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4년 4월부터 2025년 3월까지 회계연도 기준, 인도 전역의 공항들이 총 370만톤의 항공화물을 처리하며 전년 동기(336만톤) 대비 1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인도공항청(AAI)에 따르면, 국제화물은 전년 대비 14% 증가한 232만톤, 국내화물은 6% 증가한 139만톤을 기록했다. 이중 벵갈루루 국제공항(BIAL)은 국제화물 처리량이 32만1,283톤으로 전년 대비 21% 증가해 ..
전 세계 가장 많은 국가로 취항하는 터키항공의 자회사이자 전 세계 항공기 유지보수 및 운영(MRO) 부문을 선도하는 터키항공 테크닉(Turkish Technic)이 세계 최대 항공기 엔진 제조업체 롤스로이스와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튀르키예 이스탄불 공항에 설립될 공식 최첨단 엔진 정비센터는 롤스로이스 MRO 네트워크에서 가장 최신 시설에 해당하며, 터키항공 테크닉의 ..
하이브리드 항공사 에어프레미아(대표이사 김재현, 유명섭)가 화물사업의 다각화를 통해 고부가가치 특수 화물 시장을 본격 공략하고 있다. 에어프레미아는 기존 ‘중국 S&A(Sea and Air, 통칭 C커머스) 물량’ 중심의 판매 구조에서 벗어나, 의약품, 기업물류, 신선식품 등 고부가가치 특수 화물 수송에 집중하며 항공 화물 시장 내 경쟁력을 빠르게 강화하고 있다. 특..
홍콩에어카고(Hong Kong Air Cargo)가 터키항공카고(Turkish Cargo)와 전략적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양사는 상업 전략 조율 및 공동 운영 구상을 통해 글로벌 항공화물 사업에서의 시너지를 모색할 계획이다. 홍콩에어카고는 5월 6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 양해각서가 지난 4월 22일 체결됐으며, 항공화물 사업의 공동 발전을 위한 다양한 협력 방안을 담고 있다고 ..
* 사진 출처 : DSV 웹사이트 글로벌 종합물류기업 DSV가 오는 2025년 5월 13일부터 미국 시카고와 중국 상하이를 연결하는 신규 항공 전세기 노선 '상하이 스타(Shanghai Star)'를 개설한다고 밝혔다. 이번 노선은 미국과 아시아 간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한 DSV의 전략적 조치로, 미주-중국 간 물류 연결성 확대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보도자료를 통해서 DSV는 이번 신..
카타르항공카고(Qatar Airways Cargo)가 자사의 위상을 다시 한 번 각인시키는 새로운 브랜드 캠페인‘Leading Global Trade(글로벌 무역을 이끌다)’*를 공식 발표했다. 이번 캠페인은 단순한 슬로건을 넘어, 이번 캠페인은 카타르항공카고가 글로벌 무역과 현대인의 삶을 뒷받침하는 핵심 물류 파트너임을 선언하는 강력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는 것이 카타르항공카고의 ..
미국의 디미니미스(De Minimis) 제도 철폐가 시작된 5월 2일 이후 중국 및 홍콩발 항공화물기 운항이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시장 분석업체들은 적어도 하루에 2,000톤 정도의 항공화물 스페이스가 시장에서 사라졌으며 이는 미주행 화물노선에 큰 충격을 가할 것으로 추정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미국 전자상거래 및 물류 전문 컨설팅기업인 Cirrus Global A..
*사진 출처 : 우즈벡 My Freighter LinkedIn 우즈베키스탄에 본사를 둔 My Freighter는 지난 5일 LinkedIn 게시물을 통해 보잉 767-300F를 인도받았다고 밝혔다. 항공사측은 "MyFreighter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방금 8번째 화물 항공기인 보잉 767-300F를 도입했습니다."라고 전했다. 이번에 도입한 767-300F는 체코 오스트라바를 경유하여 미국 오하이오주 윌밍..
* 사진 출처 : EK Skycargo LinkedIn 에미레이트항공의 화물 부문인 에미레이트 스카이카고(Emirates SkyCargo)가 화물기 운용 능력 강화를 위해 보잉 777F 화물기 2대를 신규 도입했다고 밝혔다. 에미레이트는 지난 5일 공식 LinkedIn에서 이같이 전하면서, “글로벌 고객을 더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운항 역량과 네트워크 확장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에미레이..
2025년 5월 첫째 주 전 세계 항공화물 운임이 다시 한번 하락세를 보이며 주요 허브공항 대부분의 수출 노선에서 약세를 기록했다. TAC Index가 발표한 최신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발틱항공운임지수(BAI00)는 전주 대비 4.5% 하락했으며, 이는 지난해 강세장을 보였던 같은 기간과 비교해 연간 기준으로는 5.7% 낮은 수준이다. 2025년 들어 미중 간 관세 인상 우려로 운임이 상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