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LCL 콘솔 리더인 (주)이씨유월드와이드코리아(ECU Worldwide Korea, 대표 이현호)가 2023년 2월 1일부로 승진인사를 발표했다. <임원 승진> ● 이경미 전무/ ● 안은미 상무(영업부) <부장 승진> ● 장효진 부장(관리부) / ● 송영진 부장(해외영업부) <차장 승진> ● 곽주영 차장(유럽수출팀) ● 박승주 차장(수입부/부산지사) <과장 승진> ● 박지은..
LCL 서비스의 글로벌 리더인 ECU 월드와이드(ecuworldwide.com)가 업계 최초로 ‘과달라하라(Guadalajara) 인랜드 LCL 다이렉트 콘솔서비스’를 개시한다. 과달라하라는 멕시코 메인포트인 만자니요(Manzanillo)로 부터 300KM 떨어진 내륙지역으로, 이곳으로 향하는 화물은 일반적으로 양하항(Discharging Port)에서 통관이 가능하지만, ECU월드와이드에서는 양하항에서 컨..
에어캐나다는 오는 2월 18일 부로 에어캐나다카고의 신임 부사장에 에어캐나다 기내 서비스 부사장이었던 Jon Turner를 임명한다고 발표했다. 글로벌 전략 및 운영과 고객 서비스 부문에서 전문적인 지식을 갖고 있는 존 터너 신임 부사장은 그동안 에어캐나다의 항공기 인수 인도 및 정비와 엔지니어링, 그리고 글로벌 항공기 유지 관리 등 전 부문의 업무를 총괄한 바 있다. 특히..
2023년 항공화물 시장이 ‘상저하고’의 예상이 보편적인 전망으로 자리잡고 있는 가운데, 일부 3월 반등설이 더해지면서, 기대감으로 팽배해지고 있으나, “이는 희망 사항일 뿐”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최근 글로벌 항공화물 운임 지수를 바탕으로 각종 시장 분석가들은 중국의 리오프닝에 다른 기대감이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시장에 이를 체감하는데에는 상..
글로벌 컨테이너 선박 동맹인 2M이 해체 수순에 돌입했다. 최근 글로벌 선사 양대산맥인 Maersk와 MSC는 오는 2025년 1월부터 동맹을 종료하기로 합의하고, 각 선사가 개별적인 시장 전략을 추구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다만 고객들의 편의와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서 2025년 종료시점까지 네트워크 공동운영 중단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공..
항공사와 선사 및 트럭회사와 화주를 연결하는 디지털 화물 플랫폼인 Freightos가 마침내 미국 현지 시간 26일 미국 나스닥 시장에 상장한다. 당초 알려진 것처럼 이번 Freightos의 주식시장 상장은 특수목적회사(SPAC)를 통한 우회 사장 방식을 통해 진입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지난해 5월 페이퍼 컴퍼니인 Gersher Acquisition Corp와 합병을 결정했으며, 상장 종목명칭(티커)은 C..
2023년 항공화물시장은 긍정적인 기대감이 예상된다고 캐세이퍼시픽 화물부문 이사인 톰 오웬(Tom Owen)이 밝혔다. 최근 새해를 맞아 시장 전망에 대한 사내 메시지를 통해서 Tom Owen 이사는 글로벌 네트워크가 연초부터 운항을 재개하면서 공급 능력에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중국 본토의 리오프닝은 그동안 시장을 눌러왔던 공급망 문제를 더욱 완화시킬 것이라고 낙관론을..
중국 항공화물 시장이 다음주 새해 춘절을 앞두고 여전히 운임이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관련업계에 따르면, 중국내 주요 제조공장들이 (예상한 것처럼) 이미 문을 닫으면서 수요가 부진해지면서 중국발 주요 메인 교역노선의 운임 계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현지 제조공장 관계자는 “일부 직원은 지난해 코로나 봉쇄로 휴가를 얻지 못했다. 또한 제..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국 리스크 및 경기 하락의 여파로 유럽의 거점 화물공항인 Frankfurt 국제공항(FRA)의 지난해 화물실적이 감소세를 보였다. 최근 FRA측은 2022년 화물실적(우편 포함)이 전년대비 13.3% 감소한 200만 톤에 그쳤으며, 이는 2019년 보다도 5.6%가 줄어든 실적이라고 밝혔다. 항공기 운항편은 전년대비 45.9%가 증가한 38만 2,211편이 이착륙했지만 2019년과 비교..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화물공항인 홍콩국제공항이 지난해 항공화물 볼륨이 두자리수 감소를 기록했다. 최근 HKIA는 지난헤 총 화물 처리량이 16.4%가 감소한 420만톤에 그쳤으며, 공급을 추정할 수 있는 운항편수도 4.2%가 줄어든 13만 8,700회에 불과했다고 발표했다. 12월 한달간 실적도 전년동기비 26.4%가 줄어든 35만 1,000톤이었고, 다만 코로나 완화정책으로 여객기 취항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