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전방위 관세 발효 ‘해방의 날’이 공급망 현장선 ‘최악의 날’"… 화주들 ‘선적 보류’등 불확실성 확산

  • 카고프레스
  • 입력 : 2025.04.07 17:15   수정 : 2025.04.07 17:15
 
미국의 전방위적인 신규 관세 부과 조치로 세계 경제가 혼란이 가중되면서 일부 화주들이 미국으로 향하는 화물 운송을 일시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기대를 모았던 미국 내 리쇼어링(해외 생산기지의 국내 회귀) 움직임도 사실상 주춤해졌다는 평가마저 나온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해방의 날(Liberation Day)’이라 명명한 이번 조치는, 미국 정부가 무역 상대국들의 ‘착취적 관행’에 대응하기 위해서 전 세계 대부분 국가에 대해 포괄적인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로 시작됐다.
 
문제는 이에 대응해 중국 정부가 4월 10일부터 미국산 모든 제품에 34%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는 사실이다. 협상력을 높이기 위한 조치이긴 하지만, 중국은 ‘단호한 대응조치’라며 전자제품 제조에 필수적인 희토류 일부 품목의 수출을 통제하고, 미국 기업 6곳의 수출 자격을 정지했으며, 11개 외국 기업을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리스트’에 추가했다.
 
미국 내 반응은 엇갈리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고율 관세의 부담이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그럼에도 트럼프 전 대통령과 행정부는 관세 정책이 미국 내 일자리 회복과 제조업 리쇼어링을 촉진할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며, 일부 자동차 산업 종사자들 사이에서는 이를 지지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S&P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S&P Global Market Intelligence)의 공급망 분석 책임자 크리스 로저스(Chris Rogers)는 이 전략과 미국 제조업 회복 가능성에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그는 “공급망 관리자들은 단기적으로 새로운 관세를 가격 및 원가 협상 전략에 반영할 수밖에 없으며, 관세 적용 범위가 광범위해 공급처를 미국으로 재이전하는 선택지는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일부 전문가들도 비슷한 견해를 내놓고 있다. 미국 내 생산설비가 일부 존재하더라도 이전 비용이 막대해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일부 화주들은 미국행 선적 자체를 중단하고 있다는 소식도 들린다. 시장 관계자들은 “일부지만 대형 고객들이 항만에 대기 중인 미국행 화물의 선적을 보류해 달라고 요청했다”며 “현재 상황을 파악할 때까지 기다리겠다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이 상황이 언제 해소될지에 대해선 “화주도, 우리도 알 수 없다”고 밝혔다.
 
다른 포워더들도 고객들이 ‘상황을 지켜보자’는 분위기라고 전하면서, 미국 정부가 일부 국가 또는 기업에 대한 예외 조치를 마련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가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현실적인 문제점도 속속 지적되고 있다. 대통령의 관세 발표는 나왔지만, 현장에서는 관세의 실제 시행 방식이 어떻게 적용될 것인지 여전히 답답한 상황이다. 한 전문가는“관세청 시스템이 이렇게 급작스러운 조치를 처리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는 결국 물류 혼잡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복잡성을 더하는 또 다른 요인은 미국산 부품이 20% 이상 포함된 제품의 경우 미국산 부분에 대해서는 관세가 면제된다는 결정 때문에, 화주들이 미국산 부품 비율을 입증하려고 분주하게 움직일 것이며, 이를 확인하는 관세청의 업무량도 폭증할 것이라게 현장의 지적이다.
 
일부에서는 단기적으로는 관세 적용 전 항공운송 수요가 급증할 가능성이 있고, 일부 고객은 상황이 명확해질 때까지 통관을 미루기 위해 보세창고 수요를 늘릴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 카고프레스 & cargo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