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다시 점화한 관세 전쟁으로 인해 아시아 수출업체들의 미국향 해상화물 예약 취소가 급증하고 있다. 최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 내 수입업체들이 고율의 관세 부담을 우려해 주문을 주저하면서, 일부 업체는 수백 개 컨테이너 물량을 전면 취소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베트남에 생산시설을 둔 대만계 골판지 제조업체들은 최..
미국 제재로 운항 중단된 러시아 최대 화물 항공사인 에어브릿지카고(AirBridgeCargo, 이하 ABC)가 2025년 중 운항 재개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최근 러시아 현지 매체인 Interfax는 최근 ABC가 지난 2022년 미국의 제재로 운항이 전면 중단된 이후 약 3년 만에 사업 복귀를 모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는 최근 공개된 ABC의 경영보고서를 인용해 이같이 주장한 것인데,..
ECS그룹이 자회사인 글로브에어카고 캄보디아(Globe Air Cargo Cambodia)를 통해 에어프레미아(Air Premia)의 캄보디아 및 미얀마 지역 GSSA(총대리점)로 신규 지정되며 동남아 항공화물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이번 전략적 제휴는 ECS그룹의 신흥 시장 진출 확대 기조를 반영하는 동시에 동남아 항공화물 수요 증가에 대한 민첩한 대응을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이번 ..
글로벌 주식 시장이 출렁인 한 주였지만, 항공화물 운임은 상대적으로 안정세를 보였다. TAC 인덱스(TAC Index)에 따르면, 4월 7일까지 일주일간 글로벌 항공운임을 집계한 발틱 항공화물 지수(Baltic Air Freight Index, BAI00)는 전주 대비 0.1% 하락하는 데 그치며 소폭 조정을 나타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로는 여전히 3.9% 높은 수준으로, 스팟 운임이 비교적 견고하게 유지되..
* 이미지 출처 : IBS Software 항공화물 산업이 심각한 인력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최근 IBS소프트웨어의 의뢰로 리서치 기관 엣지 인사이트(Edge Insight)가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항공화물 종사자의 59%가 업계를 완전히 떠날 생각을 해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번 조사에서 항공화물 시장에서 활동중인 응답자들은 낙후된 기술(42%)과 예측 불가능한 ..
DHL그룹이 향후 5년간 생명과학 및 헬스케어 물류 역량 강화를 위해 총 20억 유로(약 2조9천억 원)를 전략적으로 투자한다고 밝혔다. 보도자료를 통해서 DHL은 “이번 투자는 DHL의 중장기 경영 청사진인 ‘전략 2030(Strategy 2030)’의 일환으로, 글로벌 헬스케어 고객들의 성장과 혁신을 지원하고 환자 중심 물류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라고 설명..
미국의 전방위적인 신규 관세 부과 조치로 세계 경제가 혼란이 가중되면서 일부 화주들이 미국으로 향하는 화물 운송을 일시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기대를 모았던 미국 내 리쇼어링(해외 생산기지의 국내 회귀) 움직임도 사실상 주춤해졌다는 평가마저 나온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해방의 날(Liberation Day)’이라 명명한 이번 조..
* 사진은 Katja Busch(DHL)와 Qin (Dada) Sun(Temu)의 MoU 장면 DHL그룹이 중국 기반 이커머스 플랫폼 테무(Temu)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티무는 유럽 내 배송 운영을 포함한 물류 전반에서 DHL의 글로벌 운송 솔루션을 활용하게 된다. 그룹 보도자료에 따르면, 양사는 유럽 시장 내 ‘로컬-투-로컬(local-to-local)’ 모델을 중심으로 협력 강..
대만의 에바항공이 에어버스와 A350-1000 장거리 항공기 6대 및 단일 통로 A321neo 항공기 3대에 대한 구매 확정 계약을 체결하며, 2025년 3월 발표한 구매 약정을 최종 확정했다. 이번 계약을 통해 에바항공은 A350-1000 24대, A321neo 18대 등 총 42대의 항공기를 도입할 예정이다. 클레이 선(Clay Sun) 에바항공 대표는 “이번에 기단에 새롭게 편입되는 항공기들은 에바항공..
2025년 1분기 전 세계 항공화물 운송량이 전년 대비 3% 증가하고, 글로벌 평균 운임은 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WorldACD가 발표한 1분기 데이터 잠정 집계 결과에 따르묜, 지난해 같은 기간 기록했던 평균 11%대 성장률과는 대조적인 수치다. 지난해 4분기에도 8%의 성장세를 유지했던 것에 비해, 항공화물 시장이 올들어 둔화된 흐름을 보인 이유는 미국의 신규 관세 도입과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