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 운송시장 개척” 아마존 Global Seller 공식 물류 파트너 선정도 전자상거래 물류 전용브랜드 ‘Maxexpress’가동 국제운송 시장에서 전자상거래 물량은 무역을 통한 교역 운송수요와 함께, 국제물류의 한 축으로 자리 잡아 나가고 있다. 그 성장세가 너무도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어, 해상 및 항공 운송, SAR&AIR, 철도복합운송 등 전 운송분야에 걸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무역운송에 있어서 포워딩 비즈니스는 국제운..
“공항물류 자동화 위한 RFC 활성화 시급” 공항직원 인력 부족 근본 해결책 강구해야 최근 인천공항포워딩소장협의회(이하 인소협)의 신임 회장으로 배근호(UPS SCS코리아) 소장이 7대 회장직에 선출되면서, 인천공항 물류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배근호 회장은 취임 소감을 통해 "부족한 저를 회장으로 선출해 주신 모든 회원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이는 개인에게 주어진 큰 책무이자, 인소협을 더욱 발전시..
*사진은 송도 11공구서 매립 및 기반시설 공사가 진행 중이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청장 윤원석)은 송도 11공구 개발사업(첨단산업클러스터(C))의 개발계획 변경(안)이 지난 6월 26일 산업통상자원부 제144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 심의에서 원안 가결됐다고 밝혔다. 송도국제도시는 2024년 6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바이오특화단지로 지정됐으며, 그에 따른 국내?외 기업의 토지 공급 요청 등 투자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가용 토지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인..
일본항공(Japan Airlines, JAL)이 재생의학 발전을 지원하기 위한 특수 세포 운송 서비스 ‘J SOLUTIONS PHARMA CELLS’를 오는 2025년 7월 7일부터 본격 출시한다고 밝혔다. 최근 재생의학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고도로 전문화된 세포 운송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일본항공은 제약물류 분야에서 쌓아온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이러한 새로운 시장 니즈에 대응하고, 의료 분야의 진보를 견인하는 역할에 나설 계획이다. 특히, 이번에 선보이는 &lsquo..
영국 대표 항공사인 브리티시항공(British Airways)이 지속가능항공연료(SAF) 사용 확대를 위해 재생가능 연료 전문기업 EcoCeres와 다년간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EcoCeres는 보도자료에서 “이번 전략적 파트너십은 기존 항공유 대비 약 40만 메트릭톤의 탄소배출량을 감축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런던과 뉴욕 간 왕복 항공편을 이용하는 이코노미 클래스 승객 약 24만 명의 총 배출량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브리티시항공은 지속가능성 로드..
▲ 한국공항 이수근 사장 (왼쪽)과 대한적십자사 서울특별시지사 권영규 회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공항은 최근 대한적십자사의 ‘ESG 실천기업’ 캠페인에 동참한다고 발표했다. ‘ESG 실천기업’ 캠페인은 경제 상황의 악화로 생계가 어려워진 국내 위기가정과 취약 계층의 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기업이 매월 일정금액을 정기 후원하는 사회공헌 프로그램이다. 한국공항은 이번 캠페인에 참여함으로써 정기적인 후원금 전달을 통해 복지 사각지..
* 퀴네앤드나겔 글로벌 항공 물류 캐리어 및 조달 매니저인 토마스 라이히만(Thomas Reichmann)과 에미레이트 스카이카고 고객 서비스 및 감사 부문 부사장인 모아자 알 팔라히(Moaza Al Falahi) 에미레이트 항공의 화물 부문인 에미레이트 스카이카고(Emirates SkyCargo)가 세계 최대 프레이트 포워더 중 하나인 퀴네앤드나겔(Kuehne+Nagel)과 ‘서비스 품질 협약(Service Quality Agreement)’을 체결하며 글로벌 항공 물류 서비스 고도화에 나섰다. 이번 협약은 양..
글로벌 항만물류기업 DP월드가 호주 내 컨테이너 운송 및 내륙 창고 운영업체인 실크로지스틱스(Silk Logistics) 인수를 호주 경쟁당국으로부터 최종 승인받았다. 이번 인수 금액은 미화 1억1,500만달러(한화 약 1,590억원) 규모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앞서 호주 경쟁소비자위원회(ACCC)는 DP월드가 육상 운송업체인 실크로지스틱스를 인수할 경우, 경쟁 운송사들의 터미널 이용 비용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호주 전역의 컨테이너 운송 서비스 시장에서 경쟁이 저하될 수 있다는 ..
미국이 7월 4일 독립기념일을 맞아 전 세계 모든 국가로부터의 수입품에 적용하던 ‘디미니미스(De Minimis)’ 면세 혜택을 공식적으로 종료하는 법안에 서명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전날 미 상원을 통과한 ‘대규모 통상개혁 법안(Big Beautiful Bill)’의 일환으로, 향후 10년간 약 390억 달러의 세수 증가 효과가 기대된다. 이에 따라 800달러 미만 소형 물품에 부과되지 않던 관세 면제는 오는 2027년 7월 1일부로 완전히 종료된다. 특히..
하계 시즌 수요 큰 변동없을 듯 6월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은 물동량 감소세가 완화됐지만, 시장 전반에 퍼진 '놓치고 싶지 않다(FOMO;Fear Of Missing Out)'는 심리가 항공사와 포워더들의 비이성적인 요율 하락을 초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분석기관인 CLIVE Data Services(Xeneta 자회사)의 주간 데이터에 따르면, 6월 일반 항공화물 스팟 요율은 전년 대비 41% 급락한 kg당 2.31달러로 집계됐다 6월 글로벌 항공화물 공급 용량은 전년 대비 8% 증가했음에도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