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L Supply Chain이 아시아 태평양 시장에 대한 성장을 강화하기 위한 인사이동을 발표했다. 최근 DHL Supply Chain은 2024년 1월 1일부로 동남아 지역 담당 운영책임자(Head of Opreation)을 비롯 인도네시아 및 대만 담당 임원진에 대한 인사이동을 단행했다. 계약물류의 글로벌 리더 DHL Supply Chain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새로운 리더 인사를 발표하묜사, 동남아시아 운영..
글로벌 지상조업사인 Worldwide Flight Services (WFS)는 항공화물 적재 및 창고운용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전문기업인 Cind와 협력으로 팔레트를 포함한 ULD의 효율적인 적재 작업을 3D로 구현해 실제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용화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WFS는 유럽과 중동 아프리카 및 아시아 네트워크 일부 스테이션에 Cind의 ContourSpect 3D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
전문가들. "신조선박 공급과잉 우려 사라져" 북미행 '컨' 선복 부족 우려 항공화물 운임인상 예상도 이제 컨테이너 선박들이 홍해로 다시 돌아오지 않을 것은 명백해지고 있다. 동시에 2024년 공급과잉을 우려했던 해상 컨테이너 시장은 이제 공급 부족을 조심스럽게 걱정할 단계에 도달하고 있다는 지적마저 나오고 있다. 실제로 이른바 홍해사태로 인해 아프리..
최근 관련업계에 따르면, 독일 항공화물 허브공항인 프랑크푸르트(FRA)와 라이프찌히/할레 공항(LEJ) 화물 실적이 독일 경제상황을 반영, 감소세를 기록했다. 독일에서 가장 분주한 공항인 FRA의 경우 항공우편물을 포함한 화물량이 전년동기비 3.9% 감소한 190만톤을 기록했으며, 이는 2019년 코로나 이전과 비교해서도 9.3%가 줄어든 수치이다. 공항측은 이같은 화물 실적 감소는..
주간 단위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을 분석하는 WorldACD의 20204년 1월 2주차 실적이 발표됐다. 1월 8일부터 14일까지 글로벌 항공화물 실적은 이전 주 대비 24%의 톤수 증가세를 보이면서 12월 마지막주와 1월 첫주 전형적인 실적 둔화세를 보인 이후 곧바로 반등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점은 아시아태평양 및 중동, 그리고 서남아에서 출발해 유럽으로 향하는 항공화물 수..
예멘의 후티 반군 진지에 대한 미국과 영국의 공습에도 불구하고 문제는 나아지기는 커녕 점점 더 악화되고 있다. 이는 이란 등의 직접적인 개입으로 중동 전쟁이 확산되는 것을 꺼리는 미국의 입장을 잘 알고 있는 후티 반군이 여전히 추가적인 선박 공격을 시도하거나 위협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희망봉을 통한 컨테이너 선박 우회는 앞으로도 몇 달 동안 더 지속될 것으로..
홍해 사태에도 불구하고 항공화물 시장 운임은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전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일단 많은 전문가들은 2024년 글로벌 항공화물 운임 수준이 지난해보다 여전히 낮은 단계에서 형성될 것이라고 부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최근 투자 은행인 Stifel의 글로벌 물류시장 전문가인 Bruce Chan은 항공화물 수요 부진이 여전한 가운데, 설사 수요가 회복된다고 해도 글..
홍해 사태가 길어지면서, 항공화물시장 관계자들은 아직 구체적이고 체감적인 수요 이동이나 증가가 나타나고 있지는 않지만, 일부 시장 플레이어들은 많은 고객들이 해상운송을 대신해 항공화물 운송을 선택할 수도 있다는 문의가 늘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 이는 미국의 후티 반군에 대한 거점 공격이 이루어진 후에도 산발적으로 선박에 대한 미사일 공격이 이어지고 있어 해상 컨..
항공화물 시장 환경 변화 대응 미흡 CEVA 자회사 포워더 존재의 부담감 아시아-미주 서비스 부재 매출 한계 지난 16일 AF-KLM과 해운선사인 CMA CGM의 항공사인 CMA CGM 에어카고가 전격적으로 결별을 선했다. 이른바 항공화물 시장에서 기존 메이저급 화물항공사와의 파트너십은 10년 대계(?)를 부르짖으며 출범한지 불과 1년만에 헤어짐으로 결론이 난 것이다. 양측은 물론 항공..
세계 최대 항공사 에미레이트 항공이 세계 최초로100% 지속가능한 연료 (Sustainable Aviation Fuel, SAF)를 활용한 A380 항공기에 대한 시범 운항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시범 운항은 두바이 국제공항에서 진행되었으며, 에미레이트 항공의 기장인 칼리드 빈술탄, 펠리페 롬바트의 주도 하에 이루어졌다. SAF는 비행 시 탄소배출량을 기존 연료에 대비 85% 가량 줄일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