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무역대표부(USTR)은 지난 24일 연방 관보를 통해서 중국산 선박 및 운영사(선사)들이 미국 항만에 기항할 경우 100만 달러에서 최대 150만 달러의 요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공개했다. 미국이 중국에 대한 규제의 일환으로 해양 컨테이너 선사 및 기타 운송업체에 수백만 달러의 비용을 추가할 수 있는 고액 요금안을 발표, 관련 미국 항구는 물론 ..
미국의 디미니미스(De Minimis) 면제 조항 폐지 가능성이 중국발 전자상거래 화물 감소와 항공운송 비용 상승을 초래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Freightos는 관련 시장 분석 보고서를 통해서, 미국 정부의 무역 정책 변화가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중국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전자상거래 화물의 핵심 통로였던 디미니미스 면제 조항이 폐지될 가능..
글로벌 헬쓰케어 전문 물류기업인 마켄(Marken)이 MNX와 폴라 스피드(Polar Speed)를 통합한‘마켄, UPS 헬스케어 정밀 물류(Marken, UPS Healthcare Precision Logistics)’라는 단일 브랜드로 출범했다. 이번 통합을 통해 UPS 헬스케어는 글로벌 헬스케어 및 고부가가치 물류 시장에서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UPS 헬스케어는 이번 브랜드 통합을 통해 ..
에미레이트 스카이카고가 아프리카 대표 화물항공사인 아스트랄 항공(Astral Aviation)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글로벌 무역 확대를 위한 협력을 강화한다. 아스트랄 항공은 아프리카 내 50개 목적지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으며, 에미레이트 스카이카고는 전 세계 145개 이상의 목적지로 화물을 운송하고 있다. 양사는 신선 농산물과 의약품 등 민감한 화물 운송 경..
한국국제물류협회(KIFFA, 회장 원제철)와 인천국제공항공사(IIAC, 사장 이학재)가 운영한 4주간의 국제물류 청년취업 아카데미가 지난 2월 10일 수료식을 끝으로 성공리에 마무리되었다. 청년취업 아카데미는 해상, 항공 운송과 수출입프로세스, 무역 실무 등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내용과 이메일 작성법, 비즈니스 매너, 리더십 역량 등 공통역량 및 현장 견학과 현직 전문가들..
에어버스(Airbus)가 2024년 실적 발표를 통해서 지난해 총 766대의 상용 항공기를 인도하며 생산 목표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또한, 순 수주(Net Orders)는 826대를 기록하며 견고한 시장 수요를 입증했다. 2024년 에어버스의 상용 항공기 총 수주(Gross Orders)는 878대로, 전년(2,319대) 대비 감소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요를 유지하고 있다. 같은 기간 취소 후 순 수주(Net Orders)..
대한민국 대표 하이브리드 항공사 에어프레미아(대표이사 김재현, 유명섭)가 운항안정성 높이기 위해 예비엔진을 추가 구입했다. 에어프레미아는 영국 롤스로이스사로부터 ‘트렌트 1000 TEN(Thrust Efficiency and New technology)’ 엔진을 1대 더 구입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예비엔진 추가도입은 항공 산업 전반에 걸친 글로벌 공급망이 불안정해짐에 따라 추가적..
세계 항공화물 시장이 설 연휴 이후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 WorldACD Market Data가 발표한 7주차(2월 10~16일) 주간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설 연휴 기간(1월 말~2월 초) 동안 글로벌 항공화물 물동량은 -13% 감소했으나, 이후 두 주 연속 +3%씩 반등에 성공하면서,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물동량 회복이 두드러졌는데, 설 연휴..
에티하드항공이 2024년 화물 부문에서 24% 증가한 11억 달러의 수익을 기록하며 항공화물 시장에서의 성장세를 보여주었다. 화물 운송톤수도 전년대비 12% 증가한 64만 6천 톤을 기록했다. 최근 에티하드항공은 실적 보도자료를 통해서 이같이 밝히고, 여객 부문 매출은 57억 달러(25% 성장)를 포함해 2024년 총 매출이 69억 달러로 전년 대비 25% 증가했다고 밝혔다. 항공사는 202..
중국의 새해 춘절연휴가 끝난 지 2주가 지났지만, 중국발 미주행 화물기 운항 횟수는 여전히 회복되지 않고 있다. 이는 미국의 대중국 관세 도입과 ‘디 미니미스’(de minimis) 면세 기준 변경 이슈가 항공화물 시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여진다. 최근 글로벌 공급시장 분석기관인 Ratate의 수석 컨설턴트인 Tim van Leeuwen 부사장은 자신의 Linkedin 을 통해서 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