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이 글로벌 사업 강화의 일환으로 지난 2012년 8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설립한 대표사무소를 올해 1월부로 법인 전환했다. 법인 사업의 신속한 확장을 위해 ㈜한진 노삼석 대표이사 사장이 지난 1월 말부터 2월 초까지 일주일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를 방문하여 사업 확대방안을 논의하고, 사업 부문별 협력기관과의 비즈니스 미팅을 통해 시장 파악에 나섰다. 인도네시아..
한국국제물류협회(회장 원제철)은 지난 2월 9일 협회 회의실에서 ‘2023년 한국국제물류협회 신규 회원사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기존과는 달리 처음으로 신규 회원사 대표이사를 협회로 초청하여 회원증을 전달하는 동 행사에는 KIFFA 원제철 회장, 협회 신규 가입 7개사의 대표이사 또는 상무이사가 참석하였다. 이날 간담회에서 협회 사무국은 오는 2월 21일 협회 정기..
(사)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회장 서병륜)는 제5기 콜드체인전문가(콜드체인관리사) 양성과정을 개설하여 3월 23일까지 교육 참가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콜드체인전문가 양성과정은 코로나19 상황과 맞물려 국민의 식생활 안전과 위생의식이 높아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식품 및 의약품 콜드체인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콜드체인의 선진화를 리드해 나갈 콜드체..
인도 정부는 최근 지역내 무역 허브국가로 성장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방글라데시 수출 항공화물을 인도 델리공항에서 환적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시작했다. 최근 관련업계에 따르면, 인도 중앙세관의 역할을 하고 있는 소비세 주무관청인 CBEC는 오는 2월 15일부터 방글라데시 환적화물을 처리하기 위해 델리공항의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그동..
아시아 수출 해상화물 운임 척도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1,000 이하로 떨어지면서, 그동안 시장이 예상했던 올 운임 정상화(normal)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동안 해운시장은 수요 위축에도 불구하고 코로나 이전의 수준으로 운임이 하락하지는 않을 것이며, 올 한해 운임은 내려가겠지만 예전 수준보단 높은 가격에서 시장 운임이 형성될 것이라고 예..
지난 1월 30일부터 2월 5일까지 주간 단위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 동향을 발표한 WordACD는 시장 수요 물동량이 강한 상승세를 보이기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중국 춘절 이후 시장 물동량 상승세를 기대했던 시장에게는 반가운 소식일 수 있는 이번 주간 데이터는 전주대비 11%의 수요 증가세를 보였다. 이는 지난 주간 데이터(1월 22일)가 (-) 13% 하락세를 기록하면서 시장의 우려를 ..
어질러티가 매년 글로벌 물류기업 임원급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는 신흥시장 물류지수(Emerging Markets Logistics Index) 보고서에서 전체 응답자의 70% 가깝게 올해 시장 경기 침체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 637명중 45.1%는 경기침체를 “확신”했으며, 23%는 경기침체에 대해 “가능성 있음”에 답한 것으로 나타나 거의 70..
지난 1월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 운임이 대다수 운임지수들의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최근 발표된 Baltic Exchange Airfreight Index (BAI) 역시 계약 및 현물 평균 운임이 모두 줄어든 것으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BAI 기준 지난 1월 대표적인 항공화물 교역로인 홍콩- 북미 구간에서의 운임은 kg당 6.14달러로 나타나, 전월인 2022년 12월 6.50달러보다 하락한 것으..
미국 해운시장에서 컨테이너 전용 트레일러인 셰시(Chassis) 운송에 대한 선사들의 권한(?)이 사라질 전망이다. 최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 법원은 해운회사(선사)들이 복합운송장비 제공업체를 이용하도록 요구 – 사실상 강요 – 하는 것에 대해 미 해사위원회(FMC)의 OSR 2022 법률 위반 판정이 법적 문제가가 없다고 판결했다. 이는 MSC, CMA CGM, Maersk 및 Hapa..
최근 중국 경제 분석기관이 발표한 2022년 중국 경제 및 지방(성) GDP 통계가 발표되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중국 본토 31개 성, 직할시 자치구별로 GDP 및 경제 지표를 발표했는데, 진나해 중국은 전국적으로 경제 성장이 둔화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지역마다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주목할 점은 이들 지방정부들은 2023년 GDP 성장 목표도 발표했는데, 코로나19 제한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