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프랑스-KLM 그룹은 최근 에어버스 A350-900 및 A350-1000 항공기 50대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고 40대 분의 추가 구매권을 확보했다. 새 항공기는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순차적으로 도입돼 현재 보유 중인 에어버스 A330과 보잉 B777 기종을 대체할 예정이다. 에어프랑스-KLM 그룹의 이번 에어버스 A350 도입은 오는 2030년까지 2019년 대비 탄소 배출량을 30% 감축하고자 하는 지..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이학재)는 인천공항 4단계 건설사업이 내년 하반기 준공 예정인 가운데, 무결점 운영준비를 통한 향상된 대국민 공항 서비스 제공을 위해 4단계 운영준비에 본격 돌입한다고 17일 밝혔다. 이와 관련해 공사는 지난 16일 공사 대강당에서 ‘인천공항 4단계 운영준비를 위한 설명회’를 개최했는데, 이날 설명회에는 정부기관, 항공사, 자회사 등 관계..
명목상이라도 나름 성수기에 진입한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과 달리 우리나라 항공화물 시장 실적은 10월 전반기(1일~15일) 수출실적이 크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공항 출발 항공화물 도시별 실적에서 10월 15일까지 수출항공화물은 북미 및 유럽 등 선진국 시장의 실적은 증가세를 보였으나, 중국과 동남아 등 기존 주력 시장이 더 큰 감소세를 보이면서 크게 감소해, 기간중 ..
(주)엑스포라인(대표:이형대)이 지난 9일부터 10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한 “2030 세계박람회 부산 (World Expo Busan)” 유치를 위한 국제박람회기구(BIE) 프로모션 행사 물품인 도심 항공 모빌리티(이하 UAM) 운송을 전담했다. 이번 2030 세계 박람회 유치 홍보전에는 한덕수 총리, 박형준 부산 시장, 최태원 상공회의소 회장 등 국내외 주요 인사 200여 명이 참석..
최근 인천국제공항은 국제선 화물(분기 기준)의 경우 올해 3분기 실적은 69만 8,213톤으로, 전년 동기(68만 9,998톤) 대비 1.2% 소폭 증가,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 작년 2분기부터 이어지던 감소세가 점차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다고 밝혔다. * (전년동기비 증감률) (’23.1Q) -18.0% → (’23.2Q) -12.6% → (’23.3Q) 1.2% 한편, 기간중 국제선 항공기 운항..
4분기가 본격화 시작되고 있는 10월도 절반이 지나가면서,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 전문가들은 과연 최근 수요 및 운임 반등 – 적어도 수치상으론 –을 두고 과연 항공화물 시장이 바닥을 치고 회복과 안정화 단계에 접어든 것인지를 두고 다른 분석을 내놓고 있다. 특히 수요 부진과 공급 증가세가 여전힌 가운데, 운임 상승세를 두고서도 일시적 vs. 추세 반전으로 엇갈린 ..
캐세이화물터미널(Cathay Cargo Terminal)이 홍콩국제공항((HKIA)에서 서비스를 제공한 지 10주년을 돌파했다. 최근 캐세이카고터미널 측은 새로운 마켓팅 브랜드 출범과 맞물려 통합된 브랜드인 캐세이카고터미널의 개장 10주년을 자축하면서, “과거를 되돌아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앞으로의 미래에 초점을 맞춰 홍콩이 세계 최대의 항공화물 허브로서의 지위를 유지하는데 ..
아랍에미레이트의 항만, 세관 및 자유무역지구를 관장하는 두바이 해양청(Dubai Maritime Authority;DMA)는 최근 법령을 개정해, 선사나 NVOCC 또는 포워더들이 고객을 대신해서 징수해온 터미널핸들링차지l(THC)를 징수하지 못하도록 했다. 11월 1일부터는 항만운영업체들이 터미널에서의 화물 처리 비용 및 트럭 하역 등에 소요되는 서비스 비용을 사용자에게 직접 청구서를 발행해..
바쿠를 거점으로 하는 실크웨이웨스트항공(SilkWay West Airlines)이 새로 도입한 B777F의 첫 운항 노선을 이스탄불로 결정했다. 카스피해 및 중앙아시아 항공화물 시장에서 절대적인 공급력을 가지고 있는 화물 항공사인 실크웨이웨스트항공은 최근 새롭게 인도된 보잉 777F 항공기를 이스탄불로 향하는 최초의 상업 비행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B777F는 세계 최대의 쌍발 엔진 ..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지난 11일 서울시 중구 소재 본사 대회의실에서 ㈜피에이산업개발 및 시몬느자산운용㈜과 ‘이차전지 및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공급망 구축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이차전지 및 폐배터리 물류 시장 확대에 따라 물류 경쟁력 제고 차원에서 특수물류 인프라를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이를 통해 수출입을 포함한 이차전지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