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물류기업 LX판토스는 매년 약 8천만 톤의 석탄 및 니켈 등을 실어나르는 인도네시아 최대 자원 운송 전문 벌크선사인 KSA와 ‘자원물류 JV 설립 및 운영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KSA 본사에서 열린 계약 체결식에는 LX판토스 이용호 대표, 아시아지역담당 이종찬 이사와 KSA 까르띠까 하디 대표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L..
항공화물 운임 분석업체인 TAC Index의 22주차(5월27일) 발표 데이터에서 이전 주 세계 항공화물 평균 운임은 상승세로 전환되어 전체 발틱 항공화물 지수(BAI00)가 한 주 동안 +0.9% 상승했으며, 이는 지난해와 비교해 +4.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운임 인상 추이는 최근 벨리공급이 급격하게 늘고 있는 하계 시즌임을 감안할 때 놀라운 강세를 보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글로벌 물류기업인 퀴네앤나겔(Kuehne+Nagel)이 텍사스주 엘패소에 새로운 물류 시설을 개장 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K+N측은 이번에 개장할 새로운 시설 부지는 총 36만 3,000평방피트 규모로 기존 국경 너머에 있는 4개의 창고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관계자는 "최근 니어쇼어링(Near Shoring) 추세가 증가함에 따라 글로벌 기업들의 멕시코 전역에 대..
전 세계적으로 항만 혼잡이 점점 심각한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는 지적이 늘고 있다. 홍해 사태의 여파가 상당 시간이 지난 후 글로벌 해운 공급망 시장을 강타하면서, 가장 최근에는 글로벌 2위 컨테이너 항구인 싱가포르 항구 혼잡이 심화되면서, 도착 선박이 정박을 위해 대기하는 시간이 최대 7일에 달하고 있단 소식이다 관련업게에 따르면, 이같은 싱가포르 항구 선박 대기열..
글로벌 화물항공사로 성장을 가속화시키고 있는 중동 대표적 항공사인 에미레이트카고는 두바이 거점 공항인 DXB와 함께 신공항으로 건설한 DWC(두바이월드센터)공항을 동시에 사용하는 이른바 듀얼 허브(Dual Hub) 전략이 성공적으로 안착됐다고 평가했다. 최근 이같은 양대 국제공항을 허브 공항으로 이용한지 10주년을 맞이해서 에미레이트 스카이카고(EK Cargo)측은 지난 10년간 ..
호주 멜버른 국제공항이 올해 1분기 호주 전체 항공 화물 수출량의 40%에 달하는 화물량을 취급하면서 최대의 항공 화물 허브로 자리매김했다. 멜버른 공항은 최근 보도자료를 통해 “2024년 첫 3개월 동안 공항은 4만 4,700톤의 수출 항공화물을 취급하는 실적을 기록, 이는 호주 전체 항공 화물 수출량의 40.2%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특히 가장 많은 수출 아이템은 ..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이학재)는 2017년부터 시작된 인천공항 4단계 건설 사업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듦에 따른 제2여객터미널 확장지역의 운영준비종합계획에 따라 종합시운전을 시행한다고 29일 밝혔다. 공사는 4단계 건설 사업 종합공정률이 95.34%(4월 기준)에 도달함에 따라 `24년 말 성공적인 4단계 건설 사업 완수를 목표로 △건설공사 △운영 △종합시운전 △오픈 준비 및 평가의..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지난 24일 열린 항공교통심의위원회에서 30개 노선의 운수권을 11개 국적 항공사에 배분했다. 금번 운수권은 인도네시아, 몽골 등 항공회담 등을 통해 확보했거나, 운항 실적이 부족하여 회수된 운수권 등을 포함한 것으로, 주목되는 점은 부산을 거점을 취항을 준비중인 시리우스항공이 전체 운수권중 10개 화물노선을 받았다. 일단 화물노선에 있어서..
몽골 사막화 지역에 숲을 조성하는 대한항공의 글로벌 플랜팅 프로젝트가 올해로 20주년을 맞이했다. 코로나19로 중단됐던 임직원 식림 활동도 4년 만에 재개됐다. 대한항공 숲’은 대한항공이 지난 2004년부터 이어온 글로벌 플랜팅 프로젝트다. 몽골 바가노르구 황무지에 푸른 숲을 가꾸는 사업이다. 현지 사막화를 방지하고 도심형 방풍림 조성으로 지역사회에 도움을 준다는..
터키카고가 지난 4월 항공화물 실적을 발표. 총 16만 2,483톤을 수송해 전년동기비 34% 증가세를 시현했다. 이중 국제선 화물은 15만 8,090톤으로 36%가 상승하는 기염을 토했다.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에서 탁월한 실적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는 터키카고는 4월에도 중남미 노선 증가율 65%(4,998톤), 유럽노선 40.8%(4만9,903톤), 그리고 중동노선에서 38.4%(1만3,586톤)가 각각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