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적 화물전용항공사인 SF Airlines의 화물기단 확장이 놀랍게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최근 SF항공은 B767-300 화물기를 기단에 추가한다고 발표, 이로써 보유 항공기는 85대에 이르게 됐다. 새로운 화물기는 당연히 연말 11월 11일 광군제를 전후한 성수기에 투입될 예정이며 모기업인 중국 특송전문 SF express의 서비스를 지원하게 될 것이다. 화물기 도입과 함께 ..
알라스카에어카고(Alaska Air Cargo)의 화물 사업 확장이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최근 관련업계에 따르면, 알라스카항공화물은 항공기 리스 전문기업인 BBAM으로부터 B737-800BCF 2대중 1대를 개조 임차형식으로 도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적 항공화물 전문항공사인 알라스카항공은 기존 알라스카항공의 여객기 2대를 화물기로 개조 작업중인데, 2대의 항공기는 각각 다른 곳에..
종합물류기업 LX판토스(대표 최원혁)는 오는 24일부터 3일간 열리는 ’2023 스페인 바르셀로나 세계 제약·바이오 전시회(CPHI Worldwide)'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국내 물류기업이 CPHI Worldwide에 참가하는 것은 LX판토스가 최초다. CPHI Worldwide는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인지도가 높은 제약·바이오 전시회로 매년 유럽 주요 도시를 순회하며 개최된..
IATA가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ONE Record 데이터 공유 이니셔티브가 처음으로 Sea& Air 운송 서비스에서 상용되어 성공을 거두었다. 최근 캐세이카고는 기존 중국 본토에서 출발해 홍콩을 경유해 출발하는 국제선 서비스 루트 상품인 Sea &Air 서비스를 ONE Record를 통해 운용한 첫 사례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IATA ‘ONE Record’는 항공화물 운송시 항공운..
(* 사진출처 :글로벌 LNG 운송회사인 Flex LNG) 이스라엘과 하마스간 무력충돌이 현재 격화되는 가운데 이스라엘 항만 물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16일 이스라엘 현지 매체와 외신을 종합한 내용에 따르면 주요 관문인 Ashdod항은 10월 11일 직후 '긴급 모드'로 운영되고 있다. 가자 지구 국경에서 약 50km 떨어져 미사일 공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 선박의 위험 ..
에어프랑스-KLM 그룹은 최근 에어버스 A350-900 및 A350-1000 항공기 50대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고 40대 분의 추가 구매권을 확보했다. 새 항공기는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순차적으로 도입돼 현재 보유 중인 에어버스 A330과 보잉 B777 기종을 대체할 예정이다. 에어프랑스-KLM 그룹의 이번 에어버스 A350 도입은 오는 2030년까지 2019년 대비 탄소 배출량을 30% 감축하고자 하는 지..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이학재)는 인천공항 4단계 건설사업이 내년 하반기 준공 예정인 가운데, 무결점 운영준비를 통한 향상된 대국민 공항 서비스 제공을 위해 4단계 운영준비에 본격 돌입한다고 17일 밝혔다. 이와 관련해 공사는 지난 16일 공사 대강당에서 ‘인천공항 4단계 운영준비를 위한 설명회’를 개최했는데, 이날 설명회에는 정부기관, 항공사, 자회사 등 관계..
명목상이라도 나름 성수기에 진입한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과 달리 우리나라 항공화물 시장 실적은 10월 전반기(1일~15일) 수출실적이 크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공항 출발 항공화물 도시별 실적에서 10월 15일까지 수출항공화물은 북미 및 유럽 등 선진국 시장의 실적은 증가세를 보였으나, 중국과 동남아 등 기존 주력 시장이 더 큰 감소세를 보이면서 크게 감소해, 기간중 ..
(주)엑스포라인(대표:이형대)이 지난 9일부터 10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한 “2030 세계박람회 부산 (World Expo Busan)” 유치를 위한 국제박람회기구(BIE) 프로모션 행사 물품인 도심 항공 모빌리티(이하 UAM) 운송을 전담했다. 이번 2030 세계 박람회 유치 홍보전에는 한덕수 총리, 박형준 부산 시장, 최태원 상공회의소 회장 등 국내외 주요 인사 200여 명이 참석..
최근 인천국제공항은 국제선 화물(분기 기준)의 경우 올해 3분기 실적은 69만 8,213톤으로, 전년 동기(68만 9,998톤) 대비 1.2% 소폭 증가,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 작년 2분기부터 이어지던 감소세가 점차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다고 밝혔다. * (전년동기비 증감률) (’23.1Q) -18.0% → (’23.2Q) -12.6% → (’23.3Q) 1.2% 한편, 기간중 국제선 항공기 운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