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화물 시장 데이터 분석업체인 TAC Index는 최근 주간 시장 분석을 통해 포워더들의 데이터로 취합한 3월 첫 주(6일 기준) Baltic Air Freight Index(BAI)가 3.5% 상승한 것으로 집계되어 중국에서의 생산증가가 시장 수요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까지 항공화물 시장 수요 하락으로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는 항공화물 시장이 중국의 리오프..
독일 국영 철도 운영기업인 도이치 반(Deutsche Bahn)은 최근 물류부문 자회사인 DB쉥커를 물류 부문을 최대 200억 유로(211억 달러 상당) 이상의 가격을 매각하기 위해 최근 3개의 자문 은행을 선정햇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이번에 선정된 은행은 골드만 삭스와 모건 스탠리, 그리고 도이치 뱅크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쉥커의 매각 방식 등 최종 세부 사항에 논의가 진행중이..
지난 8일 벨기에 브뤼셀공항은 지난해 탁월한 성과를 거둔 항공사 및 파트너사를 선정 매년 수상하는 “Brussels Airport Aviation Awards”를 개최했다. 총 11개 부문으로 진행된 이번 수상은 정시성 및 실적, 네트워크 개발, 안전 및 환경분야 등에서 괄목할만한 실적과 성과를 올린 항공사 및 관련 기업들을 선정했다. 1. 화물 항공사 실적상 : Ethiopian Airlines는 ..
대한항공, 3월 3일 한-중 국제선 증편 재개 합의에 따라 오는 3월 17일부터 대 중국 항공편을 대대적으로 증편한다. 최근 대한항공은 중국노선에 대한 구체적인 증편 등 운영 계획을 발표했는데, 한-중(본토) 노선을 현재 주 13편 → 주 84편(3월말) → 주 99편(5월부)까지 확대한다는 내용이다. 이는 지난 2019년 대비 3월~4월 운항편수 기준 약 38%를 복원(주 84편)하는 ..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김경욱)는 지난 9일 오후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밀레니엄홀에서 ‘제7회 인천에어포트 어워드(ICN Awards)’시상식을 개최했다. 인천에어포트 어워즈는 인천공항의 운영 및 서비스 향상에 기여한 우수사업자와 친절직원을 선정해 시상하는 행사로, 올해 행사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최근 항공수요 회복세에 맞춰 공항상주직원들과 인천공항의..
아시아나항공이 3월부터 본격적인 증편을 통해 중국 노선 정상화에 나선다. 아시아나항공은 정부의 중국발 입국자 방역 완화에 따라 중국 여행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17개 주요 중국 노선에 대해 주 89회로 운항을 증편한다. 아시아나항공은 우선 지난 3월 6일(월) ▲선전 노선 1회 증편을 시작으로 기존 9개 노선 주 10회 운항에서 13개 노선 주 25회까지 운항을 늘렸다. 코로나1..
카타르항공은 국제여성의 날의 맞아 도하에서 상하이까지 운항하는 화물기의 운항과 관리에 전원 여성만이 참여하도록 했다. 최근 카타르항공은 “국제 여성의 날을 기념하기 위해서 화물 탑재 및 관리 지상직 직원은 물론 화물기 조종 승무원에 이르기까지 해당 운항편 모든 과정을 여성 직원만이 참여 처리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지난 5일 도하를 출발한 화물기는 10..
롯데글로벌로지스 박찬복 대표이사가 한국통합물류협회 제8대 협회장에 취임했다. 박찬복 신임 협회장은 지난 2월 23일 한국통합물류협회 2023년도 정기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제8대 협회장으로 선출된 바 있으며, 3월 1일부터 앞으로 2년간 한국통합물류협회의 협회장을 역임하게 된다. 박찬복 협회장은 취임사에서 “대한민국 경제의 대동맥을 책임지고 있는 회원사들이 세계..
최근 GEODIS Korea는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기업 선정위원회(Great Place To Work in Korea; GPTW)가 주관한 2023년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기업 시상식에서 전체 기업중 12위를 기록하는 등 총 3개부문에서 ‘좋은 기업’으로 선정되었다. 특히 GEODIS Korea는 일하기 좋은 기업 선정 이외에도 “밀레니얼이 일하기 좋은 기업 (GREAT PLACE TO WORK FOR MILLENNIAL)&rd..
제 3국으로부터 EU 국가로 들어오는 수입화물에 대해 세관 신고제도인 ICS(Import Control System)의 2단계 적용 일자가 3월 1일에서 일부 국가에 한해 오는 6월 30일까지 수행이 유예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현지 업체들에 따르면, 3월 1일부로 시행이 예정된 EU 국가에 도착하는 항공화물에 대한 사전 세관 신고제가 많은 국가들이 아직 해당 시스템과 연동이 어렵다는 현실에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