가능성 강화, 지역사회 기여 확대를 통해 모로코를 글로벌 물류 허브로 도약시키겠다는 비..
카타르항공 화물(Qatar Airways Cargo), IAG 카고(IAG Cargo), 말레이시아항공 계열의 MAS카고(MAB Kargo Sdn Bhd)는 전 세계 항공화물 시장을 겨냥한 글로벌 화물 합작사업(Global Cargo Joint Business) 출범 의사를 공식 발표했다. 이번 3자 간 전략적 협력은 각 사가 보유한 운송 인프라와 물류 전문성을 결합해 고객과 파트너에게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전 세계 항공화물 ..
* 이미지 : ChatGPT 미국이 다음 달부터 중국과 홍콩발 저가 소포에 대한 면세 혜택을 전면 철폐하고,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145%에 달하는 고율 관세를 부과할 예정인 가운데, 이로 인해 향후 3년간 글로벌 항공화물 산업에서 220억 달러(약 30조 원) 이상의 수익이 사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특히 중국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배송하는 전자상거래 모델(B2C)을 기반으로 한 ..
국제특송업체인 DHL이 최근 미국 세관 규정 변경에 따른 통관 지연을 이유로, 오는 4월 21일(월)부터 별도 공지가 있을 때까지 미국 내 개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800 초과 B2C 배송을 일시 중단한다고 밝혔다. DHL은 고객 공지를 통해 “이번 조치는 미국 세관 규정 변경으로 인해 $800을 초과하는 모든 수입화물에 대해 정식 통관(Formal Entry) 절차가 의무화되면서, 통관 ..
* infographic: ChatGPT 올 16주~19주차 동안 아시아발 북미 서안 항로의 선복이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해운 분석기관 Sea-Intelligence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6주 전까지만 해도 기간중 143만 TEU(20피트 컨테이너 환산 단위)의 공급이 예정돼 있었지만, 15주차 시점 기준으로는 137만 TEU 수준으로 하향 조정됐다. 이는 약 12%에 달하는 공급 축소라고 설명했다. ..
중국 선박 입항 수수료 시행시 악순환 반복 동남아 중심 단기간 물량 급등 전망도 최근 미국의 관세 정책이 다시 혼란을 야기하며 글로벌 해상 컨테이너 시장 전반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흔히들 선박 충돌 사고는 사전에 많은 조짐과 징후가 나타난다고 한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갑자기 사고가 터지듯, 지금 컨테이너 해운업계 전반은 지금 위기 국면에 진입하고 있다는 우려가..
* 이미지: ChatGPT 미국 수출업체들이 중국 바이어들로부터 화물 인수를 거부당하면서 정체된 수출화물에 대한 보관료·반송비·폐기비용 등의 부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중 관세 전쟁 영향이 주로 수입 관세에 집중돼 있었지만, 이제는 미국 수출업체들에게 타격을 주고 있다는 현지 포워더들의 증언이 나오고 있다. 이는 중국 바이어..
미국이 중국발 소포에 대한 디 미니미스(관세 면제 기준) 적용을 곧 종료할 예정인 가운데, UPS와 FedEx가 이를 앞두고 중국발 택배화물에 대한 추가 요금 부과에 나섰다. UPS는 4월 13일부터 중국, 홍콩, 마카오발 미국행 소포에 대해 파운드당 0.29달러의 ‘surge fee’를 부과하고 있다. 이 할증료는 해당 화물의 운임허용중량(billable weight)을 기준으로 책정되며, ..
* 이미지: ChatGPT 대만 정부가 미·중 무역 갈등 심화에 따른 동남아발 물동량 증가에 대비해 환적 물량 유치를 위한 항만 선석 확충에 나선다. 최근 관련업계에 따르면, 대만 교통통신부 천스카이(Chen Shih-kai) 장관은 지난 20일 입법원에서 열린 회의에서, 미국의 추가 관세 90일 유예 조치에 대응하기 위해 관련 대책을 수립 중이라고 밝히면서, 미국으로 향하는 컨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