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이 한국과 베트남간 국제 물류 사업 강화를 위해 베트남 택배 업계 1위인 베트남 우정국(VN POST)과 손잡고 동남아 물류 시장을 강화한다. ㈜한진은 현재 베트남을 비롯해 미얀마, 캄보디아에도 주요 거점을 두고 포워딩, 육상운송 등 국제 물류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동남아 지역의 물류 사업 강화를 위해 인도네시아, 태국 등으로 네트워크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베트..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김경욱)는 현지시각 13일 포르투갈 폰테 데 소르에서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주관으로 열린 2022 국제교육컨퍼런스(Global Training Conference)에 참석하여 IATA 지역훈련파트너(Regional Training Partner) 인증을 취득하고 이에 대한 운영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공사 인재개발원은 지난 2019년 IATA 훈련센터(Training Center) 인증을 받음으로써 국내..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지난 12일 중앙대학교와 데이터 기반 유통물류산업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서울시 동작구 소재 중앙대 총장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서 박찬복 롯데글로벌로지스 대표이사와 박상규 중앙대학교 총장은 산학협력 프로젝트 공동 수행을 통한 유통물류 전문인재를 양성하는 데 상호 긴밀한 교류와 협력을 약속했다. 이번..
미국 연방항공청(FAA)가 미국내 시설이 열악한 9개 공항의 화물부문 인프라 개선을 위한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현지 매체들은 연방정부 교부금 형태로 9개 공항의 화물 흐름 개선을 위한 보조금 총액 3,100만 달러를 지급 공급망 강화 지원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지급 대상 공항은 Chicago Rockford International Airport (일리노이), Huntsville International Airport-Carl..
인천국제공항에 상용화주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는 서울항공은 지난 13일 국적항공사인 아시아나항공과 상용화주터미널 이용에 관한 협약식을 가졌다. 현재 서울항공 상용화주터미널은 대한항공, 델타항공, 터키항공, 세부항공 등과도 이미 협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추가로 여타 항공사들과도 협약 작업을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국내 로컬 포워더중 가장 오래된 업력을 자..
글로벌 선사들이 통합물류서비스를 명분으로 시작된 항공화물 서비스 시장 진출이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 Maersk는 경쟁 선사인 MSC와 CMA CGM 등이 자신들과 마찬가지로 직접 항공기를 운항하는 화물 항공사 출범을 가속화시키자, 이들 중 가장 먼저 공항 근처에 허브 창고를 개설하는 등 통합물류서비스를 위한 발 빠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머스크는 시카고의 화물 거..
펜데믹 기간중 선사들이 수천억 달러의 수익을 올리는 모습을 지켜본 화주들은 최근 현물운임이 급락하면서 속으로는 고소함을 금치 못하고 있다. 실제로 대부분이 상장회사인 선사들의 주가도 곤두박치고 있다. ZIM라인은 59%, Maersk 42%, Hapag-Lloyd도 41%나 주가 하락을 경험하고 있으며, 여전히 하락세는 멈추지 않고 있다. 시장이 선사들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보지 않는다는 ..
최근 발틱 거래소는 뉴스레터를 통해서 이른바 ‘조용한’ 성수기로 인해 글로벌 항공화물 운임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단기간에 운임이 급락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최근 몇 개월 동안 운임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으며, 경제 전망의 불확실성으로 추가 하락도 예상되는 상황임에도 여전히 코로나19 이전보다는 상회하는 운임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예상했..
아프리카 대표적인 화물 항공사로 거듭나고 있는 Ethiopian Airlines Group은 최근 보유 여객기 3대를 화물기로 개조 전환하는 첫 번째 작업을 완료, B767PCF 1호기 생산을 마무리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이스라엘항공우주산업(IAI)와 계약을 통해 아디스아바바에 위치한 에디오피아항공의 MRO 시설에서 개조작업을 진행해온 화물기로 B767-300ER의 화물기 버전이다. IAI와 ..
㈜한진이 중량물 운송 프로젝트를 집중 유치하며 해상운송 역량을 입증하고 있다. ㈜한진은 1983년 국내 최초로 연안 해송 사업을 개시하며 국내 연안 해송 시장을 개척했고, 포항, 광양, 부산, 울산, 마산, 목포, 거제, 당진, 동해, 제주, 평택, 인천 등 전국 주요 항만간 네트워크와 보유하고 있는 중량물 전용선 2척, 방폐물 및 유연탄 전용선 등 총 6척, 53,492톤의 선박으로 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