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항공화물 시장분석 업체인 Xeneta는 지난 4월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 수요는 전년동기비 11% 이상 증가세를 기록했지만. 1분기를 지나면서 상승 추세는 다소 둔화되는 모습이라고 전했다. 이는 항공사 L/F에 영향을 미치는 벨리공급이 때문인 것으로 본 Xeneta는 하계 휴가시즌이 다가오면서 공급은 늘고 수요는 위축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Xeneta가 집계하는 유효 공급량 대비 볼륨과 중량을 고려한 Chargeable weight를 기반으로 작성한 D-L/F는 지난 3월..
최근 IATA는 ㅈ난 3월 기준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 실적이 지난해 12월부터 연속해서 4개월동안 증가세를 보여주었다고 발표했다. 특히 올들어 두자릿수 증가세를 계속 유지하면서 3월 역시 CTK(화물톤킬로) 기준 전년동기비 10.3% 늘어났다. 이에 따라 지난 1분기 전체 실적도 상승세를 보이면서, 2021년 1분기 이후 최고의 분기 실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IATA는 “전자상거래 수요에 힙입어 3월 전체 화물 실적은 전년동기비 11.4% 증가한 셈이다. 특히 ACTK(Avail..
독일계 국제 물류기업인 DB Schenker는 지난 26일 새로운 항공 특송 서비스인 온보드 쿠리어 (OBC)를 도입했다고 발표했다. 이 서비스는 고가의 혹은 시간의 민감한 운송에 대한 전문적인 처리와 세심한 주의를 제공하는 프리미엄 서비스 솔루션을 필요로 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하며, 전 세계 주요 지역의 수출입 개인소화물 뿐만 아니라, 전자 상거래 배송, 자동차 부품, 의약(제)품, 고급 제품 등에 대해 신속하고 정확한 배송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새로운 OBC 서비스..
우즈베키스탄 타쉬켄트 국제공항이 화물 거점 공항으로 성장을 위해 대대적인 개발에 나섰다. 최근 우즈베키스탄 공항당국은 연간 12만톤 이상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화물터니멀 개발을 시작했다고 밝히면서, 이를 통해 타쉬켄트국제공항의 국재선 화물 처리 및 운영 능력을 배가 시킨다는 계획이다. 이번에 공사를 시작한 화물터미널 설계는 모두 마친 상태로 공사는 총 2단계로 진행될 예정인데, 1단계 공사는 올 연말까지 마무리하고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 특히 1..
미중 갈등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는 공급망 재편 영향으로 미국과 NAFTA가 체결된 멕시코 시장으러의 투자 진출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어찌보면 당사국이라고 할수 있는 중국 조차도 니어쇼어링 기회가 늘어나자 멕시코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 관렵업계에 따르면, 현지 물류 및 공급망 관계자들은 멕시코 게레타로(Queretaro)시를 중심으로 거대한 중국 기업 단지가 조성되고 있다고 전했다. 현지 자동차 판매점이 급증하는 가운데, 새로운 매장의 60%가 중국인이라는..
최근 미국 주요 항공사들의 1분기 실적 발표가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 항공사중 이른바 Big 3로 불리오는 아메리칸항공, 유나이티드항공, 델타항공의 화물 사업 부분이 감소세가 완화되기는 했지만 여전히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렵업계에 따르면, 이들 3대 항공사들은 1분기 성공적인 여객 실적을 발표했지만, 화물사업에서는 느린 속도로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먼저 델타항공의 경우 전체적을 기록적인 영업이익을 발표했지만 화물사업 경우는 매출이 ..
롯데글로벌로지스가 글로벌 3위 해운사인 프랑스 CMA CGM과 전략적 파트너십(MOU)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서울시 중구에 위치한 롯데글로벌로지스 본사에서 진행된 업무 협약식에는 강병구 롯데글로벌로지스 대표이사와 보 웨그너(Bo Wegener) CMA CGM 아시아태평양 CEO가 참석해 협약서에 서명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롯데글로벌로지스가 수행하는 컨테이너 화물에 대해 경쟁력 있는 운임과 선복(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선박 내 공간) 제공 ▲미주, 유럽 및 아시아..
전자상거래 화물이 항공화물 시장의 신성장 동력으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인천공항도 전방위적 전자상거래 화물 허브 기능 강화에 본격적으로 뛰어 들었다. 최근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이학재)는 인천공항을 중심으로 한 중국발 미주, 유럽행 전자상거래 물동량 증대를 위해 지난 22일부터 26일까지 중국 위해를 방문, 해상-항공 복합운송화물(이하 Sea&Air)이 중국에서 집하된 후 각 항만을 경유하여 인천공항까지 운송되는 전 과정을 실사하고 현지 물류기업 및 ..
기존 물류 공급망 방식 포기 소비자 직배송 선호 소비 거점 3PL 창고 시설투자 없이 가격 승부 홍해 사태로 인한 모달쉬프트로 이른바 반사이익을 항공화물시장이 받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는 있지만, 실제로 최근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 수요를 견인하는 가장 큰 요인은 중국발 전자상거래이다. 이제 1분기가 막 지나갔지만, 항공화물 시장의 가장 큰 추세는 홍해 사태나 지정학적 리스크가 아닌 전자상거래 때문이라는 점에 이견은 없다. 1차적으로는 TikTok이 온라인 판매..
글로벌해운선사로 항공사를 자회사로 두고 있는 Maersk는 최근 영국 항공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포석을 두기 시작했다. 최근 관련업계에 따르면, 머스크에어카고는 영국 노선 취항을 위해 민간항공국(CAA)에 외국 항공사의 정기편 운항 허가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이번 허가에는 전세기 운항도 포함된다. 이번 조치는 Maersk 에어카고가 본격적으로 영국행 비즈니스 모델을 시작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는데, Maersk에어카고는 지난해 말 중국 항저우와 영국 본머스를 연결하는 7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