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미 우정국(USPS) 민영화 검토 ... 이커머스 시장 비용 경쟁 여파 “주목”

  • 카고프레스
  • 입력 : 2024.12.18 12:46   수정 : 2024.12.18 12:46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야심차게 추진중인 정부효율성부(DOGE)를 통한 행정부 군살빼기 작업 일환으로 미국 우정국(USPS)에 대한 민영화 논의가 진행중이라는 미국 현지 보도가 나왔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USPS의 재정 적자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민영화를 고려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미국 소포 시장은 물론 글로벌 전자상거래 시장 판도가 변화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일단, USPS는 지난 2023년 회계연도에 95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으며, 2007년 이후 누적 적자가 1,000억 달러를 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민영화가 현실화될 경우, USPS는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전자상거래의 ‘라스트 마일’ 배송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기 때문에 미국 시골 지역 주민과 소규모 기업들이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이는 배송비 할인 정책이 종료되면서 시장 운임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미 UPS와 FedEx 등 주요 민간 배송업체들은 USPS 정책 변화에 맞춰 요금과 할증료 인상을 발표했다. UPS는 SurePost 서비스 요금을 6.7%에서 최대 10%까지 인상했으며, FedEx는 미국 수입품 처리 수수료와 신규 우편번호 배송 할증료 등을 포함한 다양한 추가 비용을 부과할 예정이다. 이러한 정책은 2025년 5.9%의 일반 요금 인상과 함께 시행될 예정이다.
 
여기에 아마존과 월마트는 모두 제3자 배송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있어, 소포 시장 내 경쟁이 심화될 전망이다. 월마트는 자사 배송 네트워크의 단위당 배송 비용을 40% 절감했다고 발표했다.
 
이런 와중에 미국 의회가 중국산 전자상거래 제품에 대한 디미니미스(면세) 혜택 폐지를 검토하고 있다는 시장 변수로 Temu, Shein, AliExpress 등은 미국과 멕시코에 물류 센터를 구축해 빠른 지상 배송 체계를 강화하고 있는데, 이러한 변화는 중국에서 항공 화물로 유입되던 전자상거래 물량이 북미 지역 내 지상 배송으로 전환되는 계기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결국, USPS 민영화에 따라 미국내 소포 시장의 구조적 변화는 미국 전자상거래 산업의 물류 네트워크 재편을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기업 간의 경쟁과 배송 비용 변화가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시장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 카고프레스 & cargo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