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장 수요 위축과 지정학적 위기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글러벌 컨테이너 선사들이 수급 안정을 위해 시행중인 이른바 ‘빈항해’는 이제 일상적인 일이 되고 있지만, 이같은 선사들의 정책이 내년까지도 계속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최근 해상운송시장에서 태평양횡단항로에서의 컨 운임이 계속 하락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시장 관계자들은 적어도 2023년 1분기까지 아시아-북미 구간 빈항해가 계속 유지될 것이며, 특히 베트남에서의 빈항해는 더욱 늘..
글로벌 항공화물 운임 시장 분석데이터를 발표하는 Xeneta는 최근 보도자료에서 지난 12월 초 기준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 운임이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메인 교역로인 동아시아- 미국 및 유럽 노선에서의 운임이 지난 2년중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고 밝혔다. Xeneta는 항공화물 시장 수요가 최근 9개월동안 연속 감소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11월 최종 수요 역시 전월대비 2%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이로 인해 프레이트 포워더들은 장기 공급 계약을 미루..
HMM(대표이사 김경배)은 일본 국적의 선사인 NBP(NYK Bulk & Project Carriers Ltd.)와 극동아시아발 중동향 중량화물 운송에 대해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 중량화물 운송은 원전이나 플랜트 사업 등 해외 건설 사업에 필요한 발전기, 기계설비와 같은 중량화물을 해상 운송하는 분야로 화물 자체가 무겁고 고가이기 때문에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HMM은 2007년부터 중량화물 운송을 시작해 현재 총 6척의 중량화물선(최대 크레인 용량: 640톤)을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
북미에서 가장 분주한 화물공항 중 하나인 온타리오 국제공항(ONT)의 항공 화물취급량은 최근 글로벌 항공화물 수요 위축에도 불구하고, Covid-19 대유행이 시작되기 전인 2019년 수준을 계속 초과하고 있다. 캐나다 공항당국은 지난 11월 항공 화물량은 두 자릿수 증가를 기록해, 지난 2019년 11월보다 10.3% 증가한 7만 4,000톤 이상을 기록했다고 보고했다. 이는 지난 10월 발표한 6만 8,000톤보다 늘어난 수치로,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항공화물 시장 수요에도 불..
글로벌 포워더인 Kuehne+Nagel은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수요 요구애 맞춘 항공화물 운송을 통한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를 출시했다. 새로운 서비스는 이른바“SemiconChain”이라는 품질 표준을 기반으로 제공되며, 여기에는 아주 강력한 항공화물 공급 제공과 보안 솔루션이 포함되어 있다. 즉, 반도체 상품을 이동하는 과정에서의 시간 보장 서비스를 비롯해, 적절한 핸들링, 에어사이드에서의 서비스, 최우선 항공편 배정 및 위험 완화 조치와 완전한 가시성을 제..
DB 쉥커의 모기업인 Deutsche Bahn(유)은 오늘 감독위원회(supervisory board) 회의를 열고, 100% 자회사인 DB Schenker의 매각 추진을 준비하겠다는 경영진의 손을 들어 주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다만 이같은 결정에도 불구하고 DB 그룹은 “아직 특정 매각 절차가 시작된 것은 아니며, 전반적인 상황에 따라 유동정이며 결정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 매각은 전체 그룹에 재정적 잇점이 확실할 경우에만 이루어져야 한다”는 다소 원론적인 발표를 한 것으로 알려졌..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김경욱)는 12월 15일(목) 오전 인천시 중구 파라다이스시티 호텔에서 美아틀라스에어월드와이드홀딩스(AAWW), 국내 항공정비 전문기업인 샤프테크닉스케이(Sharp Technics K)와 美아틀라스항공(AAWW)의 아시아태평양지역 항공정비(MRO) 허브 투자유치 실시협약(본 계약)’을 체결했다. 이날 행사는 인천국제공항공사 김경욱 사장을 포함해 美아틀라스에어월드와이드홀딩스(AAWW) 제임스 포브스(James A. Forbes) 총괄 부사장 겸 최고운영책임자, ㈜샤..
아시아나항공(대표 정성권)이 동계 스케줄에 맞춰 미국 하와이 노선을 매일 운항하는 등 대대적인 증편으로 주요 노선 운항 수준을 코로나19 이전으로 회복시키고 있다. 제일 먼저, 아시아나항공은 기존 주 5회 운항 중이던 인천-호놀룰루 노선을 이번 달 22일(목)부터 주 7회(매일 1회)로 증편 운항한다. 이번 증편으로 2020년 3월 말부터 운항을 중단한 이후 33개월 만에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운항을 회복한다. 아시아나항공은 하와이 이외에도 겨울 성수기를 맞아 전 노선..
예상한대로 미국 롱비치 및 로스엔젤리스로 대표되는 서부항만의 컨테이너 물동량이 11월에도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로스엔젤리스항만청은 최근 “지난 10월 20항차 수준의 기항 취소(빈항해)가 이어진 가운데, 11월에도 선사들이 13항차의 빈항해를 시도했으며, 12월에도 11항차를 취소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펜데믹 이전에도 이 정도 수준의 blank sailing은 없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로스엔젤리스 항구는 지난 11월 63만 9,344TEU의 물동량만을 처리, ..
최근 중국 정부의 제로 코로나 정책 (제한적)해제 조치와 맞물려, 홍콩정부도 기존의 항공운항과 관련된 제한 조치를 해제하고 있다. 이에 홍콩의 대표 항공사인 캐세이퍼시픽은 최근 일련의 조치가 항공산업을 활성화하고 무엇보다도 공 화물 허브로서의 홍콩의 연결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환영의 뜻을 보였다. 특히 항공기 운항 승무원에 대한 규제는 물론 홍콩 방문 여행객에 대한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입국자의 격리를 통한 제한조치, 즉 엠버코드를 14일부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