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 정부가 스키폴 공항의 항공기 운항 횟수를 내년부터 47만 8천 회로 제한하기로 결정하면서 화물 운송업계에 심각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번 조치는 공항 소음 감소를 목표로 하지만, 화물 운송업계는 그로 인한 부정적 파장을 강조하며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화물전용기 운영사들은 항공사들이 사용하지 않은 슬롯을 활용해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
경상북도가 주최하고 한국국제물류협회가 주관하는 ‘제2회 대구경북공항 국제물류포럼’이 지난 5일과 6일 이틀간 포항 포스코국제관에서 개최됐다. 이번 포럼에는 물류산업 관계자 400여 명과 26명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대구경북공항의 항공물류 중심지로의 도약 방안을 제시했다. 포럼 개회식에서 한국국제물류협회 원제철 회장은 축사를 통해 대구경북공항의 중요성..
알레스카 에어 그룹이 오는 2025년 10월 인천과 미국 시애틀을 잇는 하와이안항공 신규 직항 노선을 개설하며 국제선 확장에 박차를 가한다. 최근 하와이안항공과 합병이 마무리된 알래스카 에어 그룹은 인천-시애틀 신규 직항 노선에는 하와이안항공 항공기가 운항되며, 자세한 운항 스케줄은 추후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밖에도, 알래스카 에어 그룹은 인천-시애틀 취항에..
12월 9일 기준 전주 세계 항공 화물 시장 운임이 다시 상승했다고 TAC Index의 최신 데이터가 전했다.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의 주요 운임 지표인 발틱항공화물지수(BAI00)는 12월 9일까지 한 주간 +5.3% 올라, 성수기를 마무리하는 시점에서도 현물 운임 상승세를 반영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올해 성수기가 예년보다 몇 달 일찍 시작되어 상승 속도가 느리고 2023년보다 덜 분주했..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 전문가들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 후 즉각적으로 발효될 관세 정책의 영향으로 2025년 초 주요 수출국들의 이른바 ‘밀어내기’로 인해 항공화물 시장 수요 집중을 전망하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2024년 예상 밖의 성장세를 보인 미국 항공화물 시장이 2025년 초까지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하며 현지 업계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영국의 장거리 화물운송 항공사인 에어 원을 거느리고 있는 에어 원 홀딩스 인터내셔널은 최근 네덜란드의 Peso Aviation Management와 공동으로 에어 벨기에(Air Belgium)의 화물사업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들 투자 양사는 네델란드 법원에 인수 제안서를 제출했으며, 법원은 12월 12일 결정을 내릴 예정이다. 이번 사업 이전은 화물 운영에만 초점을 맞추..
ChatGPT로 대변되는 생성형 AI 시대가 다가오면서, 이제 세계는 3차 산업혁명 시대에 진입하고 있다. 당연히 거의 모든 산업군들은 AI를 기반으로 모든 것을 탈바꿈 시키고 있다. 항공화물 시장도 예외가 아니어서, 이미 진행중이던 플랫폼 비즈니스를 더욱 확장하는가 하면, 작게는 전통적인 항공화물 운송 단계에서 AI를 도입하려는 작업도 진행중이다. 동시에 AI는 항공화물 운송..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이학재)가 10일 그랜드 하얏트 인천에서 개최된 제3회 인천공항포럼에서 ‘AI 혁신 허브’ 구축을 위한 청사진을 공개했다. AI 혁신 허브는 인재·기술·산업·문화가 융합하는 미래 플랫폼으로서, 공항의 개념을 근본적으로 재정의 하는 핵심 프로젝트다. 이는 지난 7월 공사가 선포한 '비전 2040' 의 3대 핵심과제 중 ..
스위스포트코리아의 상용화주터미널(SPRT)이 10월 23일 인천자유무역지대 한국도심공항 인천물류 2센터의 CSRT를 이어받아, 본격적인 운영으로 활기를 맞이 하고 있다. 스위스포트코리아의 김일홍 대표는 “지난 5년간 고객의 성원에 힘입어 제1호 상용화주터미널인 CSRT를 통해, 대한민국 상용화주제도의 정착을 이루는 초석을 다질 수 있었다. 펜데믹 기간 동안 상용화주터미..
“이커머스로 시작해 이커머스로 끝난 한 해” 수요 강세로 마감했지만, 미래 전망 불투명 전자상거래‘거품’지적 유의미하게 받아들여야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였지만, 2024년 항공화물 시장은 전자상거래의 지속적인 수요 증가에 힘입어 강한 성장세를 보인 한 해였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 따르면, 2024년 항공화물 수요(CTKs)는 16개월 연속 성장세를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