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한대로 미국 롱비치 및 로스엔젤리스로 대표되는 서부항만의 컨테이너 물동량이 11월에도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로스엔젤리스항만청은 최근 “지난 10월 20항차 수준의 기항 취소(빈항해)가 이어진 가운데, 11월에도 선사들이 13항차의 빈항해를 시도했으며, 12월에도 11항차를 취소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펜데믹 이전에도 이 정도 수준의 blank sailing은 없었다&rdq..
최근 중국 정부의 제로 코로나 정책 (제한적)해제 조치와 맞물려, 홍콩정부도 기존의 항공운항과 관련된 제한 조치를 해제하고 있다. 이에 홍콩의 대표 항공사인 캐세이퍼시픽은 최근 일련의 조치가 항공산업을 활성화하고 무엇보다도 공 화물 허브로서의 홍콩의 연결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환영의 뜻을 보였다. 특히 항공기 운항 승무원에 대한 규제는 물론 홍콩 방문..
최근 U.N 보고서에 따르면, 오는 2023년 글로벌 무역 환경이 경기 침체 우려에 따른 둔화가 예상된다고 발표하면서, 올 2022년 글로벌 무역시장의 가치 규모는 32조 달러 수준으로 기록적인 한 해를 보낼 것으로 추종했다. 이같는 수치는 유엔무역개발윈원회가 지난 13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공개된 것으로, 전년동기비 약 12%가 증가한 수준으로 최종적으로는 새로운 기록에 도전하는..
중국 정부의 제로 코로나 정책 완화에 힘입어 마침내 홍콩과 중국 본토를 운행하는 트럭운송이 제한없이 가능해졌다. 최근 현지 매체에 따르면, 홍콩에서 출발한 트럭운전자들이 곧장 광동성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면서, 그동안 코로나19 제한조치로 인해 지연과 비용부담이 늘었던 포워더들이 반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더욱이 이번 조치에는 국경을 넘나드는 일일 트럭수 제한 및 ..
일본의 화물 트럭 운전자 부족에 심화되고, 관련 법규 제한으로 일본내 택배 운송이 제약을 받자, 일본 물류기업인 Yamato가 일본항공(JAL)과 협력해 화물전용기를 시장에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최근 관련업계에 따르면, 2024년 4월에 발효되는 일본의 새로운 법률이 트럭 운전사와 배달원의 초과 근무 시간을 1년에 960시간으로 제한함에 따라서, 현재는 물론 향후 트럭운전자가 부..
미국 항만을 통해 수입되는 인바운드 컨테이너 화물량이 급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11월 실적 기준으로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에 가깝게 하락하고 있다고 시장전문기관인 Descartes가 보고했다. 최근 컨테이너 시장보고서에서 Descartes는 지난 11월 기준 미국 컨테이너 수입량은 195만 4,179 TEU로 전월대비 12%, 그리고 전년동기비 19.4%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
아이슬란드 항공의 항공화물 비즈니스 확장이 계속되고 있다. 최근 항공사 화물부문인 Icelandair Cargo는 ST 엔지니링을 통해 개조작업이 진행중인 B767-300 개조작업중인 2대의 항공기중 첫 번째 화물기를 도입, 현재 운용중인 B757-200F(2대 보유)와 함께 화물서비스를 시작하게 된다. 아이슬란드 항공은 지난 2021년 3월 B767-300ER 여객기 2대를 Titan항공기투자회사에 매각하..
A.P. Moller-Maersk A/S가 Soren Skou CEO를 퇴임시키고 해운물류담당 책임자인 Vincent Clerc를 신임 CEO로 임명했다. 신임 Vincent Clerc CEO는 내년 1월 1일부터 공식 업무를 시작하게 된다. 올해 50세인 신임 Vincent Clerc은 스위스 출신으로 지난 1997년 입사했으며 현재 해운 및 물류운송 비즈니스를 총괄하고 있다. 특히 그는 120년 역사를 가진 머스크 최초의 비 덴마크인 C..
에어프랑스-KLM그룹이 글로벌 종합 에너지 기업 토탈에너지스(TotalEnergies)와 지속가능한 항공 연료(SAF, Sustainable Aviation Fuel)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에어프랑스-KLM그룹은 오는 2023년부터 토탈에너지스가 생산하는 총 80만 톤의 SAF를 10여 년간 공급받는다. 이번 체결로 양사는 SAF 수급 활성화를 통해 보다 책임감 있는 항공 산업 조성에 ..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김경욱)는 최근 공사 회의실에서 항공우주산학융합원(원장 유창경)과 중소기업 성장지원 강화를 위한 인천공항 ESG 역량강화 지원사업 ‘ESG100’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공사는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경영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ESG경영에 대한 실천 의지는 있으나, 자금, 인력 등의 제약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항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