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 국적 항공사 터키항공이 또 한 번 항공 부문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했다. 터키항공은 월드파이낸스 어워드에서 3년 연속으로 “가장 지속가능한 국적항공사”로 선정되었다. 기후 위기로 항공 산업이 직면한 여러 중대한 과제 속에서 터키항공은 자발적인 탄소 상쇄 플랫폼 CO2미션(CO2mission), 지속 가능한 항공 연료(SAF) 사용, 지속 가능한 기내 물품 이용, 폐..
(주)한진은 몽골 유수 물류기업 ‘투신(Tuushin)’과의 협력을 통해 물류 네트워크를 상호 교환하고 통합물류센터를 건립하는 등 글로벌 사업 청사진을 제시했다. 2차 산업 물자 수출입 등 교역 증가로 중앙아시아와 몽골 등 아시아 북서부 지역이 대륙간 교역에 있어 핵심 물류 거점으로 떠오른 가운데 조현민, 노삼석 사장은 한-몽간 교역을 위한 물류 루트를 개척하는 ..
한국민간항공조종사협회는 항공우주산학융합원과 항공안전 및 항공운항분야기술 개발 및 연구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업무협약 을 (MOU)지난 6월 25일 체결했다 이번 MOU는 양 기관 간의 6 25 . MOU 협력을 통해 항공안전기술 및 항공운항 분야의 연구 개발과 혁신을 촉진하고 우리나라 , 민간항공조종사를 위한 안전 및 운항기술 및 연구 개발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한국..
한국국제물류협회(회장 원제철, 이하 ‘KIFFA’)는 지난 6월 19일(수) 오후 14시 여의도 한국경제인협회 에서 물류 산업계의 전문가들을 초빙하여 ‘물류기업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대응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원자재 가격 상승과 지정학적 갈등 속에서 불거진 공급망 리스트에 대한 대응방안과 기 업들의 전략을 논의하고자 마련된 자리로 김대..
“글로벌 경제 환경 및 무역 구조의 변화로 인해 항공화물 시장에서의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커지면서 지난 2분기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은 정상적이라고 볼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요는 늘었고 공급은 여전히 부족하다” 최근 글로벌 물류운송 시장 분석업체인 Ti(Transport Intelligence)는 2분기 항공화물 시장 운임 추적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이같이 결론을 내렸..
에티하드카고(Etihad Cargo)는 중국 SF 항공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은지 1주년을 맞이해 오는 7월 13일부터 아부다비 자이드공항(AUH)와 중국 선전 바오안공항(SZX)을 연결하는 주간 화물전용기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취항으로 에티하드카고의 중국 네트워크는 5번째 목적지를 추가한 것으로, 7월 15일부터는 SF항공과 중국 에저우 후하우공항을 연결하는 화물기 2..
베트남 국적 항공사인 비엣트래블항공이 2024년 6월부로 락소홀딩스와 한국 총판매대리점(GSA) 계약을 체결했다. 베트남 국영 여행사 비엣트래블(Vietravel)의 항공운송 자회사로 출범한 비엣트래블항공은 코로나 팬데믹 기간이었던 2020년 설립돼 같은 해 12월 26일 첫 상업 비행을 시작했다. 비엣트래블항공은 관광과 연계된 베트남 최초의 항공 브랜드로, 현재 국제선 2노선(하..
캐나다 항공사인 웨스트젯항공의 화물사업부인 WestJet Cargo는 최근 글로벌 항공화물 플랫폼인 cargo.one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24시간 종일 예약이 가능한 완전한 디지털 방식의 예약 시스템을 구축했다. 웨스트젯카고의 관계자는 “이제 cargo.one을 통해서 전 세계 화물운송업체들은 24시간 연중무휴로 사용자 친화적인 cargo.one을 통해서 항공화물 예약 주문을 ..
미국으로 수입되는 컨테이너가 여전히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최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 컨테이너 시장 분석업체들은 지난 5월 인바운드 물동량이 전년동기비 약 5.6% 상승했는데, 이는 2월 26.5% 증가에 이어 3월 19.9%, 그리고 4월에 13.4% 증가세를 여전히 이어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물론 이전에 비하면 증가세를 다소 둔화되고 있지만, 펜데믹 이후 가장 강력한 수요 증..
글로벌 정기 컨테이너 선사들이 수요 및 운항 신뢰도에 부응하기 위해 추가 선박 도입을 늘리고 있지만 여전히 선복 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최근 하루 용선료가 15만 달러까지 육박하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머스크 라인은 최근 대만 지역 선사인 TS라인으로부터 7천 TEU급 신조 선박을 3개월 용선하는데 일일 15만 달러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는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