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만 정부가 미·중 무역 갈등 심화에 따른 동남아발 물동량 증가에 대비해 환적 물량 유치를 위한 항만 선석 확충에 나선다.
최근 관련업계에 따르면, 대만 교통통신부 천스카이(Chen Shih-kai) 장관은 지난 20일 입법원에서 열린 회의에서, 미국의 추가 관세 90일 유예 조치에 대응하기 위해 관련 대책을 수립 중이라고 밝히면서, 미국으로 향하는 컨테이너 환적 수요를 처리할 수 있는 추가 선석을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8일,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해 90일간 10% 기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으며, 중국산 수입품에는 145%의 고율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대만은 가오슝항과 기륭항에 추가 선석을 조성함과 동시에 대만-미국 간 컨테이너 수송을 수행하는 해운사, 특히 외국계 선사들을 대상으로 최소 60만 달러 이상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단기적으로 미국 수출 수요가 급증하고 선복이 부족할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 당초 4월 9일부터 상호 보복 관세가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일부 화주들이 선적 예약을 취소하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5월 이후 수요가 급등할 것으로 예상한 조치이다.
대만 교통통신부는 이로 인해 5월 대만 항만의 컨테이너 적재율은 약 70~80%로 예측되며, 이는 4월의 75~85% 대비 약 5%p 하락한 수준이지만, 관세 부과가 유예된 이후 적재율은 점차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서 당장의 앞일을 예측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무엇보다도, 동남아 국가의 제조업체들이 90일 유예 기간 이후 예상되는 추가 관세를 피하기 위해 수출 물량 밀어내기에 나서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이같은 대응 조치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현재 대만 주요 항만은 미국과 주당 15편의 정기 항로를 운영 중이다. 지난해 기준 대미 직수출 컨테이너 물량은 약 59만TEU였으며, 철강 및 플라스틱 제품 등 78만5,000TEU 상당이 환적 형태로 미국으로 수송된 것으로 나타났다.
[ⓒ 카고프레스 & cargo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NEW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