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관문공항인 Tokyo Narita International Airport(NRT)는 항공화물 물류시설을 개발하기 위한 새로운 프로젝트를 마련, 대규모 투자를 이어나갈 예정이다. 최근 관련업계에 따르면, 상용 부동산 기업인 Goodman그룹은 최근 나리타공항공사 및 치바현 당국과 협력해 70 헥타르(23만 평 상당) 규모의 물류단지를 개발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물류단지는 나리타공항의 제3 활주..
미국을 대표하는 서부항만 거점 항구인 로스엔젤레스항구의 2월 컨테이너 수입화물 실적이 예상대로 급 추락세를 보이고 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로스앤젤레스 항먼 당국 관계자는 “하락세를 예상하고 있었지만, 추락세가 너무 가파르다”라고 전제하고, 지난 2월 LA항구의 컨테이너 총 처리량은 2월 487,846 TEU로 전년동기비 43%의 감소세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
에어프레미아는 5월 22일 인천∼뉴욕 노선에 신규 취항한다고 밝혔다. 이번 취항은 지난해 10월 로스앤젤레스(LA) 노선에 취항한 데 이은 2번재 미주 노선 취항으로, 에어프레미아는 매주 월·수·금·일요일 4회 운항을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에어프레미아는 기존 한국 국적 항공사들이 취항한 뉴욕 존 F. 케네디 국제공항(JFK)이 아닌 뉴욕 뉴어크 리버티..
롯데글로벌로지스가 자사 물류센터 10개소에 자원순환 플랫폼(이하 에코야(ECOYA)) 구축을 완료했다고 20일 밝혔다.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에코야’ 개발사인 HRM(Hanvit Resource Management)과 업무협약 체결(2021년 12월) 후 해당 솔루션을 도입하여 자사 물류센터 적용을 확대하고 있다. 에코야는 폐기물의 모든 처리 과정에 대한 현황, 재활용율 및 탄소 저감 효과 ..
대한항공이 강진으로 큰 피해를 입은 튀르키예 이재민들을 위해 구호물자 무상 수송에 나섰다. 대한항공은 3월 20일(월) 새벽 0시 25분 출발하는 인천발 이스탄불행 화물기를 편성해, 튀르키예 지진 피해 구호물자를 무상 수송했다고 밝혔다. 기종은 보잉777F 화물기다. 대한항공이 수송한 구호물자는 텐트, 침낭, 담요 등 약 45톤 규모다. 이스탄불에 도착한 구호물자는 튀르키예 ..
세계 최대 규모의 특송 회사이자 공급망 서비스 리더인 UPS는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주요 시장의 무역 동향과 전망을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오늘날 전 세계 무역의 88%를 차지하는 아시아 주요 12개국(이하 ‘아시아-12’)은 새로운 소비자 수요의 글로벌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아시아-12를 대상으로 한 한국의 무역 가치는 향후 10년 동안 크..
LCC 화물사업 경쟁력 업그레이드‘신호탄’ 화물기 도입계획, 양양공항 화물터미널 운영 양양국제공항을 모기지로 하는 항공사 플라이강원은 국토교통부로부터 화물운송사업면허를 지난 1월 취득했다. 국토교통부로부터 화물운송사업면허를 취득함에 따라 플라이강원의 화물사업이 본격화될 것으로 풀이된다. 플라이강원은 이미 타이페이와 하노이 항공화물시장을 빠르게 ..
캐세이카고가 지난 2월 10만 3932톤을 운송했지만,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9.6%가 증가한 수치로 향후 시장 전망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캐세이카고에 따르면, 2월 항공화물 실적은 지난해 검역 강화에 따라 항공기 승무원 탑승 제한으로 어려움을 겪었던 것과 비교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는데. 2월 실적을 수익화물톤(Revenue Freight Ton Kilometer; RFTK)기준으..
사진설명] 3월 16일, 부산신항 인근 창원 진해에서 열린 로지스팟 물류센터 오픈식에서 로지스팟 박준규(우측 네 번째)·박재용(우측 세 번째) 공동대표, 제임스 폴테섹(좌측 여섯 번째) 3M 아시아 대외협력 총괄 및 한국3M 사장, 키멩 웡(좌측 다섯 번째) 3M 아시아 물류 총괄 본부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디지털 통합 물류 솔루션 기업 로지스팟(주)이 부산신항 인근에 ..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 분석 업체인 WorldACD의 주간 보고서에서 10주차인 3월 3째주 6일부터~12일 기간중 항공화물 시장 볼륨이 전 주 대비 (-)1%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그동안 지속적인 하락 추세가 둔화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동시에 글로벌 시장 평균 운임도 안정화 단계에 접어든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WordlACD측은 “전 세계 화물 톤수가 (-)1% 줄어든 것은 &ls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