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고의 화물기 개조(P2F) 기술을 보유한 이스라엘항공우주산업(Israel Aerospace Industry;IAI)는 중고 B777기종을 화물기로 개조하는 사업의 해외 첫 생산기지를 대한민국 인천공항으로 선택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김경욱)는 4월 17일(월) 오전 인천시 중구 파라다이스시티 호텔에서 이스라엘 국영기업인 이스라엘항공우주산업(Israel Aerospace Industries;IAI), 국내 ..
글로벌 해운 컨테이너 운송 시장 운임을 가늠할 수 있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hanghai Containerized Freight Index;SCFI)가 지난 9개월 동안 연속 하락세를 보여준 후 최근 3주간에는 연속 상승세를 보이면서, 글로벌 해상 운임 하락세가 멈추고 있다는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다. 최근 관련업계에 따르면, 4월 3번째주 SCFI는 1033.65포인트로 전주 대비 8% 상승을 기록했고, 지..
비용 절감 제1 목적...니어쇼링 따른 항공화물부분 축소따른 조직통합 해석 FedEX가 핵심 비즈니스의 상당 부분을 하나의 구조로 통합할 계획이라고 최근 발표했다. 이 회사는 "2024년 6월까지 FedEx Express, FedEx Ground 및 FedEx Services가 'Federal Express Corporation'으로 합병되어 통합되고 완전히 통합된 지상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단일 회사가 될 것"..
선도적인 글로벌 물류 운영업체 GEODIS가 의약품 항공운송(CEIV Pharma) 인증을 획득하여 아시아 태평양 및 중동(APAC&ME)에서 항공 화물 온도 관리 의약품 운송 역량을 강화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인증은 중국(PVG), 인도네시아(CGK), 인도(DEL & BOM), 한국(ICN), 태국(BKK), 아랍에미리트(DXB), 싱가포르(SIN)의 여러 지역에 적용된다. 지오디스는 “아시아 태평양..
우체국물류지원단(이사장 변주용)이 12일 기획재정부에서 발표한 ‘2022년도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에서 최고 등급인 ‘우수’ 기관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을 향상하고자 서비스를 받은 고객을 대상으로 매년 시행하는 설문조사다. 우체국물류지원단은 ..
종합물류기업 LX판토스는 자사의 김성욱이사가 13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파크텔에서 열린 ‘2023년 장애인고용촉진대회’에서 장애인고용촉진 유공자 정부 포상‘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장애인 고용촉진 유공자 포상은 고용노동부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 장애인 고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제고하고자 1991년부터 장애인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사업..
대한항공이 한국경영인증원으로부터 국제표준화기구(ISO)의 규범준수경영시스템(ISO 37301-Compliance Management Systems)에 대한 인증을 취득했다고 13일 밝혔다. ‘규범준수경영시스템(ISO37301)’은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국제 표준으로 기업의 준법경영 시스템을 공신력 있는 제 3기관이 평가하고 인증하는 제도다. 특히 국제 상거래상 비즈니스 파트너 선정 ..
미국 주요 항만들의 3월 컨테이너 수입실적이 시장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전월대비 증가세를 시현하면서 나름 선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점은 3월 수입량이 그동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던 중국발 수요는 감소했음에도, 전월대비상대적으로 큰 폭의 물량 증가세를 보였다는 점에서 시장 수요 회복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다만, 글로벌 시장환경을 악화시키고 ..
필리핀 국적 화물항공사인 MET EXPRESS AIR Corp이 한국 인천공항에 취항한다. 오는 4월 28일 첫 취항을 앞두고 있는 MET EXPRESS AIR(MX)는 필리핀을 기점으로 하여 인천발 대만 TPE까지 B737 화물기를 운항하게 된다. 운항 스케줄은 매주 수요일과 금요일 주 2회 서비스로 클락(CRK)을 경유해 TPE 로 당일 연결된다.(하단 스케줄 참조) 특히 MET EXPRESS AIR는 기존 시장에서 ..
IATA가 지난 2000년부터 추진한 항공화물 시장에서의 디지털화 작업은 전자항공운송장(e-AWB)의 도입을 시작으로 본격화 되었다. 이에 IATA는 다음 프로젝트로 이른바 “ONE Record”를 조기 정착시킨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최근 IATA는 “지난 2005년 시작된 e-AWB는 현재 목표를 거의 달성했다, 이에 따라 디지털 화물 프로젝트는 지난 2017년부터 시작한 ONE Rec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