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플랫폼 서비스 기업인 Cargo AI측은 최근 새로운 출발지(origin) 국가로 캐나다와 홍콩, 싱가포르 및 한국을 추가했다. 이에 따라 글로벌 사용자들은 한국을 포함한 이들 4개국에서 수입화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Cargo AI의 CargoMART를 통해서 즉시 예약확인과 파트너 항공사들의 투명한 가격 정보를 받을 수가 있다고 Cargo AI측은 밝혔다. 한편, Cargo AI..
글로벌 항공화물 운임이 10월 30일 기준 소폭이지만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TAC Index 자료에 따르면, 전체 Baltic Air Freight Index (BAI00)는 주간 기준 1.6%의 상승세를 보이면서 증가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물론 이같은 운임 지수는 전년동기비 기준으로는 (-)30.2%의 하락세를 보인 것이지만, 전 세계 주요 노선별로는 수출항공화물 평균 운임이 모..
카타르항공 그룹(Qatar Airways Group)은 오는 11월 5일부로 현 그룹 CEO인 Akbar Al Baker를 대신헤 신임 CEO에 바드르 모하메드 알 메르(Badr Mohammed Al-Meer)를 임명한다고 발표했다. (* 사진 우측이 신임 Badr Mohammed Al-Meer CEO)
인도 Tata 그룹이 자사 제조부문인 Tata Electronics (TEPL)을 통해 대만의 OEM 전문기업인 Wistron의 인도내 애플 아이폰 제조사업 부문을 인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Tata 그룹이 인수한 국적항공사인 에어인디아는 사실상 안정적인 애플 물량을 취급할 수 있을 것으로 시장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대만의 Wistron은 OEM방식으로 애플 아이폰을 ..
홍콩에어카고(Hong Kong Air Cargo)가 유럽 전자상거래 시장수요에 부응하기 위해서 지난 29일 이탈리아 밀라노에 상륙했다. 이번 A330-200 화물기 취항은 홍콩과 밀라노 말펜사공항을 매주 화, 목, 일요일 3회 연결하는 것으로, 홍콩 출발은 자정인 00시 05분 출발이고, 밀라노에는 아침 09시 15분 도착 스케줄이다. 이를 통해 홍콩에어카고는 전자상거래 상품 특성에 맞는 솔루션..
화물시장 국적사 독과점 우려 해소 불구 산적 현안 많아 인수 항공사 나와도 화물시장 점유 확대 쉽지 않을 듯 아시아나항공의 화물부문 매각이 당초 어제(30일) 이사회를 거쳐 최종 확정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난상토론 끝에도 결론을 내지 못하고 오는 11월 초 재개하는 것으로 일단락됐다. 아시아나항공은 보도자료를 통해서 11월 초에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에 '대한항공의 ..
대한항공은 최근 에어버스의 A321neo 항공기 20대 추가 주문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대한항공의 A321neo 항공기는 50대로 늘어나게 된다. 현재 대한항공은 주문한 A321neo 50대 중 8대를 인도 받아 2022년 12월부터 동남아, 중국, 일본 등 중단거리 노선에 투입하고 있다. 한편 대한항공은 안전운항을 위한 항공기 현대화에 지속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A321neo 20..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에서 올해 연말 성수기는 “없다”는 전망이 여전히 우세한 가운데에도, 일부 교역로에소의 수요 및 운임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다시 한번 연말 ‘정점(peak)’를 기대하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최근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 분석 업체인 WorldACD는 주간 리포트에서 42주차(10월 16일~22일) 데이터를 보면 전주 대비 톤 수 및 운임이 1% ..
글로벌 포워더인 DSV가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하는 물류 거점 시설 확충에 나서고 있다. 최근 DSV는 미국 오하이오의 뉴 알바니 테크 파크(New Albany Tech Park)에 새로운 물류 거점 시설 공사를 시작, 완공시 항공과 해운은 물론 도로 및 창고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북미 최대 규모의 물류 거점 시설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해당 창고 시설은 120만 평방피트..
㈜한진이 지난 27일 몽골 울란바토르에 몽골 대표사무소를 설립하면서, 아시아 물류 거점을 촘촘히 확보해나간다. ㈜한진의 아시아 지역 물류 진출 국가로는 이번이 총 10번째다. 기존 ㈜한진은 아시아 지역 해외법인으로서 중국 5개 법인(상해, 대련, 청도, 심천, 홍콩)을 비롯해 미얀마, 베트남,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우즈베키스탄에 진출해 있으며, 이어 법인보다는 작은 규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