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글로벌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2023년 수준을 밑돌면서 전 세계적으로 경제적 둔화가 예상되지만, 일부 아시아 국가들에서는 제조업 성장이 이어지고 있다. 인도와 태국을 비롯한 몇몇 아시아 국가는 여전히 성장세를 보이며, 특히 항공화물 시장의 성수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10월 중순부터 아시아발 항공화물 수요가 강세를 유지하고 있다.” 최근 관련업..
중국 춘절 연휴가 10월에 몰리면서, 예년과 달리 다소 늦은 시점에 성수기가 시작되었다는 지적이 일반적인 가운데, 글로벌 물류업체인 Kuehne+Nagel(K+N)이 올해 4분기 항공화물 성수기가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고객들이 물량을 사전에 선적하여 공급망 차질을 피하려는 움직임이 강화되었기 때문이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퀴네앤드나겔은 최근 3분..
- 사진설명 : 28일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서에서 열린 카놋샤크항공의 취항 기념행사에서 인천국제공항공사 이수태 항공마케팅팀장(사진 왼쪽에서 두 번 째), 카놋샤크항공 Pak Moisey(팍 모이세이) 사장(사진 왼쪽에서 네 번 째) 및 한국GSA 지니항운 이춘희 사장(오른쪽에서 세번째) 등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이학재)는 우즈베키스탄 국적 항..
롱비치항이 9월과 3분기 동안 소비자 수요 증가와 동부 및 걸프 연안 항만의 하역 노동자 파업을 대비한 화주들의 조기 물량 이동으로 인해 컨테이너 물동량에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남부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이 항만은 9월 한 달간 829,499TEU를 처리하며 2023년 9월에 기록한 이전 최고치보다 70TEU 증가했다. 이는 4개월 연속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수치다. 수입 물량은 ..
대서양 항로 운임은 상승 기조 유지 항만 파업 우려 선복 배치 불균형도 “한 몫” 중국발 미주행 컨테이너 현물운임이 다소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번 주에도 하락세는 지속됐는데, 이는 아시아-유럽 항로에서도 동시에 나타났다. 세계컨테이너 지수인 WCI의 상하이-로테르담 구간은 이번 주 7% 하락해 40피트당 3,123달러를 기록했으며, 상하이-제노아 구간은..
덴마크에 본사를 둔 프레이트 포워더 Scan Global Logistics(SGL)가 아일랜드에 첫 사무소를 개설하며 지속적인 확장을 이어가고 있다. SGL은 새롭게 문을 연 더블린 사무소가 대서양 횡단 무역 노선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Neil Murray SGL 영국 및 아일랜드 매니징 디렉터는 "아일랜드는 주요 무역 노선에 근접해 있고, 항공 및 해상 운송의 대서양 관문 역할..
* 피앤에스네트웍스 김상현 부회장(오른쪽)과 국제항공운송협회 김백재 한국 지사장이 여의도 피앤에스네트웍스 본사에서 CEIV Lithium Batteries 인증 수여식 및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피앤에스네트웍스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로부터 ‘리튬배터리 항공운송 품질인증’(CEIV Lithium Batteries)을 자격을 취득하고 배터리 물류사업부문 확대에 나선다고 25일 밝혔다..
세계 최대 특송 회사 중 하나인 페더럴 익스프레스 코퍼레이션(Federal Express Corporation, 이하 ‘페덱스’)은 2024년 회계연도(2023년 6월~2024년 5월)에 자사가 글로벌 네트워크 및 지역사회 번영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연례 경제 영향 보고서를 28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비즈니스 데이터 및 분석의 선두주자인 던 앤 브래드스트리트(NYSE: DNB)와 협력해 작성됐..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이학재)는 인천공항 물류단지 잔여부지 총 4개소에 입주를 희망하는 민간투자 사업시행자를 모집한다고 25일 밝혔다. 모집 대상은 「자유무역지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제10조 제1항 제4호 또는 제5호*에 의한 법인(설립예정법인 포함)이며, 사업 부지는 총 4개소로, 제1공항물류단지 1개소(소형부지 5천㎡미만), 제2공항물류단지 3개소(대형부지 1만..
최근 WorldACD 자료에 따르면, 중국에서 유럽으로 가는 물동량은 10월 초 황금연휴 이후 회복세를 보인 가운데, 홍콩에서 유럽으로 향하는 화물은 올해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10월 셋째 주(42주차) 홍콩-유럽 간 물동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5% 증가했으며, 9월 평균 주간 수준보다 12% 증가했다. 이는 연말 전자상거래 수요 증가 가능성을 강력히 시사하고 있다. 홍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