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프랑스 KLM 마틴에어 그룹이 항공화물 고객들을 위한 새로운 단계의 서비스를 출시했다. 이번에 출시한 새로운 PLUS 서비스는 일반항공화물(General Cargo) 서비스와 특급 운송(Express)의 중간 단계의 선택권을 보장하는 것으로, 고객들은 화물 에약과 기적 및 하기 운송시 우선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이는 현재 특급운송 화물이 지연배송 및 조기 픽업이나 환적시 최..
우리에게 사우디아라비아 항공으로 잘 알려진 ‘사우디아(Saudia)’항공사가 브랜드 교체를 단행, 항공사의 아이텐터티를 새롭게 구축했다. 최근 사우디아는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을 세계에 알리기 위한 정부 차원의 비전 2030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광범위한 전략적 디지털 혁신 계획에 따라 이번에 로고 및 항공기 고유 컬러를 과감히 교체했다. 이..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 분석업체인 Xeneta는 9월 항공화물 시장이 전반적인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지만, 다시 원래의 자리를 찾으려면 여전히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CLIVE를 통한 최신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표한 Xeneta의 9월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 운임은 현물운임 기준 kg당 2.23달러를 기록해 소폭이지만 전월대비 2% 상승했으며, 3주전과 비교해서도 10% 이상 ..
아마존이 미국 국내 네트워크에서 운항될 A330-300화물기가 미 거점 공항인 신시내티(Cincinnati-Northern Kentucky International)에 첫 도착하면서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했다. 최근 아마존에 따르면, 이번에 임차 도입한 A330 기종은 하와이언항공을 통해 신시내티공항과 캘리포니아의 San Bernardino International Airport 구간을 운항하게 되며, 동시에 임차 기간이 만료되는 ..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이학재)는 지난 9월 28일 싱가포르 JW 매리어트 호텔에서 아시아 카고 뉴스 주관으로 열린 ‘2023년 아시아 화물·물류 어워즈(2023 AFLAS; Asia Freight, Logistics & Supply Chain Awards)’에서 인천공항이 3년 연속(2021~2023년) ‘최우수 친환경 화물공항상(Best Green Airport)’을 수상했다. 이번 시상식에서 인천공항은..
항공화물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머스크(Maersk)가 최근 북미 시장 확장 계획의 일환으로 로스엔젤리스공항(LAX) 근처에 새로운 항공화물 게이트웨이를 개장했다. 머스크에 따르면, 이번 신규 개장 항공화물 수출입 터미널은 13만 평방피트 규모로 공항에서 15마일 떨어진 최적의 위치에 건립되었고, 롱비치 항구에서도 불과 9마일 이내 거리에 있어 더 많은 공급망 통합 관리 기..
지난 2001년 3월 개항한 인천공항이 개항 이후 22년 7개월 만에 누적여객 8억 명을 달성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이학재)는 지난 4일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출국장 10번 탑승구 인근에 마련된 행사장에서 ‘인천공항 누적여객 8억 명 달성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인천국제공항공사 이학재 사장, 아시아나항공 현일조 본부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해 ..
일상 생활 속에서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다짐을 릴레이 방식으로 확산하는 환경부의‘일회용품 제로 챌린지(일회용품 없애기 도전)’에 은산해운항공 양재생 회장도 동참했다. 이번 챌린지는 참여자가 일회용 컵 사용을 줄이고 다회용컵 사용을 늘려갈 것을 약속하는 내용을 SNS에 올리면서 후속 참여자를 지목하는 방식으로 이어간다. 한편 양재생 회장은 (주)금양 류..
아제르바이잔 바쿠를 허브로 하는 항공화물 전용항공사인 실크웨이웨스트 항공(Silk Way West Airline)가 가장 최신의 화물기종인 B777F를 보잉으로부터 처음으로 도입했다. 그동안 B747 화물기종을 주력으로 사용해온 실크웨이웨스트는 지난 2021년 3월 보잉사와 5대의 화물전용기 구매 계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이번에 B777 화물기중 1호기를 인수한 것이다. 실크웨이웨스트는 오..
최근 IATA는 세계 항공화물 시장 분석 보고서를 발표, 지난 8월 기준 항공화물 수요가 화물-톤-킬로미터(CTK) 기준으로 전년동기비 1.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면서 지난 2022년 2월 이후 처음으로 YoY 증가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다만 펜데믹 이전인 2019년 8월과 비교해서는 여전히 1.3% 줄어든 수치를 기록했다 IATA는 “항공화물 공급량은 ACTK(available cargo tonne-kil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