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남미 및 멕시코를 향한 컨테이너 선사들은 최근 중국과 한국을 출발해 멕시코 등으로 향하는 극동/중남미 항로 선복 예약이 이미 꽉차고 있다고 전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멕시코를 생산 거점으로 활용하는 near-shoring 추세에 더해, 미국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새로운 관세 부과 우려로 인해 미리 선적을 앞당기는 이른바 Front-loading이 가속화된 데 따른 것이다. 동시에 1..
카타르항공 카고와 일본항공(JAL)이 화물 네트워크 강화와 서비스 확장을 위해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력은 양사의 허브인 도하 하마드 국제공항과 도쿄 나리타공항을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통합하고 화물 운송 서비스를 최적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특히 카타르항공 카고는 유럽, 중동, 아프리카 등 전 세계로 연결되는 자사의 광범위한 네트워크와 일본항공의 여객편 및..
* 에콰도르 과야킬 신공항 조감도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이학재)는‘에콰도르 과야킬 신공항 배후단지 개발 기본계획 수립 사업’ 계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기획재정부의 ‘경제혁신파트너십 프로그램(EIPP)’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이번 사업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발주했으며, 2024년 12월 2일부터 2025년 10월 15일까지 약 10개월 간 진행..
아시아나항공(대표 원유석)이 오는 12월 22일, 중국 노선에 취항한 지 30주년을 맞는다. 아시아나항공은 한중 취항 30주년을 기념하여 12월 4일(수) 베이징 서우두 공항 제 3터미널에서 기념 행사를 가졌다. 아시아나항공은 이날 OZ334편 베이징~인천 항공편 체크인 카운터에 행사 부스를 설치하고 경품 추첨을 하는 등 기념행사를 열었다. 지난 1994년 12월 22일 김포~베이징, ..
최근 중국민용항공국(CAAC)은 2024년 중국발 항공화물 운송량이 "역사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중국민용항공국(CAAC)은 1월부터 10월까지 약 730만 톤의 화물과 우편물을 운송했으며, 이는 2019년 대비 19.3% 증가한 수치라고 밝혔습니다. 이같은 "역사적 정점"은 국제선 항공화물의 "강력한 성장"에 힘입어 이루어졌다고 덧붙인 CAAC 측..
절정의 성수기가 마무리 단계에 이르렀지만,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의 관심은 앞으로의 12개월로 옮겨가고 있다. 시장 플레이어들에게 올해는 만족스러운 성수기는 아니였지만, 최근 부정적 동향에도 불구하고 내년 초까지는 바쁜 출발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특히,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미국의 관세 인상과 전자상거래 소포 급증의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는 미..
IATA(국제항공운송협회)가 발표한 10월 한 달 통계에 따르면, 항공화물 수요는 전년동기비 9.8% 증가하며 15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10월 중 글로벌 항공화물 공급량(Available CTK)은 5.9% 늘었으며, 화물 적재율(Cargo Load Factor)은 1.7%p 상승한 47.3%를 기록했다. 이번 공급량 증가는 주로 여객기의 벨리홀드의 8.5% 증가와 화물기의 5.6% 증가에 ..
항공화물 시장 주간 운임 데이터를 발표하는 TAC Index에 따르면, 전체 시장 운임 지수인 발틱 항공 화물 지수(BAI00)는 12월 2일까지 한 주 동안 4.6% 상승했으나,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1.1%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관계자들은 지난주 현물 운임이 강하게 상승했다고 밝혔지만, 프레이트 포워더들이 미리 예약한 ‘계약 스페이스’가 많아 지수 평균치는 크게 오르지 ..
롯데글로벌로지스는 3일 서울 중구 신당종합사회복지관 대강당에서 임직원과 함께 김장 봉사활동을 진행하며 지역사회의 독거 어르신과 취약계층을 위한 나눔을 실천했다고 밝혔다. 이번 봉사활동은 서울시 중구자원봉사센터 및 신당종합사회복지관과 협력하여 연말을 맞아 소외계층을 지원하고 따뜻한 공동체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롯데글로벌로지스 임직원들은 약..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전 세계 항공화물 시장 성장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 WorldACD 시장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10월까지 전 세계 항공화물 물동량은 전년동기비 12% 증가했으며, 이 중 56%의 성장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전반적인 성장세를 보여온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전 세계 항공화물 시장 점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