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분기가 본격화 시작되고 있는 10월도 절반이 지나가면서,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 전문가들은 과연 최근 수요 및 운임 반등 – 적어도 수치상으론 –을 두고 과연 항공화물 시장이 바닥을 치고 회복과 안정화 단계에 접어든 것인지를 두고 다른 분석을 내놓고 있다. 특히 수요 부진과 공급 증가세가 여전힌 가운데, 운임 상승세를 두고서도 일시적 vs. 추세 반전으로 엇갈린 반응들이다. https://www.cargopress.co.kr/korean/news_view.php?nd=4257 일차적으로 항공화물..
캐세이화물터미널(Cathay Cargo Terminal)이 홍콩국제공항((HKIA)에서 서비스를 제공한 지 10주년을 돌파했다. 최근 캐세이카고터미널 측은 새로운 마켓팅 브랜드 출범과 맞물려 통합된 브랜드인 캐세이카고터미널의 개장 10주년을 자축하면서, “과거를 되돌아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앞으로의 미래에 초점을 맞춰 홍콩이 세계 최대의 항공화물 허브로서의 지위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계속 강화해 나갈 것이다”라고 밝혔다. 특히 내년부터 홍콩공항의 3 활주..
아랍에미레이트의 항만, 세관 및 자유무역지구를 관장하는 두바이 해양청(Dubai Maritime Authority;DMA)는 최근 법령을 개정해, 선사나 NVOCC 또는 포워더들이 고객을 대신해서 징수해온 터미널핸들링차지l(THC)를 징수하지 못하도록 했다. 11월 1일부터는 항만운영업체들이 터미널에서의 화물 처리 비용 및 트럭 하역 등에 소요되는 서비스 비용을 사용자에게 직접 청구서를 발행해야 하며, 동시에 해당 서비스 비용 징수 역시 두바이 무역플랫폼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바쿠를 거점으로 하는 실크웨이웨스트항공(SilkWay West Airlines)이 새로 도입한 B777F의 첫 운항 노선을 이스탄불로 결정했다. 카스피해 및 중앙아시아 항공화물 시장에서 절대적인 공급력을 가지고 있는 화물 항공사인 실크웨이웨스트항공은 최근 새롭게 인도된 보잉 777F 항공기를 이스탄불로 향하는 최초의 상업 비행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B777F는 세계 최대의 쌍발 엔진 화물기로 시장에서 가장 효율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화물기이다. 이에 실크웨이웨스트는 777화물기..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지난 11일 서울시 중구 소재 본사 대회의실에서 ㈜피에이산업개발 및 시몬느자산운용㈜과 ‘이차전지 및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공급망 구축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이차전지 및 폐배터리 물류 시장 확대에 따라 물류 경쟁력 제고 차원에서 특수물류 인프라를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이를 통해 수출입을 포함한 이차전지 가치사슬(Value Chain) 전 영역에서 물류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해 이뤄졌다. 이에 따라 3사는 향..
미국 수입 컨테이너 통계를 집계하고 있는 Descartes에 따르면, 지난 9월중 미국 항구를 통해 수입된 컨테이너가 최근 매달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9월에도 220만 3,452TEU를 기록해 8월보다 0.3% 늘었으며, 연초 기준 지난 2월 저점 대비 27%나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통상적으로 8월보다 9월 수입량이 줄어드는 시장 패턴에서 벗어나 소폭이지만 증가세를 시현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 수입 컨테이너 시장 수요는 펜데믹 기간이라고 할수 있는 ..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는 그동안 연장 여부를 두고 찬반 양론으로 갈렸던 컨테이너 선사들의 컨소시엄 블록 면제규정인 ‘CBER(Consortia Block Exemption Regulation)’을 만료일인 2024년 4월25일 이후 더 이상 연장하지 않겠다고 결정했다. CBER은 지난 2019년 도입된 유럽연합 규정으로, 선사들간에 협정을 통한 선박공유 및 공급(선복) 공유를 허용한 것으로 이를 통해 선사들은 공동배선 및 해운동맹을 통해 시장 공급과 가격을 조정할 수 있었다. 하지만, 사..
㈜한진이 2023년 3분기 경영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전년동기비 33.5% 상승한 327억 원을 달성했다. 3분기 누계 영업이익 역시 919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동기비 0.4% 상승했다. 3분기 매출액은 6,931억 원을, 누계 매출액은 2조 600억원을 기록했다. ㈜한진은 지난 1분기에 글로벌 경기침체로 물량 감소와 투자비용 증가 및 운영원가 상승 등으로 수익성이 감소하였으나, 2분기부터 신규 고객사 확보 및 원가 개선에 총력을 기울여 안정적인 성장세로 돌입..
글로벌 항공화물 운임지수가 지난 9월이후 10월 초까지 10% 이상의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는 보고가 이어지면서, “ 더 이상 하락은 없다”는 바닥론에 대해 제한적 노선에서만 나타난 일시적인 반등일 뿐이라는 반론이 맞서고 있다. Baltic Air Freight Index를 비롯한 주요 항공화물 시장 분석 업체들의 주간 및 월간 단위 보고서가 사실상 운임 상승을 나타나는 수치로 도배가 되면서 많은 시장 참여자들은 시장의 기대만큼의 성수기가 도래하지는 않겠지만, 여하튼..
MSC Air Cargo는 최근 중장기 네트워크 확장 계획의 일환으로 밀라노 말펜사(MAP)와 도쿄 나리타(NRT)를 연결하는 항공화물 노선을 개설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번 취항은 북미,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확장을 위한 조치로 이후 추가적인 연결 항공편을 계속늘린다는 복안이다. 현재 MSC에어카고는 777화물기를 이용해 글로벌 루프(loop)서비스를 제공중인데, Liege, Narita, Xiamen, Chicago O’Hare (ORD), Liege, Milan, N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