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항공사 에미레이트 항공이 튀니스, 암만, 이스탄불, 담맘, 호찌민, 바그다드, 오슬로 등 7개 도시에 최신 에어버스 A350 항공기를 신규 투입한다고 밝혔다. A350의 정규 운항 도입을 통해 최신 기내 혁신을 적용한 항공기를 더욱 많은 노선에 배치할 예정이다. 이번 도입으로 중동, 걸프협력이사회(GCC), 유럽의 중·단거리 네트워크가 확대되며, A350이 처음으로 아..
SF항공이 지난 1년간 운송 능력을 대폭 확장하며 보유 항공기 수를 90대로 확대했다고 발표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SF항공의 전체 운송 능력은 전년 대비 32% 증가했으며, 특히 중동과 중국 간 노선에서의 성장세가 두드러져 세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현지 매체에 따르면, SF항공은 최근 선전 바오안 공항에서 90번째 항공기인 보잉 767-300BCF를 신규 도입했다고..
미국과 캐나다, 멕시코 간 무역이 올해 1월 총 1,340억 4,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8% 증가했다. 글로벌 무역 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서도 북미 지역의 교역은 성장세를 보였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미국의 최대 교역국은 역시 멕시코로, 교역 규모가 696억 1,000만 달러에 달하며 전년 대비 7.8% 증가했다. 캐나다와의 무역도 648억 달러로 8.6% ..
유럽의 주요 화물기 운항 항공사들이 하계 스케줄에서 홍콩 노선 확대를 적극 추진하면서 전자상거래 수요 증가에 따라 공급도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최근 독일의 루프트한자 카고(Lufthansa Cargo)와 에어프랑스-KLM(Air France-KLM)은 3월 말 하계 스케줄 화물기 네트워크 조정에서 홍콩 노선을 확대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미국의 관세 및 디 이너..
* 이미지 생성 DALLE-E 미국과 예멘 반군 후티 간의 미사일 공격이 지난 주말 동안 이어지면서, 컨테이너선의 수에즈 운하 통과 운항 재개에 대한 기대가 다시 한번 타격을 입었다. 미국의 예멘 공습에 대한 보복 공격으로 보여지는 이번 미사일 공격으로 홍해를 이용한 컨테이너 선박 운항이 조만간 재개될 것이라던 시장의 기대감이 무너지고 있다. 특히 전문가들은 이번 공격이..
글로벌 항공 화물 시장의 운임이 다시 상승하고 있다. TAC 인덱스(TAC Index)의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3월 17일까지 일주일간 글로벌 발틱 항공 화물 지수(BAI00)는 전주 대비 2.3% 상승했으며, 이는 전년동기비 4.3% 높은 수준이다. 특히 시장 관계자들은 태평양 횡단 노선에서 스팟 운임이 상승하면서 전체 운임이 끌어올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번 주 상승..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이학재)는 친환경 수소공항 운영 분야 글로벌 협력을 강화화기 위해 스키폴 공항 관계자를 초청해 ‘친환경 수소공항 구현을 위한 워크숍’을 진행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워크숍은 지난 2023년 3월 출범한 인천공항과 스키폴 공항 간 ‘친환경 공항 워킹그룹’활동의 일환으로, 양 공항은 정기적인 워크숍 및 회의 개최를 통해 친환경 ..
한진은 '2025 서울마라톤' 공식 물류사로 대회 관련 물류를 수행했다고 16일 밝혔다. 한진은 국내 최대 규모 마라톤대회의 행사 물류의 완벽한 수행으로 스포츠 물류 전문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는 평가다. 특히 물류 수행 중 택배차 1백여대의 행렬이 서울시내를 횡단하는 모습이 눈길을 끌기도 했다. 한진은 16일 열린 서울 마라톤 대회 참가자들의 의류와 장비 등 개인 ..
엑스포라인이 지난 2월 16일부터 19일까지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2025 ATA(Animal Transportation Association) 컨퍼런스에 참석했다. 이번 행사에는 전 세계 92개 회원사에서 약 140여 명이 참가했으며, 엑스포라인은 대한민국 유일 ATA 회원사로서 글로벌 동물 운송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전문성을 강화하는 기회를 가졌다. ATA는 전 세계 약 375개 업체가 가입한 국제 동물 운송 ..
홍콩익스프레스(HK Express)가 2025년 6월 5일과 6월 6일부터 각각 청주국제공항(CJJ)과 대구국제공항(TAE)에서 홍콩으로 향하는 직항편을 운항한다. 기존에 운항하던 서울, 부산, 제주 뿐만 아니라, 대구, 청주에서 홍콩으로 여행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홍콩익스프레스는 한국-홍콩 노선을 주 최대 54회 운항하며, 홍콩에서 서울, 부산, 제주, 청주 그리고 대구, 5개 주요 목적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