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기 이미지는 Flux 1.0 (Apache 2.0 License)을 사용하여 생성되었음
최근 글로벌 운송시장 전문가인 Tom Crabtree(MD, Transport Research Advisory)는 월간 실적 자료를 바탕으로 항공화물 시장의 경기 순환 주기에 대해 상당히 흥미로운 컬럼을 발표했다. 이는 항공화물 시장에서의 교통량(traffic)을 기반으로 시장 호황 및 불황이 지속된 기간이 평균적으로 19개월 전후라는 지적이다. 이를 반영할 경우 지난 2023년 8월이후 월간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현재 항공화물 시장의 호황(?)은 적어도 2025년 초반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과연 “19개월”이러는 수치가 어떻게 나온 건지 해당 내용을 번안해 확인해 본다.
현재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 경기는 지난해 8월 이후부터 플러스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IATA의 자료를 보면, 지난 2023년 12월부터 지난 6월까지 항공화물 시장은 7개월 연속해서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중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 더해 대다수 시장 전문가들은 올해 3분기 말부터 4분기 초까지도 매우 강력한 수요를 예상하고 있다.(성수기이니 당연한 전망이기는 하지만 말이다.)
이처럼 항공화물 시장은 연중 성수기와 비수기가 엇갈리게 나타나는 전형적인 모습을 오랫동안 보여왔다. 그러나 보다 큰 그림에서 전체 글로벌 시장의 성장 혹은 호황 및 위축 또는 불황의 시기는 이른바 시장에서 이해하는 연중 성/비수기 구분과 무관하게 상대적으로 긴 호흡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만 한다.
그렇다면 과연 우리가 시장의 호황 또는 불황기라고 말하는 시기 또는 주기는 한번 오면 얼마나 지속될까?라는 의문을 가져볼 만하다. 지난 2008년과 2009년을 기준으로 여객기 및 화물기를 통해 이동한 모든 항공화물 트래픽을 월간 단위 화물-톤 킬로미터(CTK) 측정치를 바탕으로 평균 성장 기간과 감소 기간을 살펴보면 답이 나온다.
물론 이같은 15년간의 월간 트패픽만으로 도출된 결론은 너무나 적은 표본과 환경적 요인을 고민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주“확정적”이거나 대단히 과학적 또는 “확신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비교적 최근의 시장 수요 수치를 단기적 분석한 것이기에 적어도 앞으로 5년간의 시장 흐름은 예측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할 수는 있을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항공화물 시장 수요가 평균적으로 상승기조를 유지하거나 하락 기조를 보인 시기를 추산하면 대략 19개월이라는 수치가 도출된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발했던 2008/2009년 이후 항공화물 시장의 월간 평균 수송량을 근거로 한 것으로, 약 15년간의 월별 기록을 자료로 사용해 대략적인 호/불황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들어가면, 지난 2008년 하반기 이후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은 뚜렷한 10번의 변곡점을 찾을 수 있는데, 지금의 시장 상황으로 포함해서 5번의 시장 성장과 4번의 수축기(하락), 그리고 1번의 침체기를 거친 것으로 데이터를 통해 알 수 있다.
< 시장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기간>
- 년 8월부터 ~ 2009년 10월까지 :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
- 년 7월부터~ 2016년 3월까지 : 2014년부터의 원자재(석유 및 가스) 가격 폭락
- 년 11월부터 ~2020년 2월까지 : 자동차 제조업 침체(이후 코로나19)
- 년 3월부터~ 2023년 7월까지 : 엔데믹 이후 공급망 정상 회복
<침체기의 특이점>
2011년 5월부터~2013년 9월까지 : 약 29개월동안의 항공화물 시장의 침체 원인은 항공사 경영진들은 화물 서비스 사업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 때문이다.
1) 항공화물 운송 수단은 전체 글로벌 공급망 시장에서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여객기의 벨리공급만으로도 이제 화물 수송은 충분히 커버할 수 있다.
3) 80톤 이상의 화물전용기를 보유하는 것은 바보짓이다.
이 기간중 대다수 항공사들은 대형 화물기에 대한 투자를 억제하는 방법으로 항공화물 시장에 대한 관심에서 벗어났다.(*시장은 급격하게 위축되었고 이같은 항공사들의 인식을 펜데믹을 거치면 여지없이 무너졌다)
<시장 성장률이 플러스를 기록한 기간>
- 년 11월부터~2011년 4월까지
- 년 10월부터~2015년 6월까지
- 년 4월부터~2018년 10월까지
- 년 1월부터 ~2022년 2월까지
- 년 8월부터~2024년 8월까지(현)
주목할 점은 가장 최근의 상승기에 들어선 올해 항공화물 시장은 홍새 사태와 중국 전자상거래 수요의 여파로 전체 확장 기간이 더욱 길어질수도 있다는 것이다.
다시한번 이야기 하지만, 이같은 관측적 수치는 과학적이거나 통계적으로 완전 무결함을 증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가까운 미래 항공화물 시장에서의 트래픽이 확장되거나 또는 축소되는 기간을 제한적이지만 주목할만한 지침 정도로만 받아들야한다는 것이다.
[ⓒ 카고프레스 & cargo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NEW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