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항공화물터미널(HACTL)이 날로 늘어나는 제약 시장 수요를 위해 최근 홍콩국제공항내에 새로운 냉각 전용시설인 ‘Cool Chain Complex(CCC)’를 개장했다. 무엇보다도 전용 시설을 통해 수입 화물이 BB 작업이 끝난 후 "완벽한 온도 제어 환경" 내에서 화물의 보관이나 고객에게 즉시 인도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 HACTL측은 “수출화물 역시 창고에서..
지난 2021년 펜데믹 기간중 한시적으로 적용됐던 라티아메리카 역내 다자간 항공자유화 협정이 영구 체결됐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제7자유로 불리우는 완전한 항공운수권 자유화 협정이 서명 국가별로 영구 체결됐으며, 이번 협정으로 라틴 아메리카항공위원회(LACAC) 회원국 항공사들은 노선 및 공급량의 제한없이 다른 서명 국가간의 모든 화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되었다. ..
전 세계 가장 많은 국가로 취항하는 터키항공이 글로벌 색체 전문 기업 팬톤(Pantone)과의 협업을 통해 터키항공 로고의 붉은 색상을 ‘터키항공 레드’로 명명했다. 여섯 번째 취항 대륙인 호주행 첫 비행을 기념하기 위한 이번 협업은 지속적인 노선 확대와 브랜드 아이덴티티 강화를 추구하는 터키항공의 독보적인 이정표를 상징한다. 특히‘터키항공 레드&rsquo..
수출입 데이터를 제공하는 임포트지니어스 코리아는 2024년 2월 한국발 미국향 물량 (TEU)은 약 4만 9,492TEU로 전년동기비 15% 감소세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2023년 2월은 2022년 2월 대비 약 13%의 물량 증가를 보였으나, 2024년 2월은 전년동기비 약 15%의 물량이 감소한 것이다. 다만 미 서부 지역 롱비치 항구 물량은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였다. 유입 물량이 가장 많은 순서..
인천공항이 뮌헨공항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공동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등 항공교육 협력에 박차를 가한다.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이학재)는 현지시각 지난 4일 오전(한국시각 4일 저녁) 독일 뮌헨공항 교육원에서 뮌헨공항과 ‘교육협력 확대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날 양해각서 체결식에는 인천국제공항공사 이학재 사장, 뮌헨공항 요스트 람..
우리나라 유일의 화물전용 항공사인 에어인천㈜(대표 이승환)이 3월 5일부터 인천-하이커우-싱가포르 화물기 정기노선을 취항, 또 하나의 중요한 국제노선을 추가했다. 에어인천의 싱가포르 노선에는 B737-800 화물기가 투입되며, 매주 (화, 목) 주 2회 인천국제공항에서 01:20에 출발해 하이커우를 경유, 현지시간 기준 오전 10시에 싱가포르의 창이 국제공항에 도착하는 스케줄이다..
아프리카 항공화물 시장 리더로 급성장중인 에티오피아항공(Ethiopian Airline)그룹은 최근 자신들의 허브공항인 아디스아바바(Addis Ababa Bole International Airport; ADD)에 새로운 전자상거래 전용 물류시설을 개장했다. ADD 화물 및 물류단지에 위치한 이번 전자상거래 센터는 전자상거래는 물론 우편 및 택배 물류 서비스를 전담 처리하게 된다. 특히 화물 콘솔과 해체, 분..
캐세이카고터미널은 최근 기업간 거래(B2B)에서 전자결제 솔루션을 도입하는 홍콩 최초의 화물터미널이 되었다. 캐세이카고에 따르면, 화물터미널은 글로벌 화물결제 플랫폼인 PayCargo와 제휴해 안전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수입화물 집하를 위해 디지털 결제방식을 도입했다. 관계자는 “무엇보다도 포워더들과 그들의 트럭운송 대리인에게 더 많은 선택권과 편의성을 제공하..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3월 4일(월) 대한항공 창립 55주년을 맞아 사내 인트라넷에 등재한 창립 기념사를 통해 “대한항공이 걸어온 55년 역사 속 가슴 벅찬 감동의 순간들은 모두 대한항공이 꿈을 실천으로 옮기고 책임을 기꺼이 감수했기 때문에 가능했다”며 “임직원 모두 하나된 마음으로 앞으로도 끝없이 도약할 대한항공의 미래, 다가올 또 다른 감동의 순간을 ..
HMM(대표이사 김경배)이 독일 물류기업 헬만(Hellmann)사와 탄소 감축량을 제공하는 ‘그린세일링 서비스’ 첫 계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HMM의 ‘그린세일링 서비스’는 저탄소 연료를 선박에 사용함으로써 직접적으로 감소시킨 탄소 감축량을 거래하는 것으로, 글로벌 해운사와 기업들의 이해관계를 충족시키는 친환경 서비스다. 서울 여의도 본사에서 진..