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물류시장의 “살아있는 전설” 신용·성실 경영으로 글로벌 경쟁서 고군분투 두바이 거점 중국·인니·일본까지 네트워크 확장도 흔히 중동 국제물류 시장을 이야기할 때 자체 수요시장 보다는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허브 기능에 방점을 두고 있다. 그런 점에서 두바이는 초창기부터 글로벌 물류기업을 포함해 거의 모든 국제물류 업체들의 각축..
단기적 수요 급감은 사실 공급도 줄어 운임 타격 덜해 최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이 최근 디 미니미스 제도를 폐지하고 중국산 제품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을 통한 저가 상품의 미국 수출은 여전히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상하이 거점 전자상거래 전문 포워더는 “미국의 대중 고율 관세 조치가 전자상거래 플..
세계 최대 항공사 에미레이트 항공이 한국 취항 20주년을 맞이 했다. 지난 2005년 3월 7일 한국에 첫 취항한 에미레이트 항공은 현재까지 인천과 두바이 간 14,630편 이상의 항공편을 운항하며 500만 명 이상의 승객을 수송했다. 두바이를 경유하는 인천 출발 승객들에게 6대륙 110여 개 도시에 이르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제공하며, 한국과 세계를 잇는 중요한 허브로 자리 잡고 있다..
미국의 ‘디미니미스(de minimis)’ 변경을 앞둔 지난주, 아시아태평양 특히 중국과 홍콩발 미국행 항공화물 운송량이 급감했다. 5월 1일 노동절과 일본의 골든위크(Golden Week) 연휴까지 겹치면서 전 세계 항공화물 시장도 전반적인 감소세를 보였다. WorldACD Market Data가 발표한 18주차 주간 집계에 따르면, 2025년 4월 28일부터 5월 4일까지전 세계 항공화물 운송량..
바틱에어 말레이시아가 2025년 9월 13일부터 인천(ICN)과 코타키나발루(BKI)를 직항으로 연결한다. 인천-코타키나발루 노선은 2025년 6월 13일부터 주 3회(월, 목, 토) 운항하며, 인천 출발 항공편은 오전 6시 20분에 인천(ICN)을 출발해 오전 10시 45분에 코타키나발루(BKI)에 도착한다. 귀국 편은 오후 11시 10분에 코타키나발루를 출발해, 다음 날 오전 5시 20분에 인천에 도착한..
대한항공이 캐나다 2위 항공사 지분을 인수하며, 명실상부한 글로벌 항공사로서의 영향력 확대에 나선다. 대한항공은 5월 9일(금) 오전 이사회를 열고 캐나다 웨스트젯 항공 지분 10%(2.2억불 규모)를 인수하기로 결의했다. 델타항공도 지분 15%(3.3억불)를 인수한다. 델타항공 보유 지분 중 2.3%는 에어프랑스-KLM에 매각·양도할 권리를 가진다. 대한항공이 웨스트젯 지분..
반려동물 해외 운송 전문기업 펫에어라인이 국제 동물보호단체 HWA(Humane World for Animals)와 협력해 국내 구조견 56마리를 미국 입양처로 항공 운송했다. 이번 운송은 5월 8일 인천국제공항 화물터미널에서 진행됐으며, 구조견들은 같은 날 저녁 항공편을 통해 무사히 출국했다. 해당 구조견들은 모두 국내 식용견 농장에서 구조된 개체들로, 미국 현지 보호단체로 이송돼 입양..
지난 2024년 4월부터 2025년 3월까지 회계연도 기준, 인도 전역의 공항들이 총 370만톤의 항공화물을 처리하며 전년 동기(336만톤) 대비 1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인도공항청(AAI)에 따르면, 국제화물은 전년 대비 14% 증가한 232만톤, 국내화물은 6% 증가한 139만톤을 기록했다. 이중 벵갈루루 국제공항(BIAL)은 국제화물 처리량이 32만1,283톤으로 전년 대비 21% 증가해 ..
전 세계 가장 많은 국가로 취항하는 터키항공의 자회사이자 전 세계 항공기 유지보수 및 운영(MRO) 부문을 선도하는 터키항공 테크닉(Turkish Technic)이 세계 최대 항공기 엔진 제조업체 롤스로이스와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튀르키예 이스탄불 공항에 설립될 공식 최첨단 엔진 정비센터는 롤스로이스 MRO 네트워크에서 가장 최신 시설에 해당하며, 터키항공 테크닉의 ..
하이브리드 항공사 에어프레미아(대표이사 김재현, 유명섭)가 화물사업의 다각화를 통해 고부가가치 특수 화물 시장을 본격 공략하고 있다. 에어프레미아는 기존 ‘중국 S&A(Sea and Air, 통칭 C커머스) 물량’ 중심의 판매 구조에서 벗어나, 의약품, 기업물류, 신선식품 등 고부가가치 특수 화물 수송에 집중하며 항공 화물 시장 내 경쟁력을 빠르게 강화하고 있다.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