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항공사인 우리나라 국적 대한항공은 지난 2024년 연간 매출이 사상 최대인 16조 1166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영업이익은 1조 9446억원이었다. 이는 2024년 4분기 실적 호조세를 반영한 것으로, 전년동기비 영업이익이 159% 상승했으며, 당기순이익은 흑자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4분기 화물사업 매출은 전년동기비 9% 증가한 1조 1980억원을 기록. 중국발 전자상거..
최근 미국 정부의 중국발 화물에 대한 디미니미스(De Minimis) 면세 혜택을 중단하기로 한 결정에도 불구하고, 중국 등 아시아발 전자상거래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오지는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물류기업인 DSV의 연간 실적 발표 이후 열린 간담회에서 옌스 룬드(Jens Lund) 최고경영자(CEO)는 DSV는 Temu나 Shein과 같은 온라인 소매 플랫폼을 통..
최근 WorldACD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1월 27일부터 2월 2일까지의 5주차 기간 동안 글로벌 항공화물 물동량은 전주 대비 12% 감소했다. 특히 아시아 태평양 지역 출발 물동량이 33% 감소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당연하지만, 5주차 기간중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국가들이 설 연휴로 최대 2주간 생산이 중단됐기 때문이다. 중국 등 동아시아 설 연휴..
미국 우정공사(USPS)가 하루 만에 중국과 홍콩발 국제우편물 접수를 재개했다. 최근 관련업계에 따르면, USPS는 공지를 통해 “중국 및 홍콩 우체국에서 발송하는 모든 국제 우편물과 소포를 계속 접수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과 협력해 새롭게 도입된 중국발 화물에 대한 관세 부과 절차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USPS는..
올해 1월 글로벌 항공화물 수요 증가율은 전년 동월 대비 2%에 그치며 시장 기대치를 밑돌았다. 최근 월간 데이터를 분석 발표한 시장 분석업체 제네타(Xeneta)는 미국의 대중국 관세 정책과 이에 따른 무역 갈등이 항공화물 시장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당장에는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제네타의 항공화물 최고 책임자 나이얼 반 더 와우(Niall van de Wouw)는 1..
니어쇼어링 공급망 포기는 불가능 아마존 포함 미국 이커머스도 타격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이 본격화되면서, 글로벌 무역 시장이 당장 큰 변혁을 예고하는 가운데, 물류 공급망의 첨병인 화물운송 시장에도 비상이 걸렸다. 그러나, 일부 시장 전문가들은 “물류시장에 미치는 실질적인 영향력이 어느 정도인지는 아직 두고 볼 필요가 있다”는 전제하에 과연 많은 ..
미국 우정공사(USPS)가 지난 4일(현지 시각), 중국과 홍콩에서 발송되는 소포의 접수를 일시적으로 중단했다고 공지했다. USPS 웹사이트에 게시된 서비스 공지에 따르면, 이번 조치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는 공개되지 않았다. 국제 우편 협약에 따라 중국우정(China Post)과 홍콩우정(Hong Kong Post)은 발송된 우편물을 항공편을 통해 미국으로 운송해왔다. 그러나 이번 조치는 소..
* 인천공항 화물터미널에서 Sea&Air 화물의 화물기 탑재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모습(자료제공:인천공항공사)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이학재)는 2024년도 인천공항 해상-항공 복합운송화물(이하 Sea&Air)실적을 분석한 결과, 글로벌 전자상거래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에 힘입어 2023년 9만8천톤 대비 20% 성장한 11만 8천톤을 기록하였다고 밝혔다. 인천공항 개항 이래 역..
비용·가격 상승 – 소비 위축 – 운송 수요 감소 “원가 흡수 가능”지적도, 문제는 통관 규제 따른 시간 미국의 추가 관세 조치로 인해 미주행 항공화물 수요가 위축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특히 중국발 전자상거래 수요가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캐나다 및 멕시코 수입품에 대해 25%..
Scan Global Logistics(SGL)이 탄자니아 다르에스살람에 첫 번째 지사를 개설하며 동아프리카 시장에서 전략적 입지를 강화했다. 다르에스살람 항구는 르완다, 부룬디, 잠비아, 콩고민주공화국 등 내륙 국가로 연결되는 주요 관문으로, SGL은 이를 통해 국경 간 물류 솔루션을 확대할 계획이다. 탄자니아 현지 사무소 개설을 통해 SGL은 기업, 정부, NGO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신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