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이 안정적인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한진이 지난 5일 2024년 2분기 잠정실적을 발표, 매출액이 7천 325억원으로 전년 동기 6천 919억원 대비 5.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은 356억원으로 전년동기 357억원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또한 1⋅2분기 누계 매출액 역시 1조 4천447억원으로 전년 동기 1조 3천669억원 대비 5.7% 늘어났다. 같은 기간 누계 영..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 본사를 둔 신생 화물 항공사인 My Freighter가 ATSG(Air Transport Services Group)과 보잉 767-300 개조 화물기 항공기 2대에 대한 장기 임차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추가 화물기 도입으로 My Freighter의 운용 항공기는 5대로 늘어났으며, 모두 중형 광동체 화물기이다. My Freighter는 지난해 11월 첫 767 화물전용기를 도입했는데, 이번 추..
주요 글로벌 선사들이 홍해사태로 희망봉으로 선박을 우회하면서 아시아-유럽 항로에 더 많은 컨테이너 선복 용량이 할당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상외로 라틴 아메리카 항로가 가장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고 Alphaliner의 최신 데이터가 밝혔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2023년 6월부터 2024년 6월까지 전 세계 해운 함대에 285만 TEU의 신규 선복량이 추가되어 전년 대비 10...
Kuehne+Nagel(K+N)이 지난 2023년 글로벌 항공화물 포워더 실적 1위를 달성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컨설턴트 업체인 Armstrong and Associates가 작성한 차트에서 K+N은 항공화물 실적인 2022년보다 11.2% 감소한 200만 톤에 그쳤지만, 전반적인 시장 경기 하강국면을 보였던 2023년 시장상황에서 여타 경쟁업체들도 실적 부진을 보였기 때문이다. 2위에는 DHL 글로벌 포..
세계 항공화물 시장 수요를 주간단위로 발표하는 WorldACD는 26주차(6월24일~30일)까지의 실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난 상반기 항공화물 시장은 톤수 기준 전년동기비 12% 상승한 것으로 추정했다. 이같은 실적 증가세는 지난 1분기 12% 상승에 이어 2분기 역시 11%나 성장한 것에 힘입어 예비 추정 데이터가 상반기 증가세를 보여주었다고 발표했다. 일단 지난 6월 한달 동안 실적..
지난 4일 IATA(국제항공운송협회) 한국지사에서 에어인천의 IOSA(국제항공안전평가) 인증서 수여식이 진행되었다. 에어인천은 IATA로부터 항공기 안전 운항과 관련된 ‘ISM(IOSA Standards Manual) 16th 에디션’의 약 820여 개 평가 항목에 대해 엄격한 심사를 거쳐 지난 18일 인증을 획득했다. 이는 에어인천의 첫 번째 IOSA 인증으로, 회사의 안전과 품질 관리에 대한 ..
캐나다 철도노조인 Teamsters Canada Rail Conference(TCRC)는 지난 5월 22일 절대 다수 찬성으로 파업을 가결했지만, 정부와 사측의 법적 조치로 인해 기간이 만료된 파업권리를 재승인하기 위한 노조원 투표를 실시, 또다시 압도적 다수 찬성표로 통과됐다. 이에 따라 추가적인 정부의 조치와 무관하게 파업이 가능해졌으며, 이를 전해들은 현지 물류업체들은 적어도 이달 중 공급..
항공화물 시장이 휴가 시즌인 이번 여름철 가장 큰 변동을 겪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글로벌 물류공급망 전문가들은 예상 밖의 해상 컨테이너 수요 급등과 전자상거래를 중심으로 비수가 사라진 항공화물 시장 수요가 과연 여름 휴가 시즌에도 변함없는 모습을 보일지 촉각을 세워 주목하고 있다. 사실 지난 팬데믹기간중 해상운송은 스케줄 ..
최근 미국 의회에서 제안된 여러 입법안은 수입상품에 대한 관세 적용을 면제하는 최소 기준액인 이른바 디미니머스(deminimis) 면세 혜택을 약화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디미니머스란 800달러 이하의 상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 제도로, 중국발 전자상거래 수입 증가로 인해 문제점이 늘자 기준금액을 낮추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미국 주요 대학 교수들은 이러..
Air France KLM Martinair Cargo (AFKLMP)는 오는 7월 1일부터 스키폴공항(AMS)과 두바이월드센터(DWC)를 연결하는 화물전용기 서비스를 시작한다. 해당 서비스에 투입되는 기종은 마틴에어가 운용중인 747F로 AMS 출발편은 카이로(CAI)를 경유해 DWC로 연결된고 복항시에는 DWC-AMS 직항으로 운항된다. 편당 110톤의 화물공급을 제공할 수 있는 747화물기의 투입은 최근 DWC를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