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MM이 2025년 1분기 연결기준 실적을 발표하며 견조한 수익성을 입증했다. 글로벌 해운 시장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선대 확충 및 신규 서비스 확대에 힘입어 매출과 수익성이 모두 큰 폭으로 개선됐다.
실적 공시를 통해서 HMM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2조8,547억 원, 영업이익 6,139억 원, 당기순이익 7,397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동기비 매출은 23%(5,248억 원), 영업이익은 51%(2,069억 원), 당기순이익은 52%(2,546억 원) 증가한 수치다.
특히 영업이익률은 전년 동기 17.5%에서 올해 21.5%로 4%포인트 상승하며 글로벌 Top-Tier 수준의 수익성을 달성했다. SCFI(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가 2024년 1분기 평균 2,010포인트에서 올해는 1,762포인트로 하락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HMM은 수익성 방어에 성공했다.
이는미국의 보호무역 강화와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 심화에도 불구하고, HMM은 선제적 대응에 나서면서, 대서양과 인도-북유럽 항로 등 신규 서비스 확대와 관세 영향을 덜 받는 지역 중심의 영업 강화 전략을 통해 물동량 확대와 수익 증대 효과를 거뒀다.
한편 HMM은 향후 시장 전망에 대해서 “낙관적이지만은 않다. 미·중 간 관세 재협상이 본격화되며 수요 측면의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으며, 글로벌 선사의 선복량 증대, 수에즈 운하 재개 여부, USTR의 중국 해운·조선 산업 견제 등 다양한 변수가 시장을 압박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 관계자는 “특히 중국발 미주노선의 수요 둔화가 가시화되면서 단기적으로 운임 하락과 공급 과잉 현상이 동반될 가능성이 제기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HMM은 2023년 발주한 9,000TEU급 메탄올 연료 기반의 친환경 컨테이너선 9척을 올해 3월부터 순차적으로 인도받고 있으며, 내년 상반기까지 전량 투입을 마칠 예정이다.
아울러 2030 중장기 전략에 따라 선대 확보, 지역별 수급 변화에 대응한 탄력적 운용, 벌크 부문 고수익 화물 발굴, 디지털화를 통한 비용 절감 등을 통해 불확실한 시장에 유연하게 대응할 계획이다.
[ⓒ 카고프레스 & cargo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NEW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