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발 항공화물 수요 자극받을까?
미국의 대중(對中) 관세 정책이 유럽과 중국 간 경제 협력을 강화하는 촉매제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최근 글로벌 무역 및 공급망 전문가들은 오는 2035년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를 목표로 전기차(EV)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 유럽연합(EU)에 관세 부과를 기정 사실화하면서, 먼저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경우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들이 유럽 시장으로 몰릴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는 것이다.
한 전문가는 “중국은 이미 미국 시장을 겨냥한 전기차 수출에 10% 관세가 적용되는 상황에서 새로운 판로를 모색하고 있으며, 유럽 또한 미국의 관세를 통한 무역 압박에서 자유롭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조만간 미국이 유럽에 대한 무역 정책을 강화할 경우, EU는 중국과의 협력을 확대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바이든 정부 시절 개인 및 첨단 산업 정보 유출 이슈로 유럽이 과거보다 중국과의 경제 협력을 줄여왔지만, 트럼프 재집권으로 미국의 무역 압박이 계속될 경우 다시 중국과 가까워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알려진 것처럼, EU는 2035년까지 내연기관차 판매를 금지하는 ‘탄소중립 모빌리티’ 정책을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2024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5% 감축하고, 2030년까지 55% 감축하는 목표를 세웠다. 하지만 유럽 내 완성차 업계와 운송업체들은 인프라 부족과 전기차 가격 부담을 이유로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전기차 구매력보다는 충전 인프라가 부족이라는 지적이다. 결국 막강한 가격 경쟁력을 가진 중국이 미국을 피해 유럽 시장에서의 판매를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당연하다. 중국 제조업체들은 유럽 시장에서 자국보다 높은 마진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이 중국과 유럽 간 무역 장벽을 높일수록, 유럽은 오히려 중국산 전기차 수입을 늘릴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동시에 유럽산 전기차 제조업체들도 경쟁력 확보를 위해 나설 것이다. 가격에 밀린다고 중국산 전기차 수입을 넋놓고 바라만 보지는 않을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중국과 유럽간의 전기차 교역이 확대될 경우 완성차 및 관련 부품 공급망이 활기를 보일 수도 있다. 중국발 전기차와 배터리 부품의 유럽행 물량이 증가하면, 물류 운송 측면에서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
특히 지리적으로 가깝고 전기차 베터리 산업에 강점을 가진 한국 관련 기업들의 대 EU 수출수요가 증가할 수도 있으며, 새로운 루트의 EV공급망 구축에 나설 가능성도 높은 상황이다.
[ⓒ 카고프레스 & cargo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NEW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